본문내용
1. 편집형 조현병 사례연구
1.1. 대상자 정보
1.1.1. 일반적 정보
성명 OOO는 22세의 남성으로, 대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입원 형태는 동의입원이며 입원경로는 도보로 내원하였다. 이는 본원 첫 입원이며 입원일자는 2019년 7월 30일이다.
1.1.2. 건강력
대상자의 현 병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019년 7월 30일 마음사랑병원에 처음 입원하였으며, 편집형 조현병(Schizophrenia, paranoid type)을 진단받았다. 주된 증상으로는 피해망상과 사회적 위축을 호소하였다. 보호자가 대상자의 상태가 이상하다고 판단하여 동의 입원시켰다. XX병원에서 약물 처방을 받았으나 의심 증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는 신체적인 질병으로 인해 입원 경험이 있었는데, 2015년 3월 맹장염으로 대자인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또한 2007년 서혜부 부위에 양성종양이 관찰되어 절제술을 시행한 적이 있다고 한다"."
1.1.3. 신체검진
신체검진 결과,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었다. 혈압은 130/80 mmHg, 맥박은 78회/분, 체온은 36.8℃, 호흡은 20회/분으로 모두 정상 범위였다. 키는 165cm, 체중은 65kg으로 체질량지수(BMI)가 23.8로 정상 범위에 속했다. 신체적 검진 결과 특이 사항은 없었으며, 대상자가 사용하는 보조기구로는 안경과 의치가 있었다. 식사와 수면은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1.4. 발달력
초기 아동기(1-3세)에 대상자는 고집이 세고 어딘가에 꽂히면 그것에 집착하는 듯한 버릇이 생겼으며, 걸음이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1.1.5. 가족력
대상자의 가족력을 살펴보면, 아버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외갓쪽 이모가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아 15년 전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가족 구성을 살펴보면, 부모님은 이혼하셨고 대상자는 아버지, 형과 함께 살고 있으며, 형은 정신지체 3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어머니와 누나에게서 지속적으로 면회가 오고 있어 그들과의 관계가 원만한 편이지만, 대상자의 첫째누나와 둘째누나는 각각 수원과 서울에 거주하고 있어 연락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1.6.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은 편집형 조현병(Schizophrenia, paranoid type)이다. Axis Ⅰ에서는 편집형 조현병, 피해망상, 사회적 고립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고, Axis Ⅱ에서는 KWAIS-IV 검사 결과 전체 지능이 매우 낮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Axis Ⅳ에서는 부모의 이혼, 경제적 수준 저하,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조화롭지 못한 대인관계 등의 심리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확인되었다. Axis Ⅴ에서는 GAF 점수가 30~21점으로 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의사소통 및 판단에 어려움을 겪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계획으로는 약물치료와 정신요법, 활동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약물치료로는 항불안제인 Lorazepam, 항파킨슨제인 Benztropine, 정형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인 Olanzapine 등이 처방되고 있다. 정신요법으로는 집단치료가 실시되고 있으며, 활동요법으로는 병원에서 진행하는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과 병동 내 공동체 모임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대상자의 편집형 조현병에 대한 다각도의 치료계획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7. 정신상태검사(MSE)
A. 전반적인 외모, 태도 및 행동
1) 위생상태: 전반적으로 양호함.
2) 태도: 방어적, 회피적이고 병동 내 사람들과의 대인관계에서 위축되어있음.
3) 얼굴표정: 표정 변화가 거의 없음.
4) 행동 및 정신 운동성: 타인과의 접촉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큼.
5) 언어: 속도 및 반응 시간은 적절하나 대부분 먼저 말을 하지 않으며 말을 걸어도 대답이 단답형인 경우가 많음.
B. 감정반응
1) 기분(Mood)
(1) 환자는 자신의 기분이 어떻다고 합니까?
라운딩 시간 마다 기분을 물어보는데 매번 "괜찮아요"라고 하며 시선을 피함. 대화를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 불편해보임. 어딘가 불안해보임.
(2) 기분의 변동이 있다고 합니까?
잘 모르겠다고 답함. 관찰했을 때 표정의 변화는 발견하지 못함.
2) 정동(Affect)
주위를 계속 살피며 스테이션 근처로 와서 잠시 동안 내부를 이리저리 쳐다보고 다시 병실로 돌아가는 모습을 관찰함.
C. 사고의 상태 및 사고내용
1) 사고의 흐름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과하게 의심하며 단순하고 경직된 방식으로 사고함.
2) 사고의 내용
(1) 집착하고 있는 내용
자신의 몸에 도청장치가 달려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 계속해서 모든 것을 "확인"하려함. 이로 인해 의심하는 태도를 보이고, 주변을 두리번거림.
(2) 망상
피해망상: 누군가에게 도청당하고 있다는 망상을 함. 불안해하며 주변을 살피는 듯한 행동을 주로 함.
3) 자살 사고: 없음.
D. 지각 상태
환각: 없음.
E. 의식 및 인지기능
1) 의식상태(consciousness): 양호
2) 지남력: 양호
3) 기억력: 모름
질문을 해도 대답을 회피해서 알고 있는지 모르는지 확인할 수 없음.
4) 계산 및 주의집중: 장애가 있음
수학 관련 질문은 전부 모르겠다고 답했으며 프로그램 참여할 때 종이를 받으며 접으려하거나 특히 시청각 프로그램의 경우 모니터에 전혀 집중하지 않음.
5) 추상적 사고: 모름
질문을 해도 대답을 회피해서 알고 있는지 모르는지 확인할 수 없음.
6) 판단력: 양호
F. 병식(Insight): 있음.
1.1.8. 정신사회적 사정
정신사회적 사정에서는 대상자의 가족체계의 일반적 특성, 사회적응 수준 및 대인관계의 효율성 정도, 사회생활에서의 편안감, 병동 내 대인관계와 활동참여 정도, 환자 및 가족의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한 태도, 여가활동 등을 살펴본다.
대상자의 가족체계는 부모님의 이혼으로 아버지, 형과 함께 살고 있으며, 어머니와 누나와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응 수준과 대인관계의 효율성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사회적으로 위축된 모습을 보이며 타인과의 긍정적 대인관계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말을 걸면 침묵하거나 단답형 대답을 하며, 먼저 대화를 나누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사회생활에서도 주변을 경계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병동 내 대인관계와 활동참여 정도를 살펴보면, 대상자는 병동 내 대인관계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병원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에 자주 참여하지만 집중하지 못한 채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와 가족의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환자에게 물어보았지만 "모르겠어요"라고 답변하였으며, 어머니와 누나에게서 계속해서 면회가 오는 것으로 보아 가족들이 환자의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와 형에 대해서는 "비밀이에요"라고 말하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여가활동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게임하기, 웹툰보기, 노래듣기 등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대상자는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타인과의 대인관계 형성이 어려우며, 병원 생활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가족들과의 관계에서도 원만하지 못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대인관계와 사회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1.9. 임상병리 결과
임상병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SERUM BUN 8-22 mg/dL 7 신기능장애, 신부전 Creatinine 0.7-1.2 mg/dL 0.6 사구체 신염, 신부전, 중증 근이영양증 콜레스테롤 120~210 97 1. 원발성 :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상지질혈증 등 2. 속발성 : 당뇨병, 갑상샘기능저하증, 간암, 간경변 등 Granulocyte(과립구, 과립성 백혈구) 50~80 42.3 폐렴, 편도염 등의 감염성 질환, 백혈병, 심근경색 등 RBC 4.5~6.5 4.05 빈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