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울혈성 심부전의 정의
울혈성 심부전이란 심장에서 체내로 내보내는 혈액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 각 조직에 충분한 혈액 및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간, 폐, 말초 기관으로의 혈액 저류로 인한 부종을 동반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총칭하는 질병이다. 심장의 기능은 심근 섬유의 길이와 심근의 수축력에 의존하며, 정상적인 심장은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반응한다. 이 반응에는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관여한다. 전부하는 심실수축 직전의 심실 근육섬유의 길이로, 심근 섬유의 길이가 증가하면 전부하가 증가한다. 후부하는 심장이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을 통해 폐와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데 필요한 심실의 압력을 말하며, 말초혈관 저항이 높거나 고혈압이 있으면 후부하가 증가한다. 심근 수축력의 감소는 심근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한다. 울혈성 심부전의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 심근경색증, 판막성 심장질환, 류마티스 심질환, 심장 전도 장애, 확장형 심근병증, 수축성 심낭염, 선천적 심질환 등이 있으며, 폐질환도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심부전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급성 심부전의 경우 심장의 펌프 장애가 급격하게 나타나고 만성 심부전의 경우 심장의 펌프 기능장애가 서서히 진전된다.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은 각각 좌심실과 우심실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한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좌심부전은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우심부전은 전신 정맥울혈로 인한 간비대, 복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1.2. 울혈성 심부전의 병태생리
심장의 기능은 심근 섬유의 길이와 심근의 수축력에 의존한다. 정상적인 심장은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반응한다. 이 반응에는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관여한다.
전부하는 심실수축 직전의 심실 근육섬유의 길이로, 이는 이완기말 심실 압력이나 심실 혈류량을 나타낸다. 심근 섬유의 길이가 증가하면 심실 압력이나 심실 혈류량이 증가하여 전부하를 증가시킨다. 전부하는 심장판막, 특히 승모판의 상태, 혈류량, 심실벽의 순응도, 정맥혈관의 긴장도, 혈류 유입상태 등에 의해 결정된다.
후부하는 심장이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을 통해 폐와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데 필요한 심실의 압력을 말한다. 전신 동맥의 긴장도, 대동맥과 동맥의 신전 정도, 심실벽의 크기와 두께, 대동맥판막협착증, 혈액의 점성도 등은 모두 후부하에 영향을 미친다. 말초혈관 저항이 높거나 고혈압이 있으면 심실에서 혈액을 밀어내는 데 더 큰 힘이 요구된다. 장기간 고혈압이 있으면 후부하가 증가되어 심실은 결국 수축에 필요한 힘을 생성해내지 못하게 된다.
심근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심근 수축력은 감소한다. 심근 수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장질환이 있거나 심장 외부에서 심장에 압박을 가하는 경우이다. 심근 수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장질환에는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심근경색증, 심근염, 심근병증, 심실류 등이 있다.
울혈성 심부전이 발생하면 이러한 전부하, 후부하, 심근 수축력의 변화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 각 조직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간, 폐, 말초 기관으로의 혈액 저류로 인한 부종이 나타난다.
1.3.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울혈성 심부전의 가장 많은 원인은 고혈압, 심근경색증, 판막 결함, 류마티스 심질환, 심장 전도 장애, 확장형 심근병증, 수축성 심낭염, 선천성 심질환 등의 심장질환이다.
고혈압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좌심실 비대를 초래하고 결국 심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심근 손상으로 심근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부전을 유발한다. 판막 질환, 특히 대동맥판막협착증과 폐동맥 판막협착증은 심실의 압력 부하를 증가시켜 심실 비대와 심부전을 초래한다. 류마티스 심질환은 류마티스성 심내막염으로 인한 판막 손상을 통해 심부전을 유발한다. 심장 전도 장애는 심장의 수축 협응을 저해하여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확장형 심근병증은 심실 확장과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부전의 주요 원인이다. 수축성 심낭염은 심낭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 충만이 저하되어 심부전을 초래한다. 선천성 심질환 또한 출생 후 생리적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여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중 심장 질환 이외에도 만성폐쇄성폐질환, 낭성섬유증 등의 만성 폐질환이 있다. 이러한 폐질환은 우심실의 부담을 증가시켜 우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급성 호흡부전증후군(ARDS)도 우심부전의 원인이 된다.
이처럼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은 다양한데, 특히 고혈압, 심근경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