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래돌발해충방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래돌발해충의 정의와 특성
2.1. 외래돌발해충의 정의
2.2. 외래돌발해충의 발생원인
3. 대표적인 외래돌발해충 5종
3.1. 황산개미
3.2. 집 벼룩
3.3. 뉴질랜드 갈색개미
3.4. 아시아코도벌
3.5. 아르미나 벌
4. 외래돌발해충의 발생현황과 방제관리
4.1. 갈색날개매미충
4.2. 꽃매미
4.3. 미국선녀벌레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국제화로 인한 외래·돌발해충의 국내 유입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은 국내에 토착되기까지 천적 부족으로 자연 대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내외 검역 강화와 다양한 해외 정보 수집을 통해 특별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외래·돌발해충은 시기나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농작물 또는 일부 산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와 같은 외래·돌발해충의 발생원인은 첫째, 농작물재배 집단화 및 새로운 작물재배로 인한 잠재해충의 증가, 둘째, 기상이상, 농업환경 변화, 작물 재배양식 다양화이며, 셋째, 국가 간 농산물 교역 증가에 따른 외래해충 유입 증가 등이다.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주요 외래·돌발해충에는 아까시잎혹파리, 꽃매미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해충들은 환경 변화와 다양한 수목 변화로 인해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외래 돌발해충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서는 해충의 생태적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관습에서 벗어나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관리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2. 외래돌발해충의 정의와 특성
2.1. 외래돌발해충의 정의
외래돌발해충은 시기나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농작물 또는 일부 산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러한 돌발해충 발생원인은 첫째, 농작물재배 집단화 및 새로운 작물재배로 잠재해충의 증가와 둘째, 기상이상, 농업환경 변화, 작물 재배양식 다양화로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 셋째, 국가 간 농산물 교역 증가에 따른 외래해충 유입 증가 등이다. 최근 한국에서 피해를 주고 있는 외래·돌발해충의 돌발적 피해는 예년에 비해 그 피해는 미미했지만, 발생종류는 다양하다. 특히, 아까시잎혹파리는 2006년 6월 하순 경에 서울, 경기, 강원, 충북지역에서 만연되어 아까시나무에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 또한, 본 해충은 한국에서2002년에 처음 보고된 북미 원산지인 외래해충이며, 전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실제 도입된 시기는 이보다 훨씬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해충이다. 한편, 중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원산지가 중국인 꽃매미(Lycorma delicauta)가 2006년 9월 초순에 서울시 인근 산과 경기 성남 지역의 가중나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현재 경북 영천, 전북 정읍까지 확산되어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외래종의 급속한 증가는 기후변화와 연관되어 아열대 및 열대성 해충의 다양한 해충종의 발생은 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수목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되지만, 조경수를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인위적인 수목의 식재에 따른 종구성이 단순화되며, 해충이 기주식물로 하는 수종이 단순화되면서 특정 해충의 문제화를 야기하는 것이다.
2.2. 외래돌발해충의 발생원인
농작물재배 집단화 및 새로운 작물재배로 인해 잠재해충의 증가가 일어나며, 이는 외래돌발해충 발생의 첫 번째 원인이다. 농업 환경 변화와 작물 재배양식의 다양화로 인해 해충 발생이 증가하기도 한다. 또한 국가 간 농산물 교역 증가에 따른 외래해충 유입 역시 외래돌발해충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기상이상으로 인한 환경 변화 역시 외래돌발해충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외래돌발해충은 과거와 달리 예측 불가능한 시기와 장소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게 되었다. []
3. 대표적인 외래돌발해충 5종
3.1. 황산개미
황산개미는 주로 온난한 기후를 선호하며,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특히 도시 지...
참고 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해충방제학 강의안
최광식 저, ‘조경수에 문제를 야기하는 돌발해충의 발생원인과 종류’, 국립산림과학원
경기일보(이영수 저), ‘돌발해충 방제, 종합적 판단 중요하다’, 2022. 09. 12
-공용(2017), 식물의학, 해충의 화학적방제(화학적 방제의 뜻, 장단점), 살충제의 종류 및 살충작용을 설명하고 대표적인 약제
-김은희·채영주·강희곤(2003), 5년간 강북지역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보고, 서울 특별시보건환경연구논문집
-김길하 외, 삼고 해충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
-박부용․이상범․이상계․박세근․정인홍․전익수, 농업인의 병해충 방제연구 관련 의식실태 분석과 시사점, 2017.
-농약공업협회(1999), 농약사용지침서, 농약공업협회
-박창규(1993), 농약의 생화학과 사용법, 신일상사
-삼고 해충학 / 김길하 외 / 향문사 / 2020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도서관(https://lib.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