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조무사 해부학
1.1. 해부생리(해부학용어, 항상성)
해부학적 자세란 양쪽 발을 앞뒤로 일직선이 되게 모으고 똑바로 서서 눈은 앞의 수평면을 바라보며 양팔은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 채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있는 자세이다. 정중단면은 인체를 좌우로 나누는 면이며, 가로단면은 위아래로 나누는 면, 관상단면은 앞뒤로 나누는 면, 시상단면은 정중단면에 평행한 면이다.
내측과 외측에서 내측은 정중단면에 가까운 곳, 외측은 먼 곳을 의미한다. 근위와 원위에서 근위는 몸통에 가까운 곳, 원위는 먼 곳을 의미한다. 장측과 배측에서 장측은 손바닥 쪽, 배측은 손등 쪽을 의미하며, 저측과 배측에서 저측은 발바닥 쪽, 배측은 발등 쪽을 의미한다.
관절운동에는 굴곡, 신전, 과신전, 내전, 외전, 회선, 회전, 회내, 회외, 내반, 외반이 있다. 항상성이란 내외적 환경의 변화와 자극 속에서 생리적 균형상태를 유지하면서 몸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항상성 기전의 특성에는 보상성, 자가조절성, 피드백체계, 상호보완성, 오류와 이탈, 제한성이 있다.
인체의 구조적 체계는 세포→조직→기관→기관계→개체로 되어 있으며, 가장 기본 단위는 세포이다. 세포는 대부분 세포막, 세포질과 핵으로 구성되며, 적혈구만 핵이 없다. 세포막은 세포를 출입하는 물질의 통과를 조절하며, 핵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를 조절한다. 세포질에는 리소좀, 소포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중심체가 있다. 세포의 물질이동에는 확산, 삼투, 능동수송, 여과가 있다. 세포분열과정에는 간기, 전기, 중기, 후기, 종기(말기)가 있다.
세포의 기능에는 상피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결합조직세포가 있다. 사람의 몸은 체중의 약 60~70%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을 이루는 액체를 체액이라 한다. 망상내피세포는 골수의 전구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식균작용, 면역, 이물질 제거의 역할을 한다.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으로 구성된다. 기관은 여러 개의 조직들이 모여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결합된 상태이며, 기관계는 여러 기관들이 모여 연속된 구조물을 통해 더욱 큰 특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몸에 있는 기관계에는 골격계, 근육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순환기계, 비뇨기계, 생식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피부, 감각기관이 있다.
1.2. 인체의 구성
인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인체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세포이다. 우리 몸은 세포, 세포간물질, 체액의 세 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의 일반적인 형태는 원형이지만 백혈구와 같은 일부 세포는 수시로 모양이 변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세포는 세포막, 세포질, 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숙된 적혈구만 핵이 없다.
세포막은 세포를 출입하는 물질의 통과를 조절하는 얇은 막으로, 외부환경과 구분하여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막의 주성분인 인지질, 콜레스테롤, 단백질은 세포가 외부 물질을 쉽게 흡수할 수 있게 하고 세포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핵은 공 또는 타원형으로 성숙한 적혈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포에서 하나 이상 존재하며, 세포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를 조절하고 세포 분열과 성장,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세포질은 세포막과 핵 사이의 모든 부분으로, 리소좀, 소포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중심체 등의 세포소기관을 포함한다.
세포는 확산, 삼투, 능동수송, 여과 등의 물질 이동 기전을 통해 물질을 출입하며, 간기, 전기, 중기, 후기, 종기의 다섯 단계로 세포 분열이 이루어진다. 세포의 주요 기능은 상피세포의 보호, 방어, 물질 교환 조절, 근육세포의 이완 및 수축, 신경세포의 전기적 흥분 전달, 결합조직세포의 지지와 연결 등이다.
인체는 체중의 약 60~70%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총칭하여 체액이라 한다. 망상내피세포는 골수의 전구세포에서 만들어지며 림프절, 비장, 골수에 존재하면서 식균작용, 면역, 이물질 제거의 역할을 한다.
조직은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으로 구분된다. 상피조직에는 편평상피, 원주상피, 입방상피, 이행상피가 있고, 결합조직에는 소성결합조직, 치밀결합조직, 특수결합조직이 있다. 근육조직에는 골격근, 평활근, 심근이 있으며, 신경조직에는 신경세포와 지지세포가 있다.
기관은 여러 개의 조직들이 모여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말한다. 인체의 주요 기관으로는 두개강의 뇌, 척수강의 척수, 흉강의 심장과 식도, 기관, 복강의 소장과 대장, 간, 담낭, 췌장, 비장, 신장, 위, 골반강의 직장과 방광, 자궁, 난소 등이 있다.
기관계는 여러 기관들이 모여 연속된 구조물을 통해 특수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인체의 주요 기관계에는 골격계, 근육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순환기계, 비뇨기계, 생식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피부, 감각기관이 있다.
1.3. 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인체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부분을 골격이라고 하며, 뼈, 연골,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뼈와 뼈 사이는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인체의 뼈는 총 206개이다. 뼈의 구조는 골막, 골조직, 골수로 되어 있다. 골막은 뼈의 외면을 덮고 있으며 혈관과 신경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골조직에는 해면골과 치밀골이 있다. 골수는 조혈기능을 한다.
뼈는 유기질과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린이는 유기질이 많고 성인은 무기질의 침착이 늘어나 단단해진다. 뼈는 지주기능, 보호기능, 조혈기능, 운동기능, 저장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뼈의 형태에 따라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골로 나누어진다.
뼈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두개골, 척주, 흉곽뼈, 상지골, 하지골로 나뉜다. 두개골은 뇌를 보호하고 안면부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척주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개로 구성되어 있다. 흉곽뼈는 흉골, 늑골, 늑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상지골은 어깨뼈, 쇄골, 상지로 나뉘고 하지골은 골반과 하지로 나뉜다.
경골은 무릎아래쪽 전내측에 위치하며 대퇴골과 함께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대퇴골은 가장 크고 긴 뼈이다. 악관절은 하악골과 측두골이 연결된 유일한 관절이다. 두개골 보호를 위한 순서는 두피, 두개골, 경막, 지주막, 뇌척수액, 연막이다.
출생 시 머리뼈 모서리가 벌어져 있는 것을 천문이라 하며, 대천문은 12~18개월, 소천문은 6~8주에 닫힌다. 추간판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연골로 충격을 완화시킨다. 요추 3번과 4번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 있어 요추천자가 선택되는 부위이다. 척주는 측면에서 볼 때 경추와 요추는 전만, 흉추와 천추는 후만을 이루고 있다.
흉곽은 늑골, 늑연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