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G전자마케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LG전자의 마케팅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1.1. 마케팅 성공 제품 사례: BBQ
1.2. 마케팅 실패 제품 사례: LG전자 스마트폰
2. LG전자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
2.1. LG전자 기업분석
2.2. LG전자의 중국시장 진출배경
2.3. LG전자 중국진출전략 성공요인
2.4. LG전자 중국시장 SWOT분석
2.5. LG전자 중국시장 STP분석
2.6. LG전자 중국진출 마케팅 4P전략
2.7. LG전자 중국에서의 미래전략 제언
2.8. 결론 및 나의 의견
3. LG전자 모바일폰의 실패요인
3.1. LG전자 스마트폰과 아이폰의 성장배경과 현재 점유율
3.2. LG전자와 아이폰의 4P 비교
3.3. LG전자와 아이폰의 SWOT 비교
3.4. LG전자와 아이폰의 STP 비교
3.5. 아이폰이 우세한 이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LG전자의 마케팅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1.1. 마케팅 성공 제품 사례: BBQ
유튜브는 전 세계 최대 인기 소셜미디어로, 세대와 성별을 막론하여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방적으로 정보를 수용했던 과거의 매체들과 달리, 일반인도 콘텐츠 생산자 및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또한 지루하지 않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비디오 플랫폼이라는 점도 인기의 큰 이유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튜브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한국에는 특이한 비디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바로 웹 예능이다. 웹 예능은 웹(WEB)과 예능의 합성어로,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는 예능프로그램을 말한다. 짧게는 1분에서 길게는 20분까지의 예능 영상을 인터넷 플랫폼에 올림으로써, 물리적, 시간적 한계로 TV앞을 떠난 시청자들과 전세계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워크맨, 가짜 사나이, 네고왕과 같은 유튜브를 플랫폼으로 한 웹 예능은 우리나라의 유행을 주도할 정도로 전국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 '네고왕'은 연예인 황광희가 시민들과 직원들의 의견을 듣고 특정 기업의 대표 등과 만나 가격 할인이나 이벤트 등을 협상(네고)하는 내용이다. BBQ는 이 웹 예능에 출현하여 파격적인 할인을 선보였고, 이를 통해 엄청난 이익을 갖게 되었다.
BBQ의 이익에 대해 말하기 전, 네고왕 출연 이전의 BBQ를 향한 대중의 인식을 짚고 넘어가자. 올해 여름, 한국의 유튜브와 유통업계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뒷광고 사건'이다. 앞서 말했듯 유튜브가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플랫폼이 되면서, 유명인이 유튜브에 영상을 업로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 중, 슈스스(슈퍼스타 스타일리스트)로 유명한 한혜연 스타일리스트가 홍보 목적으로 돈을 받은 제품을 '내돈내산(내 돈으로 내가 산 물건)'이라 부정 광고를 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이러한 부정 광고를 향한 분노를 시작으로, 1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들의 뒷광고 사실이 발각되기 시작했다. 유튜버들의 뒷광고에 대해 분노하던 대중들은 유튜버들의 뒷광고 제품에 BBQ의 신메뉴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BBQ가 뒷광고를 사주한 것이 아니냐'라는 대중의 의문에 BBQ는 뒷광고를 의뢰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좋지 못한 일로 대중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은 BBQ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러한 이유로 브랜드 평판에 타격을 받은 BBQ는 '네고왕'을 통해 돌파구를 찾게 되었다. 네고왕에 출연해 1만8000원에 판매하는 '황금 올리브 치킨'에 치즈볼 2개를 추가해 7000원 할인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대폭 할인으로 인해 BBQ의 매출액이 타격을 입을 거라고 예상했지만, 해당 영상 공개 후 첫 주말 매출은 6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4% 증가했다. 매출뿐만 아니라 30만명이었던 회원 수가 한 달 만에 250만명으로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BBQ는 다른 기름에 비해 원가가 비싼 올리브유를 사용해 비싸지만 그만큼 품질 좋은 치킨으로 알려지며 많이 팔겠다는 고가격전략을 내세워왔다. 이처럼, 다른 후라이드 치킨에 비해 품질이 좋다는 이미지를 가진 치킨을 일시적인 할인 이벤트를 하면서, 소비자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었다.
더불어, BBQ는 웹예능을 통해 MZ세대를 겨냥한 것이 성과의 큰 이유였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MZ세대에 맛, 이미지 등 BBQ에 대한 좋은 인식을 심어주면서, 이들이 나이 들어서도 단골로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이끌어냈다.
유튜브는 소비자들에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소통과 참여를 통해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새로운 광고 채널의 중심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유튜브 채널은 유통업계 홍보의 주요 창구로 자리매김 해왔으며, 유튜버들의 대중적 관심과 인기가 높아 그들이 먹고, 들고, 입는 모든 것이 화제가 된다는 점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뒷 광고' 논란 이후 브랜드를 시원하게 드러내 콘텐츠를 만드는 '앞 광고' 형식이 소비자들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갔다. 이는 광고일지라도 창의적인 방법으로 풀어낸 콘텐츠를 소비자들은 더 좋아하는 것을 뜻한다. 네고왕의 경우 이전과 다르게 솔직한 것을 추구하는 요즘 세대들과 홍보 방식이 잘 맞는다.
BBQ 관계자는 "최근 부정적 프레임으로 인해 BBQ를 찾지 않았던 소비자들도 몇 년만에 다시 시켜먹었다는 댓글이 연이어 달리는 등 옛날 이미지를 씻고 친근하게 다가갈수 있는 주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BBQ는 네고왕 출현을 통해, 단기적인 성과 이외에도 장기적인 이익을 챙겨갔다. 이벤트 프로모션 비용을 100% 부담해 갑질 없는 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고, 소통을 원하는 최근 소비자들의 니즈와도 맞닿아 있다. 신제품을 출시할 때 본사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의견도 반영한다는 인식도 심어주었기 때문이다.
성공적 차별화를 위한 7가지의 고려 요소를 성공적으로 이뤄낸 BBQ와 네고왕의 협업은, 하겐다즈, 롯데백화점, 당근마켓 등 많은 기업에게 본보기가 되었다. 이렇게 변화된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가 스스로 참...
참고 자료
신동희, ”유튜브 동영상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게이지먼트가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2019
김소영, “BBQ를 통해 본 시장의 ‘큰 손’ MZ세대 잡기의 중요성”, 엔터미디어, 2020,11,23
임유정, “유통가, 뒷광고 논란 이후 PPL대신 '협상의 기술'로 승부수”, 데일리안, 2020,11,10
Calder, B. J., Linda D. Hollebeek Edward C. Malthouse (2018). “Creating Stronger Brands Through Consumer Experience and Engagement, Customer Engagement Marketing”, 221-242.
김용원, “LG전자, 마케팅 실패 잔혹사에서 벗어날까”, BUSINESS POST, 2015,9,15
박정현, “LG전자 G2 공짜 마케팅 실패…원인은?”, 조선비즈, 2013.8.10.
서하나, “마케팅 흑역사' 만년 2위 이유일까”, the bell, 20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