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정지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사례선정 이유)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2.2. 간호문제 목록
2.3.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3.1. 사례자를 간호하면서 변화된 환자의 상태
3.2. 추후 계획
3.3. 퇴원 교육
3.4.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사례선정 이유)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신속한 응급처치와 집중치료의 필요성
심정지는 심장의 박동이 완전히 정지되는 상태로, 뇌를 비롯한 주요 장기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속한 심폐소생술 시행과 이어지는 전문 심폐소생술, 제세동, 약물 투여, 그리고 심정지 후 통합치료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 심정지 발생 시 심폐소생술 시행으로 인한 생존율은 2.4배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심정지 발생 후 빠른 심폐소생술 시행이 중요한 이유는 심정지 후 4-6분이 경과하면 뇌손상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에게 신속한 응급처치와 함께 심정지의 원인 파악 및 원인 치료, 심정지 후 통합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응급처치와 집중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심정지는 심장의 박동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 심실의 전기 활동이 전혀 없는 상태이며, 임상적으로는 심정지와 심실세동을 합쳐 심박 정지라고 한다. 심실의 탈분극이 없으므로 심근수축이 없고 심전도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그 결과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가 심하게 손상되며, 5분 이상 산소공급이 중단되면 사망에 이른다. 따라서 신속한 응급처치를 통해 심장의 펌프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체외 심장 마사지로 혈류 순환을 유지시켜야만 한다.
심정지는 일차적으로 심장기능의 장애로 인한 심장성 심정지와 심장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서 발생하는 비심장성 심정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심장성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며, 비심장성 심정지는 주로 호흡부전으로 인한 것이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갑작스런 의식소실과 무호흡, 동공 산대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경동맥이나 대퇴동맥, 요골동맥의 맥박이 아주 약하게 나타나는 것은 낮은 심박출량으로 인하여 뇌, 신장, 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즉시 CPR을 시작해야 한다.
심정지는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백, 무맥성 전기활동, 무수축의 4개 심장 리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 중 심실세동과 무맥성 심실빈맥은 제세동이 필요한 쇼크 필요 리듬이며, 무맥성 전기활동과 무수축은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은 쇼크 불필요 리듬이다.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는 정맥로 확보 및 약물 투여, ...
참고 자료
대한심폐소생술, 심정지,
http://kacpr.org/download/대한심폐소생협회%20기본소생술(KBLS)%20교재%20(최종).pdf,
2023.7.14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3780A0159
2023.7.13
질병관리청.국가 손상정보포털,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jury/biz/injury/bsnsIntrcn/acfdsesCaExaminMain.do;jsessionid=4BADB8CD359B3E9E2F129631C11EB649,2023.7.13
박은영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p.34,86,125,209,239~244
윤은자 외,(2019),성인간호학 II , 수문사, p.800-806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제2판), 고문사, 2022년, 부록8 NANDA-1 간호진단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의학백과사전
심정지환자의 치료, 민영기, 병원약사지회
대한심폐소생협회
약학정보원www.health.kr›searchDru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