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민건강보험공단 개관
3.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업
3.1. 건강보험사업
3.2. 장기요양사업
3.3. 사회보험통합징수사업
4.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직
5.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위원회
5.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5.2. 국민참여 위원회
5.3. 소득축소탈루심사위원회
5.4. 징수심사위원회
5.5. 재정운영위원회
5.6. 이의신청위원회
5.7. 사회적가치실현 위원회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국민건강보험제도는 우연한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예방과 진단, 치료, 재활, 출산 및 건강증진을 위한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민 상호 간의 위험 분담이라는 원리를 바탕으로 하며, 사회 연대성 제고, 소득 재분배, 사회·건강보장 증진이라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국민건강보험제도는 1977년 최초 실시된 이래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전 국민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를 관리·운영하는 중추적인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국민건강보험공단 개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기관이다. 1963년 관련 법이 제정되었고, 1977년 개정된 법안으로 건강보험제도가 본격적으로 출범한 이후 꾸준한 제도적 보완을 거쳐 2000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설립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호에 있어서 건강보험을 징수 및 관리하고, 이를 통해 국민건강의 전반적인 현황파악과 예방관리, 시설 운영 등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기관이다. 국민건강보험은 국민 상호간의 위험 분담이라는 원리를 바탕으로 운영되며, 사회 연대성 제고, 소득 재분배, 사회·건강보장 증진이라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국민건강보험제도는 1977년 도입 이래 전 국민으로 확대되었고,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추가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왔다.
3.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업
3.1. 건강보험사업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 건강보험사업은 가장 핵심적인 사업 분야로, 법적 근거에 따라 보험료 부과 및 징수, 보험급여 관리, 예방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다.
정부지원사업의 경우 국고 지원을 통해 공단을 운영하고 요양급여를 지급하며, 건강증진기금을 통해 검진비용, 금연치료, 아동 치과 치료 등의 지원 사업을 수행한다. 보험급여사업에서는 청구 및 지정된 보험급여를 지급하고, 본인부담상한제, 과다청구비 환급, 장애인 급여제도 등을 관리한다. 또한 합리적인 수가체계 수립과 진료비 지불제도 연구 등 보험급여 영역의 전문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와 관련된 사업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통합 검진체계를 구축하고 건강관리사업을 기획, 개발하여 국민의 전반적인 생활의 질 향상을 도...
참고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증진사업 개선 방향, 이주열 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8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운영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홍종현, 한국법제연구원, 2014
건강보험관리운영체계의 역사와 개혁방안, 사공진,대한병원협회지, 2007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사이트 (http://www.alio.go.kr/)
국민건강보험 사이트 (https://www.nhis.or.kr/)
건강보험론, 한국방송대 출판문화원, 2018.
국민건강보험론, 보문각, 김회창 저, 2019.
법제처, https://law.go.kr.
2021년도 사업운영 계획서, 국민건강보험, 2021.
국가법령센터 국민건강보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