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특발성 폐섬유증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병태생리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및 간호
2.6. 예후 및 합병증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자료수집
3.1.2. 진단검사
3.1.3. 투약
3.2. 간호계획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특발성 폐섬유증은 진행성 폐 손상 및 섬유화로 인해 심각한 호흡 부전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작용하여 폐포와 간질의 비가역적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에서 호발하며, 남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는데 특히 흡연자에게서 빈도가 높다. 초기 증상으로는 운동 시 호흡 곤란과 마른기침이 대표적이며, 질병이 진행되면 가만히 있어도 호흡이 어려워지고 말초 신경 손상으로 인해 곤봉지가 관찰된다. 진단을 위해서는 폐기능 검사와 영상 검사, 폐 조직 생검 등이 필요하며, 치료법으로는 피르페니돈과 닌테다닙 등의 약물 치료와 폐 이식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예후가 좋지 않아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후 3-5년 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병태생리
특발성 폐섬유증은 간질성 폐질환에 속하는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간질의 염증 또는 섬유화가 발생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가스 교환이 원활하지 못하며 섬유아세포 증식과 특징적으로 콜라겐의 침착이 관찰된다. 정확한 발병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폐포와 폐포 사이에 비가역적 변화가 일어나 상피세포에 손상이 오며 비정상적 재생과정을 거쳐 섬유의 증식과 함께 만성적 섬유 과정의 진행으로 섬유화가 초래된다. 과거에는 섬유화 과정이 만성 염증의 반복으로 인한 것으로 보았으나, 최근에는 상피세포 손상으로 인한 세포자멸사의 반복이 유력한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다.
2.2. 원인
특발성 폐섬유증의 발병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가지 가능한 위험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흡연자에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 흡연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항우울제 복용, 위식도 역류 등과 같은 요인들도 특발성 폐섬유증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금속 분진이나 목재 분진, 용매제 흡입 등의 직업적 요인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대기 오염 등의 환경적 요인도 질병 발생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전적 요인도 일부 역할을 하는데, 특히 surfactant protein과 telomerase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가족성 폐섬유증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특발성 폐섬유증의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2.3. 증상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폐 간질이 손상되면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특발성 폐섬유증의 경우 회복 시 섬유 조직이 과하게 생겨 폐 간질이 딱딱해지며 이후 폐포 기능이 떨어져 점차 호흡이 어려워진다. 초기에는 다른 폐질환과 마찬가지로 운동 시 숨이 차는 증상을 겪게 되며, 질병이 진행되면서 가만히 있어도 호흡이 어려워지게 된다. 숨이 차는 증상과 더불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발생하며, 6개월 이상 만성 호흡곤란이 지속된다. 또한 폐 섬유화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하여 말초 신경까지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곤봉지 증상이 관찰...
참고 자료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약학정보원
대한질병관리본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문헌고찰
[네이버 지식백과] 특발성 폐섬유증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희귀질환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특발성 폐섬유화증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질병관리본부] 건강/질병 검색 - 특발성 폐섬유증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0630
[성인간호학1] 호흡기능장애 - 특발성 간질섬유증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진단 검사 및 약물
[질병관리본부] 건강/질병 검색 - 특발성 폐섬유증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0630
[성인간호학1] 호흡기능장애 - 특발성 간질섬유증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성인간호학1] 하부 호흡기계 질병
간호진단
[기본간호학Ⅱ]현문사_양선희 외_2018_제3판
교육계획안
호흡재활
http://khna.or.kr/homecare/chronic/chronic_02c.php 병원 간호사회
http://www.breatheasyclub.com/bec/sub02_3.asp?seq=2518&mode=read&page=1&stateView=1&strp=&cType= 대한 호흡 재활 연구회
https://youtu.be/3FAXdR8oRTE 첨부 동영상-부산대학교 호흡재활 00:00초~06:12초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호흡기 주요질환, 간질성 폐질환
박은영 외, 간호 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14),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약품 정보
서울아산병원, 혈액 검사-검사 항목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제품 기본정보
우덕수 외,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의 치료에서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의 치료효과』,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3)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21
이동숙 외, 기본 간호학(2022), 메디컬 사이언스
질병관리청 희귀질환관리과,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목록, 희귀질환정보,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최스미 외 공역, (알기 쉬운) 핵심 약리학(2015), 수문사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Ⅱ, 최적의 임상약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약물요법, 제5개정(2021), 신일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