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복음과 율법 요약정리
1.1. 바울서신 독서 과제 #2 리뷰
필자는 이번 독서과제를 통해 "새 관점"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처음으로 상세히 접하게 되었다. 최근에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박재은 지음/부흥과 개혁사)를 읽으며, 잘못된 칭의론과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칭의론을 바로 이해하는 과정에서 간략하게 "새 관점"에 대해 접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 책을 통하여 좀 더 자세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솔직하게 말하면 정독으로 한 번 읽으며, 모든 내용이 정확하게 이해되지는 않았다. 심지어 샌더스와 던, 라이트의 글을 있는 그대로 인용한 내용을 읽으며 날카롭고 분명하게 비판할 수 없는 자신을 보며, 부족함을 느끼는 시간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다시 성경을 보고 책 저자의 주장과 새 관점 비판내용을 따라가며 다시 한 번 새 관점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각 장마다 내용을 충실하게 설명한 후, 다시 한 번 잘 요약해 놓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며 한 번에는 정확한 요점정리가 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다시 한 번 결론과 요약을 보며 어느 정도 각 장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그 내용들을 요약한 후, 느낀 생각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1.2. 신약신학의 주요 주제
1.2.1. 하나님의 중심성
하나님은 신약성경 전체에서 중심적인 분으로 나타나신다. 먼저 공관복음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의 긍휼, 하나님의 영광이 강조되고 있다. 공관복음은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을 통해 전능하신 하나님의 주권을 드러내며, 죄인들을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공관복음 저자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영광을 위해 이 땅에 아들 예수님을 보내셨음을 증거한다.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님과 아버지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가 더욱 부각되며, 예수님 자신이 곧 하나님이심을 드러낸다. 사도행전에서 누가는 구속사의 과정 가운데 자신의 계획을 성취하시는 주권적 하나님을 묘사한다. 바울서신에서도 하나님의 주권과 긍휼, 영광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바울은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과 예정, 그리고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은혜와 긍휼을 강조한다. 요한서신과 베드로서신에서도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영광이 드러나며, 하나님의 구원사역에 대한 믿음의 순종이 요구된다. 요한계시록에서는 당시 핍박받는 교회를 격려하시고 전능하신 하나님의 심판과 구속 사역이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신약성경 전반에 걸쳐 하나님께서 가장 중심이 되시며, 구원의 주체이자 최종적인 목표가 되심이 나타나고 있다. 하나님은 이 세상과 역사를 주권적으로 다스리시며, 자신의 구원 계획을 완성해 가시는 분이시다.
1.2.2. 그리스도의 중심성
복음서에서 예수님은 선지자로써, 메시아로써, 인자로써, 하나님의 아들로써 나타나신다. 예수님은 선지자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고, 메시아로서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시며, 인자로서 참 인간이 되셨고, 하나님의 아들로서 신성을 드러내신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은 반복적으로 "나는 ~이다"라고 말씀하시며 자신의 신성을 밝히신다. 또한 예수님은 로고스이시며 하나님과 동등한 분이시다.
신약의 기독론은 항상 구원론과 연결되어 있다.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구원사역은 이사야서의 '여호와의 종'에 대한 예언이 성취된 것이다. 예수님은 자신의 목숨을 많은 사람들을 위한 대속물로 주셨다. 사도행전에서는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자 부활하신 주님으로 선포된다. 죄 사함과 예언의 성취가 강조되며,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이 구원을 가져왔음을 알려준다.
바울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강조하였다. 예수님은 메시아이자 구주이시며, 삶의 모든 영역에서 주되시다.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강조된 예수님의 우월성은 바울의 기독론과도 동일하다. 히브리서부터 요한계시록까지 다른 서신서들에서도 앞선 신약 문헌들과 일치되는 기독론이 드러난다. 비록 상세하게 다루지는 않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