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족은 인간성과 인류애의 따뜻한 둥지이자 우리의 영원한 안식처이다. 가족의 역할 때문에 간호학에서도 가족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 사람의 건강은 가족에서 얻어질 수 있고, 가족 한 사람의 질병은 가족의 기능과 구조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을 통해서 사람은 지지와 용기, 희망과 안정을 얻을 수 있고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이에 우리는 가족사정과 진단을 통해서 가족간호과정에 대한 사례보고서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프리드만의 사정도구를 사용한 가족사정
2.1.1. 사회문화적 요인
가족의 구성요인과 가족형태는 39세 여성인 대상자를 중심으로 볼 때, 결혼 전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큰언니, 둘째언니, 본인, 남동생으로 이루어진 3대 대가족이었다. 결혼 후에는 배우자, 본인, 아들, 딸로 구성된 핵가족이다.
대상자 가족의 종교는 무교이다.
사회경제적 상태는 중상층이며, 4대 사회보험에 모두 가입되어 있다.
가족의 여가활동은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근거리 나들이를 2개월에 1~2회 정도만 가는 정도이다.
2.1.2. 환경요인
가족은 경기 도심 지역에 위치한 자가 소유 33평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해당 아파트는 채광과 통풍, 급수 및 하수 시설 등이 양호한 편이다. 또한 층간 소음이 가끔 발생하지만 전반적으로 소음 문제를 크게 느끼지 않는다.
주거지 주변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 즉 우체국, 은행, 대형 마트, 병원 등이 도보로 쉽게 갈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동사무소, 보건소, 청소년 문화센터, 지역 복지센터, 도서관 등의 공공기관도 가까이 있어 행정 업무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좋다.
아파트 단지 내부는 깨끗하고 안전한 편이며, 주변 지역 사회와 이웃들과의 관계도 원만한 편이다. 아파트 바로 아래 윗집, 옆집 등과 일상적인 인사를 주고받으며 지내고 있다.
2.1.3. 구조적 요인
의사소통 양상
가족 구성원이 모두 표준어를 사용하며 쌍방향으로 얼굴을 보고 대화를 하고자 노력한다. 또한 카카오톡을 이용해서 서로의 전달사항을 얘기하기도 한다. 주말에는 가족 모두 모여서 식사를 하고자 한다.
권력구조
경제적인 부분은 대상자의 의견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이사와 같은 큰 일에는 부부가 서로 합의하고 아이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역할구조
집안 가사는 배우자와 대상자가 반반씩 나누어 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아이들도 조금씩 돕고자 한다. 대외활동과 가정의 경제 활동도 반반씩 나누어서 하고 있다. 아이들의 양육과 교육에 관한 부분도 부부가 대화를 통해 결정하고 조정하고자 하나 주로 대상자의 의견이 주로 반영된다.
가치체계
몇 년 전 모친의 유방암 판정으로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건강 문제가 뚜렷하게 관심된 가치가 되었다. 현재 수술 및 항암치료까지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이전에 비하여 모친의 건강에 대한 우려는 줄었으나,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는 것을 부친과 자녀가 번갈아 맡고 있으며, 이를 꾸준하게 염두에 두고 있다. 또한 건강을 위하여 가정의 식단에 있어서는 너무 기름진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2.1.4. 기능적 요인
애정기능
부부는 서로에 대한 애정과 유대감이 큰 편이다. 남편과 아내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편의 잦은 출장으로 인해 부부가 함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친밀도가 저하되고 있다. 두 자녀와의 관계에서는 부모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