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독학사 2단계
1.1. 한국현대시론
한국 현대시의 특성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본질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한국 현대시는 민요, 민요시, 사설시조, 현대시조, 자유시, 율격 등 다양한 갈래로 구분된다. 이 중 음수율과 음보율은 한국 현대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음수율은 음절의 수를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생성되는 가락이며, 음보율은 말의 단위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음의 질서이다. 예를 들어 강약율, 고저율, 장단율 등이 음보율에 해당한다.
장르론적 측면에서 한국 현대시는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 서정시, 서사시, 극시, 현대시조, 자유시, 산문시 등으로 분류된다. 특히 신체시는 전통적 율격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 형식을 모색한 노력의 산물이며, 서정시의 주요 갈래로는 오드, 소네트, 발라드, 엘레지, 목가 등이 있다.
한국 현대시 비평의 관점에서는 모방론, 표현론, 효용론, 구조론 등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한다. 모방론은 작품을 세계에 비추어 논하는 입장이며, 표현론은 시인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관점이다. 효용론은 독자의 입장에서 평가하는 방법이고, 구조론은 작품 자체만을 평가하는 엄격한 접근이다. 이러한 비평 방법들은 한국 현대시를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해왔다.
1.2. 시의 형태 및 언어
시의 형태는 하나의 종합, 지양상태를 뜻하며 시의 소재와 내용, 즉 작가의 사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의 언어는 정서적 용법과 과학적 용법으로 구분되며, 의미면에서 생각(관념), 기호(글자), 관련대상의 세 가지 요건을 갖추고 있다. 시의 언어는 일반 언어와 달리 '진술'과 '의사전달'의 특성을 지니며, 포괄의시와 배제의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엠프슨은 시어의 애매성을 동음이의어, 독자가 스스로 해석해야 할 때, 둘 이상의 뜻이 단일 의미를 형성하는데 공동 참여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사르트르는 시어가 의미 차원이 아닌 존재 차원을 지향하는 '사물'이라고 보았으며, 맥클리시는 시의 언어가 살아 움직이는 제3의 실체라고 정의하였다. 베이트슨은 시의 언어 변화가 사회적, 지적 여러 경향의 압력에 기인한다고 하였고, 마일즈는 현대시의 구문상 특징으로 종속절보다 대등절의 파편성, 고립성, 자발성의 경향을 들었다. 김춘수는 이러한 '형식적 자포자기'를 '해체시'라고 지칭하였다. [1]
시의 언어는 최량의 표현수단을 선택하며 구문, 이미지, 소리로 표현된다. 시의 언어 구조 변화는 사회적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시대상황과 시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종속절보다 대등절의 파편성, 고립성, 자발성의 경향은 현대시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의 형태와 언어는 시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이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발전해왔다. [1]
1.3. 비유
비유란 하나의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드러낼 수 있다. 비유에는 직유, 은유, 환유 등의 다양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