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편도염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 편도염 사례 개요
1.2. 편도염의 특징과 발생 현황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편도염의 정의
2.2. 편도염의 발생 원인
2.3. 편도염의 증상
2.4. 편도염의 진단
2.5. 편도염의 치료
2.6. 편도염 환자의 간호
3. 사례 연구
3.1. 환자 정보
3.2. 건강력 사정
3.3. 성장발달 단계 평가
3.4. 검사 결과 분석
3.5. 의학적 치료 경과
4. 간호과정 적용
4.1. 간호진단 도출
4.2. 간호중재 계획 및 수행
4.3. 간호결과 평가
5. 결론 및 제언
5.1. 연구 결과 요약
5.2. 아동 편도염 간호의 시사점
5.3.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 편도염 사례 개요
급성 편도염은 어린 아동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이다. 이는 편도가 풍부한 림프조직이며 상기도 감염이 잦기 때문이다. 편도염이 감염되어 치료되지 않으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계절적 변화로 인해 소아청소년병동에서 만난 환자 대부분이 호흡기 감염 증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번 사례를 통해 편도염에 대한 질병의 이해와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1.2. 편도염의 특징과 발생 현황
편도는 숨길(인후)에 위치한 림프 조직이다. 편도염은 이러한 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 질환이다. 편도염은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편도염은 소아와 청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소아청소년의 약 40%가 편도염 환자이며, 특히 9세 이하 소아가 전체 편도염 환자의 22.9%를 차지한다. 이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편도염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편도염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소아기에 편도의 크기가 크고 상기도 감염에 취약한 데 있다.
편도는 병원체를 여과하는 역할을 하므로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편도염이 발생하면 증상이 오래 지속되고 치료가 되지 않으면 아동의 성장, 면역력, 치열 발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편도염의 주요 증상에는 고열, 인두통, 삼킴곤란, 두통, 전신 무력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대개 4~6일 이내에 호전된다.
편도염은 소아와 청년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며, 증상이 심하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편도염은 아동기에 자주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세균 감염으로 인한 경우도 있다. 편도염은 성장기 아동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아동의 편도염 발생이 잦은 이유는 편도선이 풍부한 림프조직인 데다가 상기도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편도염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성장과 기초 면역력, 치열 문제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편도염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 방법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특히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편도염 환아의 상태를 세밀히 살펴보고 효과적인 간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편도염 환아 간호에 도움이 되는 지식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편도염의 정의
편도염은 양측 편도에 발생하는 염증 상태이다.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하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신의 저항력이 감소하였을 때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해 급성감염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는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있다.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Haemophilus)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편도선염의 원인균이 될 수 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콕사키 바이러스(coxsackievirus), 에코 바이러스(echovirus), 리노 바이러스(rhinovirus),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이 있다. 편도염은 주로 소아와 청년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2.2. 편도염의 발생 원인
편도염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편도염은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있다.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Haemophilus)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편도염의 원인균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리노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공기와 음식에 의하여 전염되며, 소아에게 가장 흔하나 어느 연령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편도염은 세균성 감염이 흔하지만 드물게 연쇄상구균에 의해 일어나기도 한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해 급성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편도염은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전신의 저항력 감소로 인해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한 급성감염이 발생하게 된다.
2.3. 편도염의 증상
편도염의 대부분의 경우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난다. 이어서 인후통이 발생하고, 인두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환자는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을 호소한다. 혀의 표면이나 구강 내에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을 수 있다. 압통성의 경부 임파선 비대 역시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4~6일 정도 지속되고, 합병증이 없으면 점차 사라진다.
2.4. 편도염의 진단
편도염은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로 대부분 진단할 수 있다. 급성 편도선염의 경우 갑작스러운 인후통을 동반한 특징적인 증상과 하얀 가피를 동반한 충혈되고 비대해진 편도로 확인할 수 있다. 만성 편도염의 경우 입 안을 보았을 때 편도 주변에서 화농성 물질이나 건락형 찌꺼기가 발견된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비후된 아데노이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편도 주위 ...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2015.02.10.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2015.02.10.
김태임 외, 성장발달과 건강, 교문사, 2014.01.06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4.03.12.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5.01.20
정미영 외, 진단검가간호핸드북, 정담미디어, 2011.02.20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조경숙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Nanda 간호진단 (2012-2014) 국제간호진단협회, 정담미디어
원선희 외 공저(2017) 기본간호학Ⅱ(2판), 현문사
원종순 외 공저 (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수경 외 공저 (2017), 알기 쉬운 임상 약리학, 정담 미디어
박은숙 외 공저(2016), 아동간호학 수정판 (상), 현문사
김영혜 외 공저(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DRUG info homepage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건강정보>의료정보, 질환정보 및 약물정보
박충선외(2018).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 329-332
유양숙외(2022). 성인간호학 상권(제8판). 현문사. 534-535
양선희외(2021).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17-25, 145-159
서울대학교병원.건강정보.N의학정보 2017.07.20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65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42
가천대 길병원 공동기획 빅데이터 신문사 힐팁(2021.06.29.)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1865282&memberNo=11691867&navigationType=push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0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5-02-21)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17164
보건복지부>정보>연구/조사/발간자료 등록일 : 2020-12-23[최종수정일 : 2022-07-01]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2385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아동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