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지용 시인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정지용의 생애
2.1. 고독한 유년 시절
2.2.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2.3. 객지 생활의 고독
2.4. 자녀의 잇따른 죽음
3. 시대적 배경: 모더니즘
4. 정지용의 시의 변모 과정
4.1. 초기 시 세계
4.1.1. 전통주의 시: 고향의 상실과 그리움
4.1.2. 이미지즘 시
4.1.2.1. 근대의 이미지: 근대적 공간에서의 비애
4.1.2.2. 바다의 이미지 - 양면성의 공간
4.2. 중기 시 세계: 카톨리시즘 바탕의 시
4.3. 후기 시 세계: 동양 전통 자연관 바탕의 산수시
5. 문학사적 의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정지용 시인의 생애와 문학 세계
정지용 시인은 충북 옥천에서 태어난 한국 현대시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그는 가난하고 고독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정지용은 민간전승과 전설에 둘러싸인 향토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으며, 열네 살에 결혼하여 자녀들이 잇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비극적인 삶을 경험했다. 이처럼 정지용의 삶은 고립감과 고난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정지용이 활동했던 1930년대는 한국 현대시문학의 전환기였다. 이 시기 서구의 모더니즘이 도입되면서 시인들은 기존의 낭만주의와 이념주의에서 벗어나 도시문명의 감수와 언어예술로서의 자각을 추구하게 되었다. 정지용 역시 이러한 모더니즘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시인이었다. 그는 선명한 이미지와 절제된 언어를 통해 근대적 경험과 감수성을 표현하고자 했다.
정지용의 시 세계는 시기에 따라 변모를 거듭한다. 초기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상실감을 다룬 전통주의 시를 쓰다가, 이후 이미지즘 시풍을 구현하며 근대와 바다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다. 중기에는 카톨릭 신앙에 귀의하여 종교시를 창작했고, 후기에는 동양 전통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한 산수시를 선보였다. 이처럼 정지용의 시 세계는 다양한 변모 양상을 보여주며, 시인으로서의 지속적인 탐구 정신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은 한국 현대시사에 있어 시적 감수성을 개선하고 시의 현대화에 기여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시는 서구적 특징과 동양적 정서를 절묘하게 결합하여 새로운 시적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정지용은 언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과 이미지 표현력으로 한국 현대시의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현대시에 있어 모더니즘의 문을 연 문학가이며, 시를 창작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도구인 언어를 재발견하고 그 언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창작함으로써 한국의 시문학 지평을 확장한 시인으로 평가받는 정지용의 시 세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정지용의 시는 절제된 감정과 잘 다듬어진 언어의 구사 및 신선한 이미지의 형성 등으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으며, 한국 전통의 민요나 구전 동요를 연상시키는 향토적 이미지를 현대적 작법으로 변용함으로써 한국적 모더니즘을 제시하는 한편 한국어의 시적 아름다움을 제고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지용의 시 전체에 걸친 모더니즘적 면모를 이해하고자 하며, 정지용이 추구하였던 이미지 중심적인 시 세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정지용의 생애
2.1. 고독한 유년 시절
정지용은 장남으로 무척 가난한 환경 속에서 엄격한 아버지 아래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이러한 부정적인 환경 속에서 어려운 생활을 해야 했고, 형제들마저 없었던 정지용의 어린 시절은 무척 외로웠다. 고독하고 가난했던 유년 시절에 대한 회상은 그의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어린 시절에 겪었던 가난과 고독은 그의 성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정지용은 자신의 유년 시절을 "소년쩍 고독하고 슬프고 원통한 기억이 진저리가 나도록 싫어진다."고 회상할 정도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정지용이 소유한 것은 가난과 고독뿐이었으며, 이러한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그는 성장해야만 했던 것이다.
2.2.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이라는 고향에서 태어났으며,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은 전설이 넘치는 공간이었다. 정지용의 시에서 동시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그의 유년기가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속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과 같이, 그의 고향은 전설과 이야기가 가득한 곳이었다. 정지용의 동시에서는 이러한 전설이나 민요가 바탕이 된 부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의 유년 시절이 민간전승과 전설로 가득했던 것은 그에게 아름다운 꿈과 동경의 세계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당시 그의 삶을 구제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지용의 유년기는 가난하고 고독한 환경 속에서도 민간전승과 전설...
참고 자료
강화신,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권명희, 정지용 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김영미, 정지용 시에 나타난 죽음 초월 양상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김윤식, 한국 현대시론 비판, 일지사, 1975
김재근, 이미지즘 연구, 정음사, 1973
유종호, 현대시의 오십년, 사상계, 1962
이양하, 바라든 지용시집, 조선일보, 1935
이철희, 정지용시 연구 ; 바다와 산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대인대학교, 1984
임화, 담천하의 시단1년, 신동아, 1935
정지용, 정지용 전집, 민음사, 2016
황준호, T.S. 엘리엇의 황무지 또다시 읽기, 현대영미시연구 제14권 제2호, 2008
위키백과 ‘박태원’
이광호(2013)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시선 주체와 문학사적 의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박태상(2017) 『박태원의 삶과 문학』 한국문화사
정현숙(1993) 『박태원문학연구』 국학자료원
위키백과 ‘정지용’
박태상저 (2010)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유종호 『정지용의 당대수용과 비판』,『문학포럼-정지용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 옥천군 옥천문화원지용회, 2002, 5
정지용, “대단치 않은 이야기”, 「散文」, 同志社, 1949, 150쪽.
김동근,「1930년대 시의 담론체계 연구」, 전남대학교, 1996. 142쪽.
한계전,「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326쪽.
최유찬,「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실천문학사, 1997, 306쪽.
김기림,「‘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1939. 101쪽.
문진아, 「정지용 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1993, 270쪽.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지형도』, 푸른사상, 2005, 175쪽.
유종호, 「시는 언어로 빚는다」,(유종호 전집5『문학의 즐거움』), 민음사, 1995, 128~129쪽.
김종태,「정지용 시의 문명 인식」, 『한국시학연구 제7호』, 2002. 119쪽.
금동철, 정지용의 시「백록담」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2009. 57쪽
鄭芝溶(정지용)의 詩(시)세계, <동아일보>,1988년 1월 19일, 제 6면.
이석우,「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푸른사상, 1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