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09.02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조무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정의 및 자격요건
1.2.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

2. 국내외 간호 인력 현황
2.1. 미국
2.2. 프랑스
2.3. 독일
2.4. 캐나다

3.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갈등 및 문제점
3.1. 인력 부족
3.2. 업무 범위의 모호성
3.3. 의사소통 및 상호 이해 부족

4.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4.1. 업무 범위 및 책임 명확화
4.2. 상호 존중과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
4.3. 의사소통 체계 구축

5. 간호법 개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정의 및 자격요건

간호사는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시험에 합격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이 발급하는 면허를 받은 사람으로서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와 더불어 법정 의료인에 해당한다.

간호조무사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인정을 받은 자로써 간호사 업무 보조 및 의원급 의료기관에 한하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환자의 요양을 위한 간호, 진료보조를 수행하는 자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관리하는 의료법 제7조에 의해 면허 자격이 주어지며 간호조무사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관리하는 의료법 제80조 및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에 의해 자격이 주어지는 차이점이 있다.

간호사 면허 취득을 위해서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 졸업 후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여야 하지만, 간호조무사는 고등학교 졸업자나 이에 동등한 자격을 가진 자로서 간호조무사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1.2.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의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다.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기획과 수행,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건활동,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간호사 업무보조에 대한 지도 등이다.""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는 간호사를 보조하여 간호사의 업무 중 가목부터 다목까지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간호조무사는 의원급 의료기관에 한하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환자의 요양을 위한 간호 및 진료의 보조를 수행할 수 있다.""


2. 국내외 간호 인력 현황
2.1. 미국

미국은 간호인력 양성과 인력배치에 있어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간호사(Registered Nurse, RN)와 간호보조인력인 면허간호보조원(Licensed Practical Nurse, LPN), 무자격보조원(Nurse Assistant, NA)으로 구분되며, 이들의 교육과정과 업무범위가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미국의 간호사 수는 2017년 기준 총 280만 명으로, 인구 1,000명당 간호사 수는 9.1명 수준이다. 간호사 자격은 전문학사(ADN), 전문학사 디플로마(Diploma), 학사(BSN) 등 3가지 경로로 취득할 수 있으며, 해당 주에서 2년마다 면허를 갱신해야 한다. 이에 비해 간호보조인력인 LPN은 고등학교, 병원, 직업학교 등에서 9개월~12개월 교육을 받고 NCLEX-PN 시험에 합격하면 자격이 주어진다. LPN은 간호사 및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의 개인위생, 활력징후 측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와 같이 미국은 간호사와 간호보조인력의 역할과 업무범위를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교육과정 또한 체계화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와 보조인력 간 역할 및 권한 범위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갈등 소지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프랑스

프랑스의 간호 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간호사 수가 간호조무사 수의 약 1.51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프랑스는 공중위생법의 R4311-5조 항에서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45가지로 상세하게 명시하고 있으나, 간호조무사의 업무는 별도로 규정되지 않고 "간호사 책임 하에서, 간호조무사가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범위 내에서 간호...


참고 자료

하경대, 변화하는 간호법 갈등 구조, '의사 vs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약소직역 vs 간호사', 메디게이트 뉴스, 23.04.24,
https://www.medigatenews.com/news/2568394363
이광식, 간호사-간호조무사 갈등, 핵심은 '일자리', 한국경제, 22.11.28,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
디지털콘텐츠팀, [사설] 대화 대신 대치로 갈등만 부추긴 간호법 사태, 국제신문, 23.05.16,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700&key=20230517.22019005496
김성희, 중소병원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갈등경험, 건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20, 106 p
제80조 (간호조무사 자격) > 법령 > 법령조문조회 | 종합법률정보 (scourt.go.kr)
제80조의2 (간호조무사 업무) > 법령 > 법령조문조회 | 종합법률정보 (scourt.go.kr)
2023 간호사를 위한 보건의료관계법규 l 김희경 l 수문사
대한간호협회(http://www.koreanurse.or.kr)
권혜림(2004), 「간호사가 말하는 간호사」, 부키
워크넷(www.work.go.kr)
이귀향 ․ 이영복, 「간호 사회학- 간호윤리 ․ 직업적 조정」, 수문사
김철호(2006), 갈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병원 조직 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집단 간 갈등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이병주(2013), 간호사-의사간의 갈등 연구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유현정(2014), 병∙의원 간호조무사 실무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원 보건과학과 학위 논문(석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