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심근경색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급성심근경색증의 정의 및 원인
3. 급성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4. 급성심근경색증의 증상과 징후
5. 급성심근경색증의 진단
6. 급성심근경색증의 치료
6.1. 시술 및 수술
6.2. 약물 치료
7. 급성심근경색증에서의 간호
8. 간호과정 적용
8.1. 간호사정
8.2. 간호진단 및 목표
8.3. 간호중재
9. 결론 및 제언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급성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장의 전기 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다. 이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남성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사망자 수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성심근경색증은 초기 사망률이 높고, 빠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성심근경색증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간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2. 급성심근경색증의 정의 및 원인
급성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심근조직에 비가역적인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섬유성 막이 생기는데, 이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혈액이 뭉쳐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해 심근으로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심근이 손상되는 것이 급성심근경색증의 주요 원인이다.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갑자기 관상동맥이 폐색됨으로써 발병하며, 불안정성 협심증과 더불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3. 급성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급성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해 해당 심근 조직이 비가역적인 괴사를 겪는 질병이다. 이는 관상동맥 벽에 쌓인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섬유성 막이 파열되면서 그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 부위에 혈액이 응고되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심근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고, 결국 심근 세포의 괴사가 발생하게 된다.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 허혈 현상(흉통)과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심부전), 심한 부정맥이 초래된다. 심근경색 환자의 50%는 부정맥, 심장성 쇼크, 심부전, 심장파열, 심낭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며, 대부분 발작 직후부터 2주 내에 일어난다. 한 번 손상된 심장근육은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른 심부전이 생길 수 있어 지속적인 치료와 경과 관찰이 중요하다.
4. 급성심근경색증의 증상과 징후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는 갑작스러운 흉통과 함께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빠지고 숨이 차며 흔히 오심과 구토를 호소한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1/3은 발병 1~4주 전에, 2/3는 1주 이내에 협심통을 경험한다. 흉통은 흉골 중앙하부에서 시작되고 좌측 어깨와 좌측 팔의 안쪽을 따라 방사된다. 급성 심근경색 발병 24시간 내에 38도 정도의 미열이 나타나 1주 정도 지속되며, 이는 경색된 심근세포의 사멸에 대한 생리적 염증과정으로 오는 전신반응이다. 또한 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백혈구가 증가해 호중구가 괴사된 심근 조직을 제거하며, 염증반응으로 C-반응 단백질(CRP)도 양성으로 나타난다. 호흡곤란도 관찰되는데, 이는 괴사된 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로 저산소증과 폐울혈이 발생...
참고 자료
사례: 『젊은 연령의 신증후군 환자에 발생한 심인성 쇼크를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 (2016. 4) 김규연 외, 대한내과학회, 대한내과학회지, p.326-329
김숙영 외, 수문사, 『제 10판 성인간호학 II』, 2023, 813-829p
성미혜 외, 수문사,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2023, 225-235p, 260-375p
서울아산병원, 급성 심근경색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사진 출처, 심근경색증 심전도 소견, https://m.blog.naver.com/daytoday_life/221508511535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
가톨릭서울성모병원, 약제부,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support/part_medicine
서울대학교병원, 흉부 X선 촬영 ,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아산병원 질환백과)
성인간호학 필통 개념집
성인간호학 (현문사)
기본간호학 (수문사)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Ⅱ서울: 수문사. p.699~855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I,Ⅱ서울: 현문사. P.619~765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p.762~779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제4판). 서울:현문사. P63
윤은자 외(2019년). 성인간호학Ⅱ(2판). 파주:수문사. p.762~p.770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상권(제8판). 서울:현문사. p.631~632, p.669~687
원종순 외(2022).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3판). 서울:현문사. p297, 298, 299, 302, 303
통계자료 출처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약 정보 출처 [Drug info] https://www.druginfo.co.kr/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6/*************.html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www.korea.kr/news/policyNewsView. do?newsId=148897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