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두통의 개요
두통은 신경계 질환자나 일반인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두통의 성격과 얼굴의 통증을 기반으로 1차성 두통과 2차성 두통으로 분류된다. 1차성 두통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근육, 신경, 혈관, 그리고 뇌의 통증유발 물질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두통이 이에 속한다. 2차성 두통은 뇌막염, 종양, 거미막하 출혈과 같이 두개 내 병리적 요인에 의해 초래된다. 긴장성 두통은 근육 긴장과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고, 편두통은 강한 유전적 양상을 보이며, 군발두통은 알코올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두통의 발생 원인과 증상, 특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1.2. 두통 유발 근육의 중요성
두통 유발 근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근육, 신경, 혈관, 그리고 뇌의 통증유발 물질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두통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활동성 근막 유발점이 긴장성 두통의 약 7-80%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다양한 근육들이 상호 협조하며 움직이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두통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근본적으로 근육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근막 유발점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두통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원인은 대부분 자세나 생활 습관에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육의 단축을 풀어주고 두통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세와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두통 유발 근육
2.1. 후두부 및 목 뒤쪽 근육
2.1.1. 흉쇄유돌근
흉쇄유돌근은 목의 굴곡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담당하는 근육이다. 하지만 거북목 등의 자세를 장기간 취하면 흉쇄유돌근에 긴장이 가해져 단축되어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긴장성 두통이 대표적으로 흉쇄유돌근의 통증 유발점은 뒷머리 통증, 이마나 눈 주변의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흉쇄유돌근의 긴장으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