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발전과정
1.1. 정의
내식은 가정에서 함께 모여 음식을 먹는, 가정 내의 식사이다. 내식에는 전통적 의미의 가정 내 식사인 내식적 내식과 완전 조리식품 등을 가정 내에서 제한적으로 일부과정을 조리하여 식사를 준비하는 외식적 내식이 있다. 외식은 가정 밖에서 사먹는 음식으로, 가정에서 도시락을 준비하여 가정 밖의 장소(직장, 학교, 유원지 등)에서 먹는 내식적 외식과 전문적으로 음식을 만들어 파는 곳(음식점, 레스토랑 등)에서 먹는 외식적 외식이 있다. 넓은 의미의 외식은 내식적 외식과 외식적 외식은 물론 외식적 내식까지도 포함한다. 외식산업은 가정 외에서 음식을 조리, 가공하여 상품화하여 이를 제공하는 식생활 전체를 의미하며, 음식점, 레스토랑, 학교급식, 요식업, 도시락 산업 등이 포함된다. []
1.2. 발전과정
1980년대 후반에 다양한 패스트푸드점,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베이커리 등이 생기면서 외식산업이 명실공이 산업으로서 자리 잡았다. 1990년대 전반에는 외식산업이 더욱 발전하여 하나의 큰 산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경제적인 요인으로는 국민 소득이 증대되면서 외식산업이 성장하였고, IMF 등의 경기침체 현상을 '가격파괴' '고품질 저단가 전략'으로 타개하려 노력했다. 또한 주5일 근무제 이후 외식 문화와 관광문화가 활성화되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핵가족화, 도시형 생활의 확대, 건강 및 레저를 지향하는 생활, 자가용 보육 증가, 가치관의 서구화, 고령화 사회 도래 등이 있다. 문화적 요인으로는 식생활의 서구화 및 서구식 문화의 일상화, 간편성을 지향하는 문화 확산이 있다. 기술적인 환경변화로는 주방기기의 현대화 및 과학화로 컴퓨터 시스템이 일반화되어 생산성 증가와 원가 절감이 이루어졌고, cold chain system의 보급 확산, 선진 노하우 도입, 고속조리기술, 조리설비, 포장 기술 발달, HACCP 시스템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외식의 기회 확대 추세에 따라 국민 소득 증대에 따른 외식 빈도 증가, 국제화·도시화로 외식 기회 증가, 자동차 보유 증가에 따른 여가생활 증가로 외식 빈도 증가 등이 나타났다. 또한 과거의 요식업이 1980년대 전반부터 외식산업으로 변화하였고, 다양한 패스트푸드점,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베이커리 등이 등장하였다.
고객 변화 측면에서는 과거 배고픔 해결을 위한 외식에서 자신의 취향과 스타일에 따른 외식 선택, 강한 맛에 대한 선호도 증가, 고급커피·차 선호, 건강음식 선호, 시간 부족에 따른 편리성 추구, 외식 시 음식 외적 요소 중요성 증가 등의 변화가 있었다.
2. 미국, 일본의 외식산업과 발전과정
2.1. 미국의 외식산업과 발전과정
1827년 델모니코스사가 레스토랑을 창업한 것이 미국 외식산업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