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정의와 원인
1.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정의
1.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원인
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병태생리
2.1.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적 작용
2.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병태생리
3.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진단검사
3.1. 신생아 선별검사
3.2. 혈액검사 결과 해석
4.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임상증상
4.1. 신생아기 증상
4.2. 영아기 이후 증상
5.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치료와 간호
5.1. 약물 치료
5.2. 간호중재
6.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예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정의와 원인
1.1.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정의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출생 시 발견되는 질환으로, 순환하는 혈액 내 갑상선호르몬의 양이 적어서 야기된 대사율의 감소로 특정지어진다.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 3,000~4,000명당 1명의 비율로 발생하며, 여아가 남아에 비해 2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질환은 과거에 크레틴병이라고 불리기도 했고, 대부분 갑상선이 잘못 형성되어 발생하지만, 간혹 유전적으로 갑상선호르몬이 합성되지 못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생후 1개월 이내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지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1.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원인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선천적으로 갑상선의 형성부전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장애 등으로 인해 갑상선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인 유전자 변이로 인한 경우이다. 갑상선 호르몬 합성 과정에서 필요한 효소의 결핍이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형태로 발생하여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전체의 약 15%를 차지한다.
둘째, 갑상선의 형성이상증이나 무형성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이다. 태아기 발달 과정에서 갑상선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여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한다. 이는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 환자의 약 80%를 차지한다.
셋째, 중추신경계-갑상선 되먹임 기전의 상실로 인한 경우이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기능의 이상으로 갑상선 자극호르몬(TSH) 분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한다.
넷째, 요오드 결핍으로 인한 경우이다. 갑상선 호르몬 합성 과정에서 요오드가 필수적인데, 요오드 섭취가 부족하면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다양한 선천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에 따라 영구적인 경우와 일과성 경우로 구분된다. 따라서 선별검사와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병태생리
2.1.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적 작용
갑상선 호르몬은 성장과 ...
참고 자료
김지연 외. (2022). 신생아건강간호.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신생아 건강간호, 수문사, 김미예 외 15명 공저, 2020년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의 재검율, 소환율 및 참고치 설정. 이정명,최태윤,이동화,and 이동환. 臨床檢査와 精度管理 23.1, 2001년
서울 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47
신생아 건강간호 / 김미예 외12명 / 수문사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학 / 박충선 외 10명 / 퍼시픽북스
신생아 중환자 간호 / 병원신생아 간호사회 / elsevier
근거기반중신의 아동간호학 / 박은숙외 10명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