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림프종 중 가장 흔한 종류로, 림프조직 세포의 악성 전환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림프종에는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이 있으며, 비호지킨 림프종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주로 림프절에 발생하지만, 림프절 외 조직인 위장관, 피부, 뼈, 중추신경계, 갑상선, 고환 등을 침범할 수 있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빠르게 진행하는 림프절 종대를 보인다. 그러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기 어려워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등의 치료와 더불어 적절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특성과 치료, 그에 따른 간호 관리 방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2. B세포 림프종의 정의와 분류
림프종은 림프조직 세포들이 악성 전환되어 생기는 종양을 말하며, 림프종에는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이 있다.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은 림프조직에 존재하는 세포의 악성종양으로서 호지킨 림프종을 제외한 질환을 칭한다. 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B-림프구에서 기원한 림프종으로, 비호지킨 림프종의 한 유형이다. 비호지킨 림프종의 40%~5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8세이고 대부분 빠르게 진행하는 림프절 종대를 보인다. 림프절 이외에도 위장관, 피부, 뼈, 중추신경계, 갑상선, 고환 등 림프절 외 부위를 침범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얻기가 어렵다. 유형에 따라 치료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포함되며, 그에 따라 치료와 간호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발생 양상
3.1. 발생 부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주로 림프 조직에 발병하지만 림프절 외 조직에서도 많이 발병한다. 림프절이나 실질 장기를 침범하며, 질병의 파급이 일정한 연결 계통 없이 일어나 흔히 다발성으로 나타난다.
림프절 이외에도 위장관, 피부, 뼈, 중추신경계, 갑상선, 고환 등 다양한 부위를 침범할 수 있다. 즉, 림프 조직뿐만 아니라 림프절 외 장기나 조직에서도 발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전신적으로 퍼질 수 있으며, 다발성 병변을 보일 수 있다.
3.2. 림프절의 기능과 구조
림프절은 간질액 또는 림프에 있는 미생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림프절 피질(겉질)에는 B림프구, 내피질에는 T림프구, 수질(속질)에는 T 와 B 림프구, 형질세포, 대식구가 있어 인체 내에 들어온 병원체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한다""림프절은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한 후 대부분 세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되돌아가지만, 모세혈관의 10% 정도는 림프관으로 연결되어 림프액이 우측 림프관, 흉관으로 모여 각각 우측, 좌측 쇄골하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림프관은 림프절의 위치를 표시한 그림과 같이 전신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곳곳에 철도의 간이역처럼 림프절이 배열되어 있다" 림프절은 원형 또는 완두콩 모양으로 여과기능을 하며 우리 몸의 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세포인 림프구로 채워져 있다""
4.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위험 요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위험 요인은 바이러스 연관성과 비정상 면역조절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 중에는 사람 T세포친화바이러스(HTLV-1)에 의한 림프종, 후천성면역결핍바이러스와 연관된 림프종 등이 있다. 또한 면역 결핍상태에서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 이식, 후천성면역결핍증, 선천성면역결핍증후군, 자가면역질환 등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면역결핍은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이다. 장기이식 후에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신장 이식 환자의 경우나 심장이나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는 발생 위험성이 훨씬 높다. 쇼그렌 증후군, 루푸스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이 악성 림프종과 관련이 있다. 또한 골수증식질환 등으로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경우에는 발생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