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역학사례
1.1. 2018년 초코케이크 집단 발병 사례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5일까지 (주)OO에서 제조한 우리밀초코케이크를 섭취한 190개교 중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증상자가 있는 60개교 33,918명(총 12개 시·도, 34개 시군구, 60개교)에서 집단 발병이 발생하였다. 발생신고 일시는 18.09.05 ∼ 18.09.09이며, 추정위험노출일시는 9/3(중식)∼9/5(중식)이었다. 역학조사 일시는 9/5 ∼ 9/13(각 지자체), 9/5(초코케이크 제조업체), 9/7(원료 난백액 제조회사), 9/18(농장 집하장)이었다. 최초 환자 발생 일시는 9월 3일 13시였다. 평균 잠복기는 42시간이었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가 역학조사를 총괄하였고, 역학조사 디자인, 사례정의, 환자·노출자·조리종사자 사례조사 및 분석, 역학조사결과보고서 작성 등을 수행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 등은 유통업체와 제조업체를 조사하고 수거 검사를 하였으며, 각 시·도 보건과는 환자 현황 파악 및 일일보고와 관할지역 발생 유행 역학조사 및 자문을 실시하였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관할지역 유행의 인체 및 보존식 검사를, 각 시·군·구 보건소 감염병 담당과는 인체검체 채취 및 검사의뢰, 환자·노출자·조리종사자 사례조사를 담당하였다.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 담당자는 닭 분변 및 총배설강, 계란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였다.
사례 정의는 9/3∼9/5 초코케이크를 급식으로 제공한 학교 중 해당 케이크를 섭취 후 ⅰ) 설사 3회 이상 또는 ⅱ) 설사 2회와 발열감이나 복통 동반 또는 ⅲ) 구토 1회 이상인 사람으로 하였다. 확진자는 증상유무와 관계없이 직장도말검사 또는 대변검사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자로 정의하였다. 조사 디자인은 환자-대조군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관할 보건소에서 각 학교별로 첫 환자 발생 3일 전부터 식품섭취력을 조사하고, 전체 2,071명에 대한 인체검사를 실시한 결과 749명(36.2%)에서 Salmonella Thompson균이 검출되었다. 54개교 케이크 보존식에서도 해당 균이 검출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완제품 난백액 2건과 원료 난백액이 포함된 초코케이크 및 화이트·딸기케이크에서 동일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
사례 발병률은 8.8%(2,975/33,918)였고, 12개 시·도, 34개 시·군·구 소재 60개 학교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동일업체의 케이크를 납품받은 190개 시설 중 60개교(31.6%)에 해당하였다. 60개교 초코케이크 식품섭취력 분석 결과 오즈비가 4.0~39.4로 8개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초코케이크 제조업체와 난백액 제조업체 종사자 검사 결과 일부에서 무증상 보균자가 확인되었다. 계란농장과 집하장 검사에서는 해당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집단발병은 오염된 난백액으로 제조한 초코케이크에 의한 Salmonella Thompson균 감염으로 판단되었다.
1.2. 2018년 대구 00중학교 캄필로박터균 집단 발병 사례
2018년 6월 4일 대구 00중학교에 원인불명의 고열 환자가 대량 발생하였다. 이에 역학조사관들은 00중학교 보건교사와 연락을 취하여 해당 사실을 확인하고 역학조사를 위해 학교를 방문하였다. 추가환자를 모니터링하던 중 설사 환자가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고, 회의를 거쳐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으로 역학조사 실시를 결정하였다. 유증상자가 00중학교에서 공동 급식을 섭취한 이력이 있고 증상 및 발생일시가 유사하여 공동노출원에 의한 유행일 가능성이 있어 원인 및 전파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역학조사반이 00중학교로 방문하여 급식인원 및 조리종사자 등 575명(학생 508명, 교직원 60명, 조리종사자 등 7명)에 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증상자 포함 39명에 대하여 검체 채취를 진행하였다. 사례는 00중학교에서 제공하는 급식을 섭취한 자 중 하루에 3회 이상 설사를 하거나 2회 설사와 소화기 증상(구토, 복통, 오한, 발열 등)이 나타난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역학조사 결과, 캄필로박터 감염병 유행의 정점은 6월 4일이었고, 6월 4일의 시점유병률은 13.2%이다. 575명 중 사례는 총 152명으로 26.4%의 발병률을 보였다.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152명, 발열 110명, 오한 68명, 메스꺼움 85명, 구토 39명, 복통 129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