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루게릭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루게릭병(ALS) 개요
2.1. 정의
2.2. 병태생리
2.3. 원인
2.4. 증상
2.5. 진단검사
3. 사례보고서
3.1. 간호정보조사지
3.2. 간호과정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루게릭병(ALS)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근육위축가쪽경화증이라 불리며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1869년 프랑스의 의사 장마르틴 샤콧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으며, 이후 1939년 미국의 유명한 야구 선수인 '루게릭'이 이 질환을 앓게 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면역적 요인, 신경영양인자 결핍, 글루타민산 과잉, 운동신경세포 골격의 이상, 자유기와 산화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을 완화시키고 안위와 존엄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루게릭병(ALS) 개요
2.1. 정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이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근육위축가쪽경화증이라 불리며,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이다. 대뇌 피질의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1869년 프랑스의 의사 장마르틴 샤콧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고, 이후 1939년 미국의 유명한 야구 선수인 '루게릭'이 이 질환을 앓게 되면서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며, 이때부터 '루게릭 병'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손과 팔, 다리의 근육위축이 특징이며 원인도 모르고, 치료 방법도 없고, 표준화된 진행양상도 없으며 예방법도 없다. 이 질병은 어느 연령에서도 발병하지만 일반적으로 40~70세에 발병률이 높고, 남자에게 더 높다. 질병 발생 후 2~5년 안에 사망한다. []
2.2. 병태생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약 10%는 가족내 일정한 유전성을 보이지만, 대부분에서는 산발성으로 발병된다. 대뇌 및 척수의 운동신경원이 선택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운동신경원 질환으로 불리며, 중추신경계의 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됨으로써 근육들이 운동신경의 자극에 대해 적절한 운동기능을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반면 신체에 분포된 감각신경, 자율신경 등은 거의 침범되지 않으므로 임상적으로 감각이상 또는 자율신경 장애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에서는 중추신경계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면서 상부 운동신경원과 하부 운동신경원 모두가 침범된다. 상위운동신경원이 파괴되면서 겉질숨뇌로와 겉질척수로가 점차 손상되고, 이에 따라 뇌줄기, 목, 가슴, 허리엉치분절이 담당하는 얼굴, 몸통, 사지에 강직과 심부건 반사항진과 같은 징후가 나타난다. 또한 척수의 각 분절의 앞뿔에 위치한 아래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되면 하위운동신경원을 침범하면 근이완, 마비, 위축이 함께 나타난다.
2.3. 원인
환경적 요인이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서태평양지역에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이 많이 발생하였고, 괌에서 ALS와 유사한 질병의 높은 발생률을 보였던 증례를 통해 제기되었다. 음식, 술, 운동, 흡연과 같은 특정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들이 이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과 관련될 수 있다.
유전적 요인도 ...
참고 자료
김명희 외(2015), 성인간호학 = Medical-surgical nursing. 2 ,수문사, 서울, p495~496, ALS 간호
강미정 외(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p94~96 p233~242, 폐렴 신경계 질환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서울, p2~355, 간호과정 내용
송경애 외 (2018) 기본간호학2, 수문사, 서울, p325, 불안완호 간호
ALS treatment, https://alstreatment.com/als-pneumonia-risk/, ALS 간호
삼성서울병원 암센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52&DP_CODE=CIC&MENU_ID=004027015 , 기관절개술 관리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qkdwognsdl27/222087590608 , 체위배액요법 흉부물리요법
병원간호사회, http://khna.or.kr/homecare/chronic/chronic_02c.php , 바른 기침법
삼성서울병원 약제부,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MENU_ID=004018014, 네블라이저 사용방법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3664787 , 루게릭병 의사소통방법(그림판)
승일희망재단, 한양대학교 루게릭병클리닉, 루게릭병을 이기는 사람 ppt, 루게릭병 의사소통방법(대화그림,그림판 사용법)
유튜브- 메디컬 다큐 7요일 - 멈추고 싶은 아내의 시간- 루게릭병 외_#002
https://www.youtube.com/watch?v=MEMe8G-bwG4&ab_channel=EBSDocumentary%28EBS%EB%8B%A4%ED%81%90%29
유튜브- 메디컬 다큐 7요일 - 멈추고 싶은 아내의 시간- 루게릭병 외_#003
https://www.youtube.com/watch?v=duOxiZyMMAY&ab_channel=EBSDocumentary%28EBS%EB%8B%A4%ED%81%90%29
[네이버 지식백과] 아이스버킷챌린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12172&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84&cid=51007&categoryId=51007
한국루게릭병 협회
http://www.kalsa.org/
성인간호학Ⅱ, 윤은자외, 수문사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외, 수문사
황옥남 외 공저 2013.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411-413 p.526)
한국 ALS협회
한양대학병원 루게릭병 클리닉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 질환센터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