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근육주사둔부의 복면에 대한 실습성찰일지작성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근육주사의 목적과 필요성
1.2. 근육주사의 기본 원리
1.3. 근육주사 실습의 중요성
2. 근육주사 부위 및 체위
2.1. 둔부 복면 주사
2.2. 둔부 배면 주사
2.3. 대퇴부 주사
2.4. 삼각근 주사
3. 근육주사 실습 절차
3.1. 준비 물품 및 확인 사항
3.2. 주사 부위 선정 및 체위 취하기
3.3. 무균법 적용하기
3.4. 정확한 주사 기법 수행하기
3.5. 투약 후 간호 제공하기
4. Z-track 근육주사 기법
4.1. Z-track 기법의 정의 및 특징
4.2. Z-track 기법 실습 절차
5. 실습 성찰
5.1. 실습 중 배운 내용
5.2. 중요 내용 파악
5.3. 부족한 점 및 보완 방법
5.4. 실제 상황 적용 방안
6. 결 론
6.1. 근육주사 실습의 의의
6.2. 실습을 통한 학습 성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근육주사의 목적과 필요성
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조직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피하조직과 피부조직에 심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약물을 안전하게 주사하기 위해 필요하다. 근육주사를 통해 약물을 근육에 주사함으로써 약물의 흡수가 빠르고 장기간 지속되며, 약물의 유효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하주사나 정맥주사에 비해 부작용 발생률이 낮다. 따라서 근육주사는 투여가 필요한 다양한 약물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근육주사의 목적은 약물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흡수를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이고,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약물을 근육에 주사함으로써 투여 후 빠른 시간 내에 약물이 혈액 내로 흡수되어 즉각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근육 내 약물 저장소로 인해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어 장기간 약물의 유효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물 부작용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근육주사는 환자의 빠른 증상 완화와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위해 필요한 투여 방법이다.
1.2. 근육주사의 기본 원리
근육주사는 약물을 피하조직이나 피부조직이 아닌 근육조직에 투여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피하주사나 정맥주사에 비해 보다 완만하고 지속적인 약물 흡수가 가능하다. 근육은 풍부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약물이 빨리 흡수되어 전신으로 퍼지게 된다. 또한 근육은 연부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사 후 통증이 적고 심한 자극이나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피하조직이나 피부의 흡수력이 떨어지는 약물을 근육에 주사하면 더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육주사는 약물 투여 시 필요한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
1.3. 근육주사 실습의 중요성
근육주사 실습의 중요성이다. 근육주사는 피하조직과 피부조직에 심한 자극을 주는 약물을 안전하게 근육에 주사할 수 있도록 하는 술기이므로 임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근육주사 술기에 대한 실습을 통해 절차와 기법을 익히는 것은 간호학생에게 필수적이다. 실습을 통해 근육주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상황에서 정확하고 안전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실습 중 배운 내용을 반복 연습하여 숙달함으로써 술기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Z-track 기법과 같은 응용기법에 대한 실습은 실제 임상에서 보다 효과적인 근육주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처럼 근육주사 실습은 간호학생들이 임상 현장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근육주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근육주사 부위 및 체위
2.1. 둔부 복면 주사
둔부 복면 주사는 대상자의 오른쪽 측와위 자세에서 이루어진다. 대상자의 왼손으로 오른쪽 무릎을 구부려 근육을 이완시킨 후, 간호사의 왼손 엄지손가락은 전상장골극에 올리고 중지는 장골능을 따라 V자로 벌려 그 사이의 부위를 주사 부위로 선정한다. 주사 시 주사바늘은 90도로 빠르게 찌르되, 1-2mm 정도 남겨두어 바늘이 부러질 우려를 줄인다. 약물 주입 후에는 주사부위를 소독솜으로 살짝 눌러주며 마사지하되 압박을 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약물 흡수를 촉진하거나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대상자의 자세를 편하게 해주고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 뒤, 투약기록을 실시한다.
둔부 복면 주사는 근육주사의 대표적인 부위로, 피하조직과 피부조직에 심한 자극을 주는 약물을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주사 부위 선정과 체위 취하기, 무균술 적용, 정확한 주사 기법 수행, 투약 후 간호 제공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2.2. 둔부 배면 주사
둔부 배면 주사는 대상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근육을 이완시킨 후 시행한다. 엄지발가락을 안쪽으로 모아 근육을 이완시키고, 대전자와 후상장골극을 연결한 사선의 상외측을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주사 시 대상자의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키기 위해 엎드린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간호사는 왼손으로 주사부위를 지지하고 오른손으로 90도 각도로 빠르게 주사한다. 주사 후에는 주사부위를 1-2분간 압박하여 출혈을 억제하고 약물의 흡수를 돕는다.
노인 대상자의 경우 근위축으로 인해 가는 바늘을 사용하고, 영아의 경우 둔부 배면 주사는 피하여 외측광근에 주사하는 것이 좋다. 가정간호나 자가주사 시에도 둔부 배면 주사가 활용되는데, 이때는 통증 감소와 주사액 흡수 촉진을 위해 Z-track 기법을 적용한다.
둔부 배면 주사는 비교적 근육이 두꺼워 주사액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어 근육주사의 대표적인 부위이다. 그러나 좌골신경을 손상시킬 수 ...
참고 자료
2010.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원종순 외 공저, 현문사
2013. 『병리학』, 김정혜 외 공저, 청담미디어
2012. 『임상실습지침서[성인간호학 1.2]』.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2013. 『기본간호학1.2』, 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2013.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송경애 외 공저, 수문사
2013. 『성인간호학 상권』, 조경숙 외 공저,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