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on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질병의 정의와 원인
3. 질병의 병태생리
4. 증상 및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7. 간호사정
7.1. 일반적 사항
7.2. 입원 관련 정보
7.3. 간호력
7.4. 각 기관별 문진
7.5. 진단 검사
7.6. 치료 및 경과
8. 간호과정
9. 결론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암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써, 보건의료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질환이다. 환자들은 암 진단을 받으면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는다. 특히 악성 종양이 많은 기관에 전이된 말기 암 환자의 경우 호스피스와 연계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겪는 신체적 변화에 대한 다양한 감정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이성 골종양 환자를 사례로 선정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질병의 정의와 원인
전이성 골 종양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이 골조직으로 전이된 상태를 의미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악성 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하면서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종양 세포가 혈관과 임파선으로 침윤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 증식하게 되면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전신의 혈류가 모이는 폐와 간은 악성 종양이 전이되기 쉬우며, 위암이나 대장암의 문맥을 통한 전이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폐로부터의 전이가 많다. 이는 이들 암종의 발생 빈도가 높고 혈류가 문맥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다. 간으로 암이 전이되는 기전은 인접 기관으로부터의 직접 전이, 간 동맥계로부터의 전이, 문맥계를 통한 전이 등이 있다. 또한 세포의 이동에 의해 간 표면에 전이 세포가 퍼지기도 한다. 이러한 전이성 종양들은 임상 증상이나 검사 결과로 발견되기 전에 이미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3. 질병의 병태생리
간 전이는 악성종양의 진행에 수반되는 현상이다. 악성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하면서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종양 세포가 혈관과 임파선으로 침윤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 증식하게 되면 전이가 일어난다. 전신의 혈류가 모이는 허파와 간은 악성 종양이 전이되기 쉽다. 간에 전이되는 양식은 위암, 대장암의 문맥을 통한 전이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에 허파로부터의 전이가 많다. 위암, 대장암의 빈도가 높은 데다가, 혈류가 문맥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전이되기가 쉬운 것이다. 간으로 암이 전이되는 기전은 인접기관(위, 담낭 등)으로부터 직접 전이, 간동맥계로부터 전이, 문맥계의 의한 전이이다. 또한 세포의 이동(cell migration)에 의하여 간 표면에 전이 세포가 퍼지기도 한다. 이런 전이성 종양들은 임상증상이나 검사실 검사에 의해 발견되기 전에 이미 많이 진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4. 증상 및 진단검사
간 전이의 경우 원발성 암의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흔히 최초의 증상은 피로이다. 간의 비대해지고 딱딱해져 압통이 나타나며 진행되면 황달(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함), 복부가 체액으로 부어오를 경우 복수, 식욕부진 등이 나타난다. 그 외 체중감소, 발열, 상복부 통증이 나타나고 특히 암이 췌장에서 발생할 경우 비장이 비대해지는데 황달은 정상이거나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황달이 심해지면 담도의 침범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은 사망 몇 주 전에 황달이 점차 악화된다. 간이 크게 손상되어 독소를 혈액에서 제거할 수 없게 되면 뇌에 독소가 축적되기 때문에 환자는 혼돈과 졸림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간성뇌병증이라고 한다.
진단검사 방법으로는 임상검사, 방사선 촬영, 조직 검사, 골 스캔(bone scan) 등이 있다. 혈액검사에서 암세포에서 ALP와 LDH가 상승된 것을 볼 수 있으며, AFP는 원칙적으로 상승하지 않지만, 원발병소에 따라 다른 종양표지자가 상승할 수 있다. 단순 CT, 조영 CT, 간혈관 조영, 복부초음파검사, MRI, 전신 PET검사 등의 영상검사를 실시한다. 영상 검사 결과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또는 치료 결정에 도움이 필요한 경...
참고 자료
Meg Gulanick, Judith L.MYERS,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2015.
Carolyn Jarvis, 임경춘 외 공역. 건강사정. 서울: 정담미디어; 2016.
조경숙 외 공저.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2016.
조경숙 외 공저.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2016.
김금순 외 공저. 여덟째 판 성인간호학 Ⅱ. 파주: 수문사; 2016.
김금순 외 공저. 여덟째 판 성인간호학 Ⅰ. 파주: 수문사; 2016.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제6판 성인간호학 상권/현문사/2013년 9월 10일 출판
성미혜, 강정희, 이은주 외 공저/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접근)/정문각/2011년 1월 15일 출판
드럭인포(http://www.druginfo.co.kr)
NANDA 간호중재와 진단
서울 대학교 병원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37~540
「전이성 간암」,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9341&cid=55758&categoryId=55758
「전이성 간암」,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5/5/8.do
「종양이란?」, 대한종양외과학회
http://www.koreansso.org/general/general01_2
「간암」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76&cid=60406&categoryId=60406
「전이」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060&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2#TABLE_OF_CONTENT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전이성 간암」,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A%B0%84-%EB%B0%8F-%EB%8B%B4%EB%82%AD-%EC%9E%A5%EC%95%A0/%EA%B0%84%EC%A2%85%EC%96%91/%EC%A0%84%EC%9D%B4%EC%84%B1-%EA%B0%84%EC%95%94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전이성 간암(Metastatic Liver cancer)에 대한 이해」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mc_cancer&logNo=221544489029&categoryNo=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Jenna Fletcher(June 4, 2019), 「What to know about liver metastases」, Medical News Today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25379
강남 청담힐요양병, 간암의 근치적치료법(간절제술, 간이식)-간암환자, 삼성병원근처 암요양병원
https://blog.naver.com/cheongdamhp/221443009548
cardinal health - 사진출처
https://www.cardinalhealth.kr/en_kr.html
사진출처
https://www.tokopedia.com/arimiajm/abdominal-binder-size-418-stretches-to-fit-152cm-191cm-6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