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분만합병증 및 산후출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2.2.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
2.3. 난소낭종(ovarian cystic tumor)
3. 본론
3.1. 사례연구
3.2. 임상검사
3.3. 투약
3.4.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전 세계 모성 사망의 다섯 가지 주요 원인에 포함되며 거의 경고 없이 일어나 산모에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산후 합병증이다. 이에 간호사의 신속하고 능숙한 대응 및 중재가 필수적이다. 산후출혈은 발생 시기에 따라 조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과 후기 산후출혈(late or secondary postpartum hemorrhage)로 구분한다. 조기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이완이며, 후기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퇴축부전과 태반잔류이다.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 헤모글로빈 수치, 자궁저부 상태, 오로 양상, 배뇨 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자궁저부 마사지, 자궁수축제 투여, 수액요법 및 혈액보충, 외과적 중재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제왕절개(Cesarean Section)는 복부 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이다. 의료기술이 발달함에도 불구하고 제왕절개로 인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질분만의 2배 이상이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2022년 61.2%로 WHO 권고 수준보다 높으며 OECD 국가 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국가에 속한다. 이러한 원인은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왕절개는 산후출혈의 위험, 감염 위험, 회복 지연, 유착, 수술 부위 상흔 등 많은 부작용이 제기되고 있으며, 마취나 수술로 인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
제왕절개의 적응증은 모체와 태아 측 요인, 태반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체측 요인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이 있고, 태아 측 요인으로는 태아질식, 태위이상, 거대아 등이 있다. 또한 태반 전치, 태반 조기박리와 같은 태반 요인도 제왕절개의 적응증이 된다.
제왕절개 수술을 위한 준비는 수술을 위한 산부 준비와 신생아 간호 준비가 포함된다. 수술 전 면담을 통해 산부의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활력징후, 체중, 신장 측정, 과거 수술 경험, 현재 약물 복용 상태 등을 확인한다. 또한 혈액검사, 흉부 X-ray,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산모의 건강 상태를 평가한다. 수술 전 위장관 준비를 위해 8시간 동안 금식을 시행하며, 수술 전 수술 부위를 깨끗이 제모한다.
제왕절개 수술 방법은 크게 재래식 제왕절개와 자궁하부 제왕절개로 구분된다. 재래식 제왕절개는 복부와 자궁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는 방법이며, 자궁하부 제왕절개는 자궁의 가장 얇은 하부를 가로로 절개하는 방법이다. 자궁하부 제왕절개는 실혈량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자궁 파열의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제왕절개 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일반적인 간호와 산과적 간호를 함께 제공한다. 호흡기능 증진, 영양 및 수분 균형 유지, 배뇨 간호, 모아 애착 증진, 활동과 휴식 증진, 편안함 도모, 출혈 및 감염 예방, 일반적 간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퇴원 교육을 통해 불편감 완화, 운동, 합병증 예방, 성생활, 추후 검진 등에 대해 안내한다.
제왕절개 수술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과다출혈, 주변장기 손상, 자궁내막염, 상처감염, 골반 혈전정맥염, 요로감염, 위장관계 합병증, 심부 정맥 혈전증 등이 있다. 장기적으로 제왕절개술을 반복할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하며, 다음 임신 때 전치태반이나 유착태반 등의 위험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2.2.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질분만 후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질분만 후 400~600mL,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의 실혈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과도한 출혈로 인해 현기증, 허약감, 심계항진, 발한, 혼돈과 같은 증상이나 저혈압, 빈맥, 핍뇨, 낮은 산소포화도(95% 이하)와 같은 저혈량 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기도 한다.
산후출혈은 발생 시기에 따라 조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과 후기 산후출혈(late or secondary postpartum hemorrhag...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Ⅰ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 Ⅱ - 현문사
안숙희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Ⅱ」, 현문사, 2021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2022년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Ⅰ, Ⅱ」 수문사, 2021
채용화 외, (2010). 최신임상강좌 : 대량 산후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의 치료 효과.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3(9), 769-77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분만 후 출혈」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아스트리악손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한림펜타닐주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H0014
케토신주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574
하트만용액]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40
하트만덱스액]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95
중외엔에스주사액]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110100025
메트리날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명문염산페치딘주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156
페니라민주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08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Ⅰ」, 수문사, 2020.0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Ⅱ」, 수문사, 2020.02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통계」,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20000&brdScnBltNo=4&brdBltNo=2315&pageIndex=1&pageIndex2=1#none, 2024.03.27.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https://www.childcare.go.kr/?menuno=273, 2024.03.27.
대한산부인과학회, https://www.ksog.org/bbs/index.html?code=vod1&category=&gubun=&page=5&number=6324&mode=view&keyfield=&key=, 2024.03.27.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244, 2024.03.28.
바이오타임즈, 난소낭종, 가임력 보존 위한 치료 방법은?,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16, 2023.12.0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 산후출혈 사진
Shutterstock, https://www.shutterstock.com/ko/search/%EC%B6%9C%ED%98%88, 산후출혈 사진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2024.03.27.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NANDA-I 개정에 따른 별책부록, 수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