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산후출혈 간호진단2024.11.301. 서론 1.1. 연구목적 산후출혈은 분만 후 겪을 수 있는 응급상황 중 하나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질 분만 후 24시간 이내 출혈량이 500㎖ 이상일 경우로 정의된다.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수반되지 않으면 임산부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징후이다. 지난 10년(2009년~2018년) 간 연평균 모성 사망자 49.8명 중 20~30%가 산후출혈로 목숨을 잃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출혈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및 간호...2024.11.30
-
분만합병증 및 산후출혈 간호과정2025.05.041. 서론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전 세계 모성 사망의 다섯 가지 주요 원인에 포함되며 거의 경고 없이 일어나 산모에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산후 합병증이다. 이에 간호사의 신속하고 능숙한 대응 및 중재가 필수적이다. 산후출혈은 발생 시기에 따라 조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과 후기 산후출혈(late or secondary postpartum hemorrhage)로 구분한다. 조기 산후...2025.05.04
-
제왕절개 저혈량성 쇼크 간호과정2025.07.221. 서론 1.1. 제왕절개 저혈량성 쇼크 간호과정 제왕절개 산모의 저혈량성 쇼크 간호과정 수술 후 적절한 사정과 수행으로 산부는 신체적·생리적으로 지지된다. 적절한 체위와 진통제 사용으로 편안함이 유지되며, 산모와 배우자, 신생아와의 관계가 잘 형성된다. 퇴원 후 가정에서 산모는 자기간호를 잘 할 수 있다고 말하며, 긍정적인 강화와 교육을 통해 산부의 회복이 증진된다. 활력상태는 마취나 출혈에 대한 반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활력징후를 5분마다, 그 다음 1시간은 15분마다, 그 다음 8시간은 1~2시간마다 측...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