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성간호학 임신성당뇨병 케이스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모성간호학 임신성당뇨병 케이스 연구
2.1. 임신성 당뇨병 문헌고찰
2.2. 조기진통 문헌고찰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자료수집)
3.2.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3.3. 투약
3.4. 간호진단 목록
3.5. 간호과정
4. 결론
4.1. 결론 및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모성간호학Ⅱ - GDM(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교과목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과 함께 나타났다가 출산과 함께 사라지는 당뇨병의 형태로, 우리나라 일부의 3% 정도에서 나타나고 주로 임신 24~28주에 발견된다. 대개는 출산을 한 후에는 없어지지만, 5~10년 이내 절반에서 당뇨병이 발병하는 소위 당뇨병의 고위험군으로 여겨진다. 또한, 다시 임신을 할 경우 약 절반 정도에서 재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에게 유산 및 선천적 기형 초래, 고인슐린혈증과 거대아,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산모에게는 조기 분만, 양수과다증, 세균 또는 진균에 의한 감염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중에 적극적인 혈당관리가 강조된다.
2. 모성간호학 임신성당뇨병 케이스 연구
2.1. 임신성 당뇨병 문헌고찰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탄수회물 대사장애로, 임신 동안에 발생하며 임신전 당내성(glucose intoleranee)을 경험하지 못한 임부가 임신 중에 과혈당으로 나타날 때 진단된다. 대부분의 임부는 인슐린 저항에 대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써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GDM이 발생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개 임신말기에 나타나며 경한 당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대부분 임신이 끝나면 사라지나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추후 제Ⅱ형으로 발전할 수 있다. GDM은 모든 임산부의 2~7% 정도에서 발생할 수 있고, 인종적 분포는 다양하지만 스페인계와 아시아, 흑인들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GDM의 진단은 임신 2기의 중반에 이루어지는데 태아의 영양요구가 임신 2기 후반과 3기에 증가하고 또한 그 시기에 태반호르몬과 insulinase, 코티졸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임부의 인술린 요구는 3배 정도 증가한다.
임신성 당뇨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은 명확하게 알려진 바 없으나 비만한 여성, 거대아 출산력이 있거나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GDM 임부의 경우 고혈당과 케톤산증, 자간전증의 발생위험성 증가, 거대아와 관련된 제왕절개 비율 상승, 임신 종료 후 제Ⅱ형 당뇨로 발전할 수 있다. 임신성 당뇨가 태아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임 신 전 당뇨병이 있는 여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며 다만 선천성 기형의 비율은 낮다. 거구증과 관련된 난산과 분만 중 손상의 위험이 크며 태아의 호흡곤란 증후군과 출생 직후 나타날 수 있는 저혈당, 저칼슘혈증, 고빌리루빈 혈증 등의 증상이 있다.
GDM의 70% 정도는 증상 없이 발생하므로 모든 임부에게 산전검사와 더불어 GDM 여부를 확인한다. 임신 24~28주에 해당하는 임부에게 당부하검사(glucose tolerance test, GTT)를 통해 진단하는데 이는 식사에 상관없이 50g의 포도당을 구강으로 투여하고 1시간 후에 혈장포도당을 측정한다. 이때의 혈당치가 140mg/dL 이상이면 양성이며 양성일 경우 추후 3시간 구강 GTT를 실시한다. 3시간 구강 GTT는 시행 전 식이의 제한 없이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사를 하도록 하고 검사 전날 밤부터 금식 후 이루어진다. 임부에게 100g의 포도당을 구강으로 섭취하게 하고 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 경과시점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수준을 확인한다. 검사결과로 다음 수치 중 2개 이상에서 증가되어 있으면 1개월 후에 다시 검사한다.
GDM의 90% 정도는 대개 분만 후에 혈당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어 따로 치료하는 것은 없다. 임신기간동안 식단조절과 운동, 인슐린투여로 혈당조절을 한다. 간호중재로는 위험요인 사정, 혈당체크, 식이조절, 운동에 대한 교육 및 산후 관리가 중요하다. 출산 후에도 제Ⅱ형 당뇨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관리가 필요하다.
2.2. 조기진통 문헌고찰
조기진통(preterm labor)은 임신 20주 이상~37주 이전에 자궁경관의 개대와 소실이 동반되면서 규칙적으로 자궁수축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기진통은 '조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모든 조산의 약 75% 정도는 34~36주에 발생하고 신생아 사망률의 33% 이상이 조산과 관련되어 있다. 조산아는 만삭아보다 조기 사망과 장기간의 건강문제를 가질 위험성이 증가한다. 32주 이전에 출산한 조산아는 그 이후 출산한 조산아보다 이환율과 사망률이 더욱 더 높다. 따라서 간호목표는 조산의 예방이다. 조산율 상승의 원인으로...
참고 자료
T. Heather Herdman 외 2인(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메디컬. 361, 496, 371
김민주(2011).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위즈덤하우스. 182-185(인간의 가장 본능적인 욕구는 무엇일까?-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김양호 외 편저(2021). 병리학 제6판. 현문사. 37-45
박영주 외5인(2021). 여성건강간호학Ⅱ(제5판). 현문사. 165-172, 299-306
성미혜 외 10인(2016).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184-217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88-30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53-259, 496-498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100-116, 132-133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Ⅰ, 학지사메디컬, 2020년, 1183-1124
최명애 외(2018). 임상약리학 제8판. 현문사. 375
강남차병원. 건강칼럼-‘[산부인과 한유정 교수] 초음파 검사로 알 수 있는 태아 건강의 모든 것’
https://gangnam.chamc.co.kr/health/guide/columnView.cha?menuCode=1740&idx=410. 접속일: 2024.05.2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종합검진-‘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종목 소개’. https://www.kslm.org/. 접속일: 2024.05.2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의료정보-‘의약품정보’ (Betamethasone 약물 사진 출처)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접속일: 2024.05.2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접속일: 2024.05.28. (약물 사진 출처)
김지영, 박은미.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김은지, 이지영.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영양 교육 및 혈당 관리에 대한 간호 중재 효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지.
박정숙, 김민정.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수분 섭취와 관련된 간호중재의 효과. 대한임상간호학회지.
송혜경, 김미정. 임신성 당뇨병 관리에서의 교육적 접근과 간호사의 역할. 한국당뇨병간호학회지.
최은정, 윤미영.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 한국간호학회지.
이선영, 박선희.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지원을 통한 자가관리 능력 향상. 대한여성건강간호학회지.
조미경, 김지현.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체중 관리와 혈당 조절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김정희, 박미경, 이혜영. "임신성 당뇨병 관리와 간호 중재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이주연, 박영미. "임신성 당뇨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간호 중재의 효과." 모성간호학회지,
최미영, 김은혜, 정수경.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 대한 교육 및 간호 중재의 효과." 당뇨병학회지,
김은영, 송영미.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간호교육학회지,
박지현, 김윤희.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건강 교육이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모성간호학회지,
김혜원, 구본진, 김선호 외 12인(2023.02.20.),제 6판 여성건강간호학 2,현문사,150~157p
김혜원, 구본진, 김선호 외 12인(2023.02.20.),제 6판 여성건강간호학 2,현문사,196~203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