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과수 재배환경에서 저온장해(동해, 늦서리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과수 원예의 특징
1.1. 재배환경에 따른 적응성
1.2. 투자회수 기간
1.3. 자본과 노동력 소요
1.4. 토양 깊이의 중요성
1.5. 복잡한 생육과정
1.6. 영양번식의 필요성
1.7. 수량, 품질, 규격의 차이
2. 과수 재배 환경에서 저온 장해
2.1. 저온장해의 발생
2.1.1. 냉해
2.1.2. 동해
2.1.3. 늦서리해
2.2. 저온장해 예방
3. 과수의 개원 및 재식 과정
3.1. 구덩이 준비
3.2. 묘목 심기
3.3. 토양 개량
3.4. 묘목 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과수 원예의 특징
1.1. 재배환경에 따른 적응성
과수는 적절한 토질과 기후 등에 따라 적응도가 다르다. 즉, 지역마다 재배가능한 품종이 있는가 하면 전혀 재배가 불가능한 과종이나 품종도 있다. 따라서 재배를 하고자 하는 지역에 적절한 과수 품종을 선정하여 적지적작을 해야 한다. 과수는 원산지와 재배환경에 따라 생육과 결실, 품질이 달라지므로 해당 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서는 사과 재배가 어려우나 감귤은 잘 자랄 수 있다. 이처럼 과수는 기후조건과 토양 등 재배환경에 따른 적응성이 크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적인 과수 재배의 핵심이다.
1.2. 투자회수 기간
과수는 유년기가 길어서 개화나 결실이 이루어질 때까지 최소 3~4년은 걸리기 때문에 과수원 개원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기까지 기간이 소요된다. 결실이 맺는 이후 영농경비를 제외한 순수익이 오르기까지는 또 기간이 걸린다. 따라서 과수 재배는 투자회수가 늦다.
1.3. 자본과 노동력 소요
과수 재배에는 많은 자본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과수원 개원에 있어서는 넓은 면적이 요구되므로 자본이 많이 든다. 또한 적기에 실시해야 하는 병충해 방제, 전정, 인공수분, 열매솎기, 수확 등의 작업들이 모두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력이 많이 든다. 농기계로 씨를 뿌리고 추수가 가능한 벼농사와 달리 과수의 경우 농기계 사용이 어려워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과수 재배는 많은 자본이 투자되어야 하고 인력이 많이 필요한 노동집약적인 작물이다.
1.4. 토양 깊이의 중요성
과수의 뿌리는 토양 깊은 곳으로 내려가서 물과 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근권부가 있는 토양 깊은 곳의 통기성과 배기성 등이 중요하다. 토양 성질이 나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생산성이 심각하게 떨어질 수 있다. 특히 과수는 뿌리가 토양 깊게 뻗어들어가기 때문에 토양의 성질과 통기성, 배수성 등이 과수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토양의 성질이 좋지 않거나 지하가 오염되었다면 과수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과수가 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과수 재배에서는 토양의 깊이와 물리적 특성이 매우 중요하다.
1.5. 복잡한 생육과정
과수 재배에 있어 생육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과수는...
참고 자료
김태성 외, 『원예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원출판문화원, 2021.
김태성 외, 『원예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원출판문화원, 2021.
김태성 외, 『원예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원출판문화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