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교육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최초 생성일 2025.04.30
1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무도교육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무도교육학
1.1. 용무도란 무엇인가?
1.2. 용무도의 발생과정
1.3. 용무도의 의의
1.4. 용무도의 목적
1.5. 용무도의 학문적 배경
1.6. 용무도의 특성
1.7. 용무도의 교육학적 가치

2. 평생교육으로서 태권도 수련 활성화 방안
2.1. 평생교육의 개념
2.2. 태권도의 개념
2.3. 평생교육으로서의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2.4. 평생교육으로서의 태권도 수련에 대한 홍보 활성화
2.5. 지역 태권도장과의 연계 강화

3. 태권도 도장에서 성인태권도 활성화 방안
3.1. 태권도의 정의
3.2. 태권도의 가치
3.2.1. 신체적 가치
3.2.2. 교육적 가치
3.2.3. 스포츠적인 가치
3.2.4. 생활체육으로서의 가치
3.3. 태권도의 수련 목적과 효과
3.3.1. 태권도 목적과 목표
3.3.2. 태권도 수련의 목적
3.3.3. 태권도 수련의 효과
3.4. 성인 태권도의 침체 요인
3.4.1. 교육프로그램 문제
3.4.2. 성인이 바라보는 태권도장의 인식
3.4.3. 상황과 시대적 문제(코로나 19라는 펜데믹)
3.4.4. 올바른 이론 및 실기를 겸비한 지도자의 부재 및 자질 부족
3.4.5. 다양한 무도도장의 증가
3.5. 성인태권도 수련 환경 조성의 중요성
3.6. 태권도 도장에서 성인태권도 활성화 방안
3.6.1. 성인태권도 인식변화 조성
3.6.2. 성인태권도가 공존할 수 있는 수련환경 개선
3.6.3. 성인 태권도 호신 품새 개발
3.6.4. 태권도장의 변화
3.6.5. 성인의 생활체육으로서의 프로그램 개발
3.6.6. 태권도장의 마케팅활동
3.6.7. 스포츠 센터 유형의 대형화
3.6.8. 태권도를 통한 성인의 여가와 자아실현
3.6.9. 성인 생활체육이 될 수 있도록 지도자의 육성
3.6.10. 태권도 수련문화 활성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무도교육학
1.1. 용무도란 무엇인가?

용인대학교(구, 대한유도대학)는 1953년 개교 이래 약 50여 년 간 무도(武道), 스포츠 교육기관의 전당으로서 발전되어 왔다. 건학이념인 "도의상마 욕이위인(道義相磨 欲而爲人: 도의를 갈고 닦아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간이 되자)"의 정신에 따라 무도교육을 통해서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아 참된 도리를 세우고 자아를 실현하여 인류공영에 기여할 인재 양성의 교육 목적 달성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개교 당시부터 시작된 유도에서 현재에는 태권도, 검도, 합기도, 씨름 등의 무도 종목과 레슬링, 복싱 등의 투기종목을 비롯한 호신술(護身術,Self-defence ), 체포술(逮捕術, Arrest tactics) 그리고 많은 일반 스포츠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동안 약 50여년동안 한국적인 무도교육을 실시해 왔던 교육적 역량을 기반으로 무도, 스포츠 교육을 재정립하여 한국적인 것을 특성화(Localization)시키고, 나아가 이를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Globalization)함으로써, 새로운 천년(millennium)을 맞이하는 21세기에 한용무도의 위상을 높이려는 원대한 구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현실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한국적 무도 즉, 용무도(龍武道, Yongmoo-do)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특히, 본교를 졸업하고 외국에서 무도를 지도하고 있는 많은 동문들의 모교에 대한 애교심(:Localization)과 외국생활에서 한국 모국에 대한 애국심(:Globalization)의 발로가 용무도 탄생의 박차를 가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


1.2. 용무도의 발생과정

용인대학교는 1953년 개교 이래 약 50여 년 간 무도(武道), 스포츠 교육기관의 전당으로서 발전되어 왔다. 개교 당시부터 시작된 유도에서 현재에는 태권도, 검도, 합기도, 씨름 등의 무도 종목과 레슬링, 복싱 등의 투기종목을 비롯한 호신술(護身術,Self-defence), 체포술(逮捕術, Arrest tactics) 그리고 많은 일반 스포츠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약 50여년 동안의 한국적인 무도교육 경험을 기반으로 무도, 스포츠 교육을 재정립하여 한국적인 특성화(Localization)와 이를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Globalization)함으로써 새로운 천년(millennium)을 맞이하는 21세기에 한용무도의 위상을 높이려는 원대한 구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현실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한국적 무도 즉, 용무도(龍武道, Yongmoo-do)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특히, 본교를 졸업하고 외국에서 무도를 지도하고 있는 많은 동문들의 모교에 대한 애교심(:Localization)과 외국생활에서 한국 모국에 대한 애국심(:Globalization)이 용무도 탄생의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다.


1.3. 용무도의 의의

용인대학교가 추구해 온 교육적 이념과 무도사상을 적극적으로 세계에 보급하고 무도, 스포츠교육의 초일류화(World class)를 위하여 연구, 개발된 용무도는 각종의 한국 무도(무술/무예)관련 기술을 종합한 교육적이고 실천적(실용적)인 호신, 무술체계(Self-Defence & Martial-Arts System)이다. 즉, 용무도는 융합(融合)과 조화(調和)를 지향하는 한국사상의 이념과 용인대학교의 건학이념을 무도, 스포츠교육을 통하여 구현하려는 것으로서, 한국전래의 유도, 태권도, 검도, 합기도, 씨름 등의 무도와 호신술을 통합시킨 한국적 종합무도체계(Korean Integrated Martial-Arts System :KIMAS)의 하나이다.

용무도는 구체적으로 무도와 스포츠교육의 초일류화를 위한 연구와 개발을 통해 한국 전통 무도 기술을 통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무도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와 사상을 세계에 전파함으로써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용무도의 핵심적인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용무도는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통합을 넘어 한국 고유의 사상과 철학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성과 윤리성을 겸비한 무도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1.4. 용무도의 목적

용무도의 목적은 용인대학교의 건학 이념을 구체화시키는 수단의 일환으로, 한국의 전래된 무술을 종합무도체계로 개발하여(Localization) 각국에 보급함으로써(Globalization), 한국 무도의 위상제고와 더불어 무도, 스포츠교육의 초일류화(超一流化, World class)를 기하는데 있다.

용무도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무술, 무예를 포함한 무도의 특성과 한국문화의 사상적, 철학적 배경과 현대 스포츠과학을 통한 무도의 과학화를 집대성한 것으로, 무도의 사상적 배경과 더불어 현대 스포츠의 교육적인 면에서 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여가 창의적, 도의적 그리고 안전학적 가치를 추구하며 나아가 실용적인 가치를 포함하여 통전적(通典的) 인간관과 세계관을 토대로 정립되고 있다. 이러한 용무도의 개발과 보급은 용인대학교의 건학이념을 실현하고, 한국 무도의 위상을 높이는 동시에 무도, 스포츠교육의 세계 수준화를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1.5. 용무도의 학문적 배경

용무도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무술, 무예를 포함한 무도의 특성과 한국문화의 사상적, 철학적 배경과 현대 스포츠과학을 통한 무도의 과학화를 집대성한 것이다. 따라서 용무도는 무도의 사상적 배경과 더불어 현대 스포츠의 교육적인 면에서 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여가 창의적, 도의적 그리고 안전학적 가치를 추구하며 나아가 실용적인 가치를 포함하여 통전적(通典的) 인간관과 세계관을 토대로 정립되는 것이다. 용무도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한국 전래의 유도, 태권도, 검도, 합기도, 씨름 등의 무도와 호신술을 통합시킨 한국적 종합무도체계(Korean Integrated Martial-Arts System :KIMAS)의 하나이므로 한국 문화의 본질인 융합과 조화의 사상을 바탕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용무도는 현대 스포츠과학을 토대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여가 창의적, 도의적, 안전학적 가치 등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무도로 개발되었다. 이처럼 용무도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무술과 한국문화의 사상적 배경, 그리고 현대 스포츠과학에 기반하여 정립된 한국적 종합무도체계이자 통전적 인간관과 세계관을 토대로 하는 학문적 기반을 지니고 있다.


1.6. 용무도의 특성

발생면 : 기존의 각종 무도, 스포츠 종목과 호신술로부터 선택되었다. 사상면 : 한국문화의 본질인 융합과 조화의 사상을 몸(신체)을 통하여 구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기술면 : 호신술차원의 기술과 각종 무도(무술/무예)의 기술이 되었다. 예의면 : 기존 각종 무도의 예법을 존중하며, 한국의 전통적 예법과 현 시대의 예법을 포함하여, 예의를 중시하였다. 안전면 : 현대 실제 생활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안전 능력 배양이 가능하다. 호신면 : 일상생활에서의 괴한(bad guy)으로부터 받게 되는 위협에 대하여 호신용으로 매우 유효하다. 실용면 : 안전면과 호신면을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성이 높다. 난이도 : 기술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된다. 경기면 : 경쟁적인 경기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대 상 : 남,여,노,소에 따라 실천 가능하다. 장 소 : 실내, 실외에서의 수행이 가능하다. 단 위 : 수준에 따라 단(段) 제도를 인정하였다. 유니폼 : 한국적인 고풍과 미풍 그리고 실용성을 고려하였다.

용무도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발생면에서는 기존의 각종 무도, 스포츠 종목과 호신술로부터 선택되었다. 사상면에서는 한국문화의 본질인 융합과 조화의 사상을 몸(신체)을 통하여 구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기술면에서는 호신술차원의 기술과 각종 무도(무술/무예)의 기술이 되었다. 예의면에서는 기존 각종 무도의 예법을 존중하며, 한국의 전통적 예법과 현 시대의 예법을 포함하여, 예의를 중시하였다. 안전면에서는 현대 실제 생활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안전 능력 배양이 가능하다. 호신면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괴한(bad guy)으로부터 받게 되는 위협에 대하여 호신용으로 매우 유효하다. 실용면에서는 안전면과 호신면을 충족시킬 수 있어 실용성이 높다. 난이도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되며, 경기면에서는 경쟁적인 경기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대상으로는 남,여,노,소에 따라 실천 가능하며, 장소는 실내, 실외에서의 수행이 가능하다. 단위로는 수준에 따라 단(段) 제도를 인정하였으며, 유니폼은 한국적인 고풍과 미풍 그리고 실용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1.7. 용무도의 교육학적 가치

신체, 체력면(身體, 體力面) : 상대를 붙잡기, 던지기, 치기, 차기, 누르기, 조르기, 꺾기 등의 대 근육활동(big muscular activities)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적 발달, 신체의 기능적 향상 및 체력의 제요소를 향상시킨다. 정신면(精神面) : 건전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나약함보다 강건함을, 게으름보다 부지런함을 추구하고, 불안,초조,긴장 등을 자신의 의지(意志, self-will power)로서 조절하고 극복하며, 의지적 정신력을 강화시킨다. 사회면(社會面) : 대인활동을 통하여 규칙의 준수, 용기, 명랑성, leader-ship & follower -ship, 적극성, 자기조절(self-control), 책임감, 타인의 인격 존중, 정의, 협력 등의 사회적 성격을 육성시킨다. 도의면(道義面) : 신체활동을 통하여 예의, 존중, 인내, 자신감, 관용, 성실, 승자의 겸손, 패자의 동정심 등 도덕상의 의리 즉, 인간 행동의 규범을 향상시킨다. 여가/창의면(餘暇, 創意面) : 여가에 대한 건전한 활동 즉, 여가선용을 위한 적당한 신체활동은 자신의 건강 유지, 건전한 일상생활의 유지, 나아가 복지생활의 설계를 더욱 알차게 만들어 줄 것이다. 안전면(安全面) : 일상생활에 있어서 안전 생활의 준비가 중요하다. 상대를 붙잡기, 던지기, 치기, 차기, 누르기, 조르기, 꺾기, 불의 공격에 대한 정당한 방어 등의 대근육활동(大筋肉活動, big muscle activities)을 통하여 신체기능과 기초 운동기능을 높임으로써 신체적 능력 향상은 물론 안전면의 호신능력을 향상시킨다. 인성면(人性面) : 건전한 신체 활동을 통하여 올바른 생활 습관, 태도 등 사람의 성품 즉, 고상한 인격적으로 전이(轉移)되고, 승화시킴으로서 인성교육...


참고 자료

대한 용무도 협회
김희화(2011), 성인여성학습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
곽소윤(2019), 평생교육으로서의 한국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 서울시 백화점 문화센터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3.
배소윤(2009), 평생교육으로서의 태권도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 65.
신충현(2008), 태권도장 수련생 감소 원인과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pp. 5.
이진우(2011), 태권도 지도자의 멘토링이 수련생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6.
윤철용(2016), 태권도 인성덕목 체험을 통한 인성변화,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pp. 5.
전나영(2007), 노인 평생교육 참여와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
호종승(2011),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체육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pp. 4.
구미시 평생학습원, 평생 교육 기관,
https://www.gumi.go.kr/edu/inst/list.do?mId=0302000000
국기원, 태권도의 의미, https://www.kukkiwon.or.kr/front/pageView.action?cmd
=/kor/information/taekwondo_mean
전라남도교육청, 평생교육기관현황,
https://www.jne.go.kr/main/cm/cntnts/cntntsView.do?mi=240&cntntsId=43
국기원(2010). 태권도 기술용어집. 서울: 국기원 연구소.
국기원(2017). 성인 유급자 품새 최종 보고서.
김도균(2011). 스포츠 마케팅. 서울: 오래.
김수진 (2008). 태권도장 프로그램에 대한 수련생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산업경영학과. 국내석사.
.
.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