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에서 가족관계를 바탕으로 하는통칭호칭어의 쓰임이 늘어나는 이유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호칭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징
2.1. 한국의 사회언어학적 특징
2.2. 한국어 경어 표현의 발달
3.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호칭어 교육
3.1.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특성
3.2. 호칭어 교수 방안
4. 즐거운 한국어(초급 2) 교재의 문화 항목
4.1. 교재선정 이유 및 소개
4.2. 교재의 문화 항목 제시 방식
5. 나 혼자 산다를 활용한 한국 현대문화 교육
5.1. 작품 선정 기준
5.2. 문화 교육 활용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새로운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언어든 언어 사용자 사이에 지켜야 할 언어 예절에 해당 사회의 문화가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부탁, 거절, 답하기, 대화하는 태도 등의 언어 예절을 비롯한 언어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 한국어에서의 경어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중요한 학습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는 경어 표현이 복잡하면서도 상당히 발달한 언어로, 이때의 경어 표현은 화자가 어떤 대상 혹은 청자가 높고 낮음의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발화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나이, 지위, 신분, 친분 정도, 언어 상황 맥락의 공식성에 대한 정도 등에 따라 언어 표현이 달라진다.
2. 한국어 호칭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징
2.1. 한국의 사회언어학적 특징
한국의 사회언어학적 특징이다. 한국 사회는 연령과 지위에 따른 위계질서를 중시한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상사에게 더욱 공손한 경어 표현을 사용한다. 그에 따라 호칭어도 달라지며, 상대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고 가족 관계를 기반으로 한 호칭어와 상사의 경우 직함과 '-님' 접미사를 사용한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를 배경으로 공손성을 언어 표현에 반영한다. 처음 만나는 사람, 낯선 사람에게 기본적으로 경어 표현을 사용하고, 공식적 자리에서 격식 있는 경어 표현을 사용한다. 이처럼 한국어의 경어 표현은 다양하게 발달했다. 높임의 대상에 따라 주체, 객체, 상대 높임법으로 구분되고, 표현 형식에 따라 문법적 높임과 어휘적 높임으로 구분된다.
2.2. 한국어 경어 표현의 발달
한국어는 경어 표현이 복잡하면서도 상당히 발달한 언어이다. 한국어 경어 표현은 화자가 어떤 대상 혹은 청자가 높고 낮음의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발화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나이, 지위, 신분, 친분 정도, 언어 상황 맥락의 공식성에 대한 정도 등에 따라 언어 표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국어에는 경어 표현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경어 표현 문법 요소에는 '종결어미, 선어말어미 시-', '께', '께서'와 같은 어미, 조사가 있고, 어휘 요소에는 '호칭, 존대어휘, 겸양 어휘'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경어 표현이 다양하게 발달한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 학습자는 단지 언어 표현뿐 아니라 한국의 사회언어학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동반해야 한다.
3.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
...
참고 자료
유영은(2016), “과제 수행 중심의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태진(2010), “국어학 사회언어학의 탐구”, 태학사.
허용 외(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박이정.
호유선(2012), “한국어 호칭어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승아(2014),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1, 271-290.
조형록,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1-7주 차 교안, 배론 원격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2019), (다문화 가정을 위한) 즐거운 한국어 초급 2, 서울, 도서출판 하우
국립국어원(2019), (다문화 가정을 위한) 즐거운 한국어 초급 2 교사지도서, 서울, 도서출판 하우
다오 프엉 바오 위엔(2019).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소영도(2018). TV 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풍리(2014). 예능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mbc. "나 혼자 산다". http://program.imbc.com/singlelife. 2020.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