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본 대상자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에 따른 치매로 인해 연하곤란 및 의식 저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여 ICU에 입원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면서 생기는 폐렴이며, 주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다. 정상인의 경우 폐의 방어능력이 잘 유지되므로 흡인이 되더라도 폐렴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만,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일 경우 심각한 폐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흡인성 폐렴은 다른 기저질환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환자 및 가족들의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2. 간호사정
2.1. 건강증진
대상자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골다공증, 걷기 장애, 연하곤란 등의 여러 가지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다. 입원 당시 주 호소는 호흡곤란(dyspnea)이었으며, 내원 이유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으로 요양병원에 입원 중 발생한 증상으로 인해 응급실에 왔다.
현재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인식이 있으며, 입원에 대한 가족의 반응도 걱정과 염려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평소 건강관리를 위한 특별한 노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는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 등의 기저 질환으로 인해 연하곤란, 보행장애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흡인성 폐렴 발생의 고위험군에 속한다. 또한 의식저하로 인한 비협조적인 상태로 인해 적절한 건강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1,2]
2.2. 영양
대상자는 현재 기관 내 삽관과 함께 기계호흡을 받고 있으며, 경관영양을 하고 있다. 대상자의 신장은 153cm이고, 체중은 46kg으로 나타났다. 평상시 음식과 수분 섭취가 원활하지 않았던 대상자는 연하곤란으로 인해 현재 경관영양을 받고 있다. 대상자의 식욕은 불량한 편이며, 소화상태는 보통 수준이다. 체중은 감소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구강점막 상태는 건조해 보이며, 치아 상태도 양호하지 않은 편이다. 대상자는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어 배변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2.3. 배설
배변양상(빈도, 특성, 경도)은 하루 한 번이며 small, brownish한 대변양상이다. 기저귀를 적용하고 있다. 소변양상(빈도, 특성, 양, 실금, 야뇨 등)은 시간당 60~150cc가량 배뇨하며 진한 주황빛의 소변 양상을 보인다. foley 적용하고 있다. 피부는 따뜻하고 창백하며 전반적으로 차가우며 축축하다. 상처 및 배액, 드레싱은 없다. 피부문제로 전체적으로 창백하고 차가우며 nipple의 자극에 대한 반응은 있으나 foot에 대한 자극의 반응은 없다. 호흡기계 문제로 yellowish color, thick한 양상의 호흡기 삼출물이 있다.
2.4. 활동/휴식
활동 수준과 운동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침상 활동만 가능하며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완전 의존 상태이다. 식사, 목욕, 옷 갈아입기, 화장실 이동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반의식 상태이므로 스스로의 신체 움직임을 제어할 수 없어 이동이 불가능하다. 맥박은 분당 60회로 규칙적이고, 호흡은 분당 20회로 규칙적이다. 그러나 휴식시 호흡곤란이 있어 기계호흡기로 보조하고 있다. 폐음 청진 결과 쌕쌕거리고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리며, 산소포화도는 기계호흡기 적용 중 100%를 유지하고 있다. 체온은 36.9°C, 혈압은 120/70mmHg이다.
2.5. 지각/인지
의식수준은 명료하지 않고 졸음, 혼돈, 반의식 상태이다. 대상자는 지남력이 없으며, 자신,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없다. 신체 움직임은 경련, 안절부절, 진전 등이 없고 정상적이다. 동공의 크기는 좌우가 동일하며, 동공 대광반사와 구역질반사, 삼킴반사가 있다. 사지의 운동 반응은 좌, 우측 모두 양호하다. 시력과 청력에는 장애가 없으며 분비물이나 이상도 없다. 피부와 감각에도 이상이 없으나 어지러움은 사정할 수 없다.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은 곤란하며, 자신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지각도 사정할 수 없다.
2.6. 자아인식
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자신의 느낌은 사정할 수 없다. 대상자의 비언어적 행동양상 또한 사정할 수 없다. 대상자 자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사정할 수 없다. 이는 대상자가 반의식 상태에 있어 자아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2.7. 역할관계
결혼상태는 기혼이며, 슬하에 3명의 딸과 한 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입원에 대해 가족들은 걱정과 염려를 드러내고 있다.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은 가족과 보험회사 직원이다. 대상자의 직업은 주부이며, 질병이나 입원으로 인한 특별한 문제는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