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남침례교 보수파가 가진 문제의식과 교단 장악 전략과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남침례교 보수파가 가진 문제의식과 교단 장악 전략과 과정
1.1. 한국침례교사상사 요약정리 및 서평
1.1.1.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1.1.2. 말콤 펜윅의 신학
1.2. 대한(동아)기독교회(1889-1944)의 신앙에 대한 말콤 펜윅의 영향
1.3. 미국 남침례교 선교사들의 활동과 교단 분열
1.4. 알버트 게미지의 신학이 끼친 영향
1.5. 1978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 침례교신학과 침례교 기원 및 신앙의 자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남침례교 보수파가 가진 문제의식과 교단 장악 전략과 과정
1.1. 한국침례교사상사 요약정리 및 서평
1.1.1.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펜윉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이후 독립선교사로 한국 함경도 원산에 정착하여 선교활동을 하였다. 1893-1895년까지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펜윽은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고 최고직위인 감목을 1906-1914까지 역임하였다. 1935년 12월 6일 별세하였다.
펜윽의 어머니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경건생활을 하였고, 이는 펜윽이 예수님을 영접하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펜윽은 나이아가라 사경회에 참여하면서 성서주의,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경건주의, 세계복음화에 대한 열정 등의 영향을 받았다. 나이아가라 사경회는 펜윽의 세대주의적 경향과 전천년주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동시에 펜윽은 '학생자원운동'을 통해 해외선교에 대한 열정을 얻게 되었다.
펜윽은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고든의 많은 책들과 논문들을 통해 그의 영향을 받았다. 펜윽과 엘라 싱 선교회와의 관계에서도 고든과의 긴밀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펜윽 자신도 고든과의 관계를 직접 언급하고 있다.
1.1.2. 말콤 펜윅의 신학
펜윅은 근본주의자로서 다윈의 진화론, 성서 비평론, 물질주의를 반대하였다. 그는 노아의 사건을 문자 그대로 믿었고 자유주의 신학을 경계하였다. 또한 펜윅은 정치적 이슈에 관여하는 것보다 성결과 전도에 매진하는 경건주의적 근본주의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펜윅은 성경의 축자적이고 무오한 영감을 믿었으며, 성경의 무오성과 불오성을 믿었다. 그는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선호하였고, 예언서 연구를 가장 중요시하여 문자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는 성경과 성령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강조하였다.
펜윅은 정통 삼위일체론을 정확히 이해하였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믿었다. 그는 그리스도의 역할을 선지자, 대제사장, 임금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펜윅에게 성령론은 매우 중요하였다. 그는 성령의 인격성을 믿었고, 현 시대에도 성령에 의한 신유와 축사가 가능하다고 믿었다.
펜윅은 칼빈주의의 영향권 안에 있었지만, 케직과 나이아가라 사경회의 신학을 받아들이면서 전통적 칼빈주의 구원론을 상당히 변경하였다. 그는 이신칭의와 전가된 의 교리를 믿었고, 하나...
참고 자료
조흥국 외(2016). 제3세계의 역사와 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부르스 커밍스, 1987,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정용욱, 2003,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 출판부
서중석, 1991 『한국 현대 민족운동연구1』 역사비평사
서재정. 정용욱 편역, 1996 『탈냉전과 미국의 신세계질서』 역사비평사
노경채, 『한국독립당 연구』, 신서원
도진순, 1992, 「1945~46년 미국의 대한정책과 우익 진영의 분화」, 『역사와 현실』7
정용욱, 1993, 「해방이전 미국의 대한정책구상 자료」, 『역사와 현실』 9
박태균, 1993, 「8. 15 직후 미군정의 관리 충원과 친일파」, 『역사와 현실』 10
정용욱, 1994, 「1947년의 철군논의와 미국의 남한 점령 정책」, 『역사와 현실』 14
정병준, 1997, 「총론: 해방 직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의 몇 가지 문제점」, 『역사와 현실』 24
이승억, 1997, 「임시정부의 귀국과 대미군정 관계 (1945.8~1946.2)」, 『역사와 현실』 24
김정인, 1997, 「임정 주화대표단의 조직과 활동」, 『역사와 현실』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