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불소사업(불소수돗물/불소도포)의 예방효과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불소사업의 예방효과 비교
1.1.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1.2.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의 방향성
1.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1.4. 국가별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현황
1.5. 북아메리카 구강보건사업
1.6. 유럽 구강보건사업
1.7. 동남아시아 구강보건사업
1.8. 중 · 남아메리카 구강보건사업
1.9. 일본 및 기타지역 구강보건사업
2. 불소사업의 예방효과
2.1. 아동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2.2. 우리나라 구강보건정책 및 사업
2.3. 미국의 Medicaid, CHIP
2.4.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Healthy Smiles Ontario
2.5. 구강보건 교육·홍보 사업
2.6. 국민 구강건강 실태조사 사업
2.7. 취약계층 예방중심 구강질환관리사업
2.8. 찾아가는 구강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사업
2.9. 아동·청소년 치과주치의 제도 개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불소사업의 예방효과 비교
1.1.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은 주민이 구강건강을 증진 및 유지하기 위해 지역사회 구강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의 방향성은 해당 지역사회 구강보건 문제의 해결과 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하도록 지역별 구강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주민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치아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이 구강보건을 실천하도록 지원하며 포괄적이고 예방지향적인 구강진료를 전달하고 전달받는 사업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구강보건 사업에는 구강보건교육 및 홍보사업, 불소용액양치사업,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치아 홈메우기 사업, 노인의치보철(임플란트지원)사업, 노인불소도포·스케일링 사업, 장애인 구강진료센터 설치·운영사업, 학교구강보건실·학교양치시설 설치 및 운영사업, 구강보건 이동진료차량 지원사업 등이 있다. [1,2,3]
국가별로 살펴보면, 북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과 캐나다가 불소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은 수돗물 불소화사업과 치면열구전색(Sealants) 사업을 통해 치아우식 예방에 힘쓰고 있으며, 캐나다는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Healthy Smiles Ontario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구강보건을 관리하고 있다. [1,2,3]
유럽은 스위스, 독일, 프랑스, 핀란드 등 국가별로 다양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스위스는 소금 불소화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독일과 프랑스는 학교 중심의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보건행사를 통해 국민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핀란드는 정부 주도로 체계적인 아동·청소년 구강보건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1]
동남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대표적이다. 싱가포르는 학교구강보건사업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의 구강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과 학교구강보건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1]
중·남아메리카 국가들은 주로 소금 불소화법을 통해 치아우식 예방에 집중하고 있다. 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 등이 대표적이다. [1]
일본은 예방중심의 구강관리 정책을 펴고 있다. 보건소에서 6세 미만 아동의 정기 예방진료를 실시하고,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불소용액 양치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방문진료, 요양시설 내 구강관리 등 포괄적인 구강건강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1,3]
이처럼 각국은 자국의 사회경제적 여건과 구강보건 실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결과 DMFT index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 [1]
1.2.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의 방향성
해당 지역사회의 구강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구강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주민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치아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이 구강보건을 실천하도록 지원하며 포괄적이고 예방지향적인 구강진료를 전달하고 전달받는 사업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1.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은 구강보건교육 및 홍보사업, 불소용액양치사업,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치아 홈메우기 사업(Sealants), 노인의치보철(임플란트지원)사업, 노인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 장애인 구강진료센터 설치, 운영사업, 학교구강보건실/학교양치시설 설치 및 운영사업, 구강보건 이동진료차량 지원사업 등을 포함한다.
구강보건교육 및 홍보사업은 구강건강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와 실천율 향상을 위한 정책을 지원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추진, 확산하는 사업이다. 불소용액양치사업은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이 실시되지 않는 지역에서 치아우식증 발생 위험이 높은 학생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사업이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은 정수장에 불소첨가기를 설치하여 수돗물의 불소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사업이다. 치아 홈메우기 사업은 영구치의 건강한 치아 홈을 메워주어 치아우식증 예방에 효과적인 사업이다. 노인의치보철(임플란트지원)사업과 노인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은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사업이다. 장애인 구강진료센터 설치, 운영사업과 학교구강보건실/학교양치시설 설치 및 운영사업, 구강보건 이동진료차량 지원사업 등은 취약계층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사업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은 구강건강 증진과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의 구강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구강건강 형평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1.4. 국가별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현황
북아메리카의 구강보건사업은 1945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가장 대표적이다. 미국에서는 80%에 해당하는 인구가 불소 이온이 적정 농도로 포함된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치아우식증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치면 열구 전색(Sealants) 시술이 보편화되어 개인적으로 치과 방문이 어려운 저소득층 아동들의 치아우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있다. 캐나다 역시 1945년부터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온타리오 주를 중심으로 Healthy Smiles Ontario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저소득층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과검진과 예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스위스와 프랑스에서 수돗물 불소화 사업 대신 소금 불소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스위스는 1957년부터 소금에 불소를 배합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판매되는 소금의 80%가 불소 함유 소금이다. 프랑스 역시 1985년부터 소금 불소화 사업을 의무화하여 시행 중이다. 핀란드와 스웨덴은 국민건강법 제정을 통해 구강보건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핀란드는 자일리톨 등 대체감미료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싱가포르는 학교 구강보건사업이 유명한데, 전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98-99%가 자체 구강진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이동식 치과진료차량을 통해 학생들에게 예방과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역시 1929년부터 정부 주도로 구강보건사업을 시행 중이며, 수돗물 불소화 사업과 학교 실란트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중남아메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상수도 시설이 부족하여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신 범미주보건기구(PAHO)의 주도로 소금 불소화 사업이 멕시코, 코스타리카, 볼리비아 등에서 보편화되고 있다.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도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일부 지역에서 시행 중이다.
일본은 보건소 중심의 예방 진료 서비스와 더불어 학교 불소용액양치 사업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치과의사의 방문진료 서비스 제공과 '8020 캠페인' 등 노인의 구강건강 관리에 힘쓰고 있다. 북한 또한 학교 불소용액양치사업을 오래전부터 시행해왔지만, 치과대학이 없어 구강보건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각국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은 국가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주된 사업으로는 수돗물 또는 소금 불소화, 학교 기반 구강보건사업, 취약계층에 대한 구강질환 관리 등이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구강보건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북아메리카 구강보건사업
북아메리카 국가 중...
참고 자료
2015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구강보건)
World Health Organisation. Strategies for oral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vailable at: http://www. who.int/oral_health/strategies/en/ [Accessed 2 August 2010]. 2
Petersen, PE.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continuous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 the approach of the WHO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 31(Suppl. 1):3–24.
Website. Available at https://www.cdc.gov/OralHealth/index.html
the October 199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Achievements in Public Health, 1900-1999: Fluoridation of Drinking Water to Prevent Dental Caries
Griffin SO, Regnier E, Griffin PM, Huntley VN. Effectiveness of fluoride in preventing caries in adults. J Dent Res. 2007;86(5):410–414.
2 Dean HT. On the epidemiology of fluorine and dental caries. In: Gies WJ, ed. Fluorine in Dental Public Health. New York, NY: New York Institute of Clinical Oral Pathology., 1945:19–30..
CDC. 2012 Water Fluoridation Statistics website.
Available at http://www.cdc.gov/fluoridation/statistics/2012stats.htm. Accessed March 27, 2015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Preventing Dental Caries: School-based Dental Sealant Delivery Programs.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6. https://www.thecommunityguide.org/findings/dental-caries-cavities-school-based-dental-sealant-delivery-programs. Accessed February 19, 20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ntal Sealants Prevent Cavities—Vital Signs website. https://www.cdc.gov/vitalsigns/pdf/2016-10-vitalsigns.pdf[PDF – 2.37 MB]. Accessed January 4, 2018.
Website. Available at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University of Heidelberg, Germany. andreas_schulte@med.uni-heidelberg.de
PubMed.gov Website. Available at Service de Santé Publique, U.F.R. d'Odontologie, Université de Montpellier I, France. paul.tramini@wanadoo.fr
국외공무출장보고서(구강보건분야)-2007.06 해남시
자일리톨 [xylitol]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Website. Available at http://lemonmk.tistory.com/67 [레몬마켓 연구소]
Website. Available at http://www.nationalsmilemonth.org/
국정감사정책백서, 2014
2015 학교구강보건시설(구강보건실, 양치시설) 실태조사 및 향후 운영 방안(20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 건 복 지 부
Ito D. Hot topic: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in Ontario. Ontario Public Health Association Monthly Ebulletin. March 2009. [cited 2009 Jun 1] Available: www.opha.on.ca/media/ebulletins/Mar09/hottopic.shtml.
Community D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Unit. Provincial and territorial estimates for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coverage in 2007. Toronto: Faculty of dentistry, University of Toronto; 2007
Simcoe Muskoka District Health Unit. Municipal water fluoridation: Position of the Simcoe Muskoka District Health Unit, April 2009. [cited 2009 June 1] Available: www.simcoehealth.org/Libraries/JFY_Health_Care_ Professionals/Position_Statement_fluoride.sflb.ashx.
일본 노인의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한국치매협회, 곽정민 (대한노년치의학회 법제이사).
제5판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임상예방치학,고문사,
건치신문, [특별기고]북한의 구강보건의료 상황과 남북 치과계 협력 과제조국이 하나될 때까지
Website. Available at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2
데일리덴탈, 치의신보 [일본 노인 절반이상 “8020”]
,Website. Available at http://www.dailydental.co.kr/mobile/article.html?no=99310
대한구강보건협회 아동 및 학생 대상 - 구강보건교육 자료 안내https://www.dental.or.kr/bbs/board.php?bo_table=board15&wr_id=65&page=2
김선숙, “미취학 아동에 대한 구강보건관리”, Dentalk, 2003 http://news.kdha.or.kr/news/articleView.html?idxno=5204
류재인/ 지역→전국으로 모두의 치과주치의제 시작!/ 건치/ 2018.09.05./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9639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구강건강실태조사/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1018&siteId=null
이상영 외 5인/ 건강증진서비스 전달체계 확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G-health/ 이용자가이드/
https://www.g-health.kr/portal/bbs/selectBoardList.do?bbsId=U00243&cNttId=199&menuNo=200573
보건소 의치(틀니)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4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