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보건 의료 팀간 협력 관계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보고서
1.1. 문헌고찰을 통한 협력 필요 상황
1.2. 협력이 잘된 경우와 문제가 발생한 상황
1.3. 협력이 잘 되지 못한 경우의 원인 분석
1.4. 원인분석에 따른 협력방안 제시
1.5. 원인분석에 따른 보건의료팀 간 협력관계 향상 방안
1.6. 개인이 경험한 협력 사례와 결과 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보고서
1.1. 문헌고찰을 통한 협력 필요 상황
현대 보건의료에서 병원 내 환자의 중증도는 점점 높아지고, 지역사회 환자의 의료 및 간호 서비스 요구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의사나 간호사 등 제공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에서 환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케어를 통해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보건의료의 질을 높이고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환자 중심 케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기관 간, 전문 직종 간, 동일 직종 간 혹은 환자 가족과 의료진 간 업무의 조정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보건의료의 케어 서비스 조정을 위해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각 서비스 관련 담당자나 전문직종, 기관은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해야 한다. 팀 기반의 활동을 통해 케어 서비스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각 서비스 제공자가 협력하면 환자는 보건의료체계 안에서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환자에게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관 및 전문직은 업무조정을 해야 하며, 환자 케어 활동에 필요한 인력, 정보, 그 외 다른 자원을 케어 제공자들 안에서 통합하여 보건의료 서비스 기관 및 전문직 간 케어 서비스를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질적 케어 서비스를 전달하고 서비스 제공자 간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며,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보건의료 체계나 지역사회에서 책임과 책무를 나누어 건강형평성을 높일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 케어에 필수적인 전문직이며, 간호사의 전문직 윤리강령에서도 보건의료인과 협조하겠다고 명시하고 있다. 간호 실무에서는 간호업무 분담방법을 통한 업무의 조정, 의료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의료인과의 협력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간호사와 간호사, 간호사와 보건의료인과의 관계에 대해 좋은 방향으로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1,2]
1.2. 협력이 잘된 경우와 문제가 발생한 상황
보건의료팀간 협력이 잘된 경우는 평창군 보건의료원이 경북 구미시 선산보건소에 방문하여 평창군 특화 노쇠 예방관리사업을 벤치마킹하고 구미시의 우수시책 발굴을 모색한 사례이다. 평창군 보건의료원은 서울아산병원 노년 내과와 업무협약을 맺고 노쇠 검진에서 중재 프로그램까지 자체 특화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방문을 통해 두 기관의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방향과 운영에 협력하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었다.
반면, 보건의료팀간 협력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사례는 은평구에서 실시한 보건복지서비스 사례관리 사업이다. 이 사업에서는 보건소 가정도우미 서비스, 방문간호서비스, 복지관의 재가복지서비스를 복합적으로 받고 있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사례관리팀을 구성...
참고 자료
고명숙 외 9명 (2017). 간호학개론(4판). 파주: 수문사.
이병숙 외 5명 (2019). 간호관리학(4판). 서울: 학지사메디컬.
김문경 외 5명. (2019). 수혈의학 검사실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서 분석 및 개선 방안 적용 경험. 대한수혈학회지 30권(3호), 212-218.
유튜브 (2021). 프랑스인 환자가 숨을 거둔 순간 한국 의료진이 손을 대자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v9uqvuj4cg.
MBN (2016). 수혈사고, 혈액 잘못 꺼낸 뒤 투여...의료진 확인 못해.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026104.
내외뉴스통신 (2019). 강서구 산부인과 의료사고 논란, 불통이 부른 낙태수술.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601.
네이지식백과 (2021). 협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5444&cid=62841&categoryId=62841.
신은경. (2020). 지역사회 장애인의 통합 사례관리 모형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전연진. (2014).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 실천 가이드. 희망복지지원단. 중앙지원센터
김요은. (2015). 의료기관 간 협력시스템 활성화 방안.
박현숙 외. (2023). 공공보건의료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특·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역할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7(1), 217-242.
김형선. (2020).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의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협력 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8), 160-169.
(재)한국보건의료정보원. 진료정보교튜시스템.
https://www.k-his.or.kr/menu.es?mid=a10207000000
이병숙, 강성례, 김현경, 신지원, 안혜경, 이은주 외 공저, (2020), 간호관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서울특별시
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HDR 용어사전, 중앙경제
편집부, (1996),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 정보, (), 진단검사의학과, 2020/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902&cid=51008&categoryId=51008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 정보, (), 영상의학과, 2020/11/20,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EC%98%81%EC%83%81%EC%9D%98%ED%95%99%EA%B3%BC&searchType=&dicType=&subject=
직업의 세계, (), 간호사, 2020/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697&cid=58886&categoryId=58886
서울대학교병원, (), 응급의학과, 2020/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899&cid=51008&categoryId=51008
서울대학교병원, (), 신경외과, 2020/11/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878&cid=51008&categoryId=51008
YOUTUBE, (2018), 생명을 구하는 응급실 사람들/치열한 생명의 최전선 응급실/응급의학과 인턴/응급의학과, 2020/11/25, https://www.youtube.com/watch?v=AdXAcBZPX1E
YOUTUBE, (2016), 다큐멘터리 하루‘평택 굿모닝병원 응급실의 하루’, 2020/11/25, https://www.youtube.com/watch?v=CCpVDJwe-QA
YOUTUBE, (2020), 최대한 빨리 응급실로, 뇌경색, 2020/11/25, https://www.youtube.com/watch?v=MMmLkb0_TI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