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문제개요
최근 OO병동에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약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매우 적은 용량으로도 환자에게 위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병원의 센터 확장으로 인해 다양한 환자의 입원 및 업무량이 많아졌고, 다양한 내·외과 환자를 간호하면서 생소한 약물과 용량을 사용하는 빈도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투약오류에 대한 간호사의 경각심과 정확성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투약오류 감소, 교육 보강, 지식 및 인식도 증가, 업무환경 개선 등이 요구되고 있다.
1.2. 활동배경 및 목적
OO병동에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약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굉장히 적은 용량으로도 환자에게 위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병원의 센터확장으로 인해 다양한 환자의 입원 및 업무량이 많아졌다. 또한 다양한 내, 외과 환자를 간호하면서 생소한 약물과 용량을 사용하는 빈도도 높아졌다.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투약오류가 예상되는 바, 간호사의 투약에 대한 경각심과 정확성이 더욱 더 필요하다. 이를 위해 투약오류의 감소, 교육의 보강, 지식 및 인식도 증가와 업무환경 개선 등이 요구된다. []
1.3. 개선목적
투약오류 발생을 줄이고 안전한 투약을 위해서는 투약오류 인식률을 증가시키고 투약오류 경험율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투약오류 관련 정보 공유, 간호사 대상 교육, 업무환경 개선 등의 개선활동을 통해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제 투약오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정확한 투약은 어느 병원, 어느 간호 환경에서나 환자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간호업무이므로,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개선이 필요하다.
2. 핵심지표 및 개선전략
2.1. 목표선정 및 핵심지표
투약오류 발생 건수를 감소시키고, 투약오류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률을 높이며, 투약오류 경험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이를 위해 투약오류 발생 건수, 투약오류 인식률, 투약오류 경험률을 핵심지표로 선정하였다. 투약오류 발생 건수는 감소 목표를 수립하고, 투약오류 인식률은 증가 목표를 수립하며, 투약오류 경험률은 감소 목표를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투약 안전 문화를 확립하고 환자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핵심 개선전략으로는 OO병동 간호사 대상 교육 및 재교육, 업무환경 개선, 투약오류 관련 정보 공유 등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투약오류 감소, 투약오류 인식 제고, 투약오류 경험 감소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2.2. 핵심 개선전략
OO병동 간호사 대상 교육 및 재교육이 이루어졌다. 투약오류 관련 정보를 병동 컨퍼런스를 통해 공유하여 간호사들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또한 구두처방서식지 작성, 고위험 전해질 약물 스티커 제작 등 업무환경 개선 활동을 통해 투약오류 예방에 힘썼다.
간호사 대상 교육에서는 다제내성 그람음성균 감염의 항생제 치료, 투약오류 유형 및 예방책, 심혈관계 약물 정리, 투약과 수혈 간호과정 등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투약 관련 지식과 인식이 향상되었다.
투약오류 관련 정보공유 활동에서는 약물 저널 리뷰, 투약오류 사례 및 대책 등을 병동 컨퍼런스에서 정기적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이 투약오류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다.
업무환경 개선으로는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