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상포진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상포진 증례분석
2.1. 환자 개인력 및 가족력
2.2. 대상포진의 정의 및 병태생리
2.3. 대상포진의 증상 및 합병증
2.4. 대상포진의 진단 및 치료
2.5. 대상포진의 간호 및 교육
3. 간호과정 적용
3.1. 간호문제 도출
3.2. 간호진단
3.3. 간호 계획 및 중재
3.4. 간호 수행 및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보통은 수일 사이에 피부에 발진과 특징적인 물집 형태의 병적인 증상이 나타나고 해당 부위에 통증이 동반된다. 대상포진은 젊은 사람에서는 드물게 나타나고 대개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6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발병한다.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환자 또는 장기이식이나 항암치료를 받아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병적인 증상은 피부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있는 환자에서는 전신에 퍼져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대상포진의 발병 원인과 증상, 합병증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2. 대상포진 증례분석
2.1. 환자 개인력 및 가족력
박 씨는 34년간 농부로 일하고 있으며 현재는 남쪽 지방에서 임시거처를 마련하고 농사를 짓고 있다. 가족은 임신 3개월의 부인과 3세, 5세 자녀가 있다. 의료시설로는 근처에 보건소가 있으나 병원은 없다. 박 씨는 일주일 전에 가슴에 통증이 심한 물집이 생겼다. 박 씨는 살충제의 노출을 병변의 원인으로 고려하며 매우 걱정하고 있다.
2.2. 대상포진의 정의 및 병태생리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호흡기를 통해 들어와 호흡기와 인두 점막에서 먼저 증식하고, 10~20일 간의 배양기를 거친 후 혈류 및 림프계를 통해 이동하여 단핵백혈구와 모세관 내피세포에서 증식한다. 이후 피부 내피세포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발진과 수포가 발생하며, 바이러스가 여러 감각신경의 축삭돌기를 거슬러 올라와 감각신경절에 자리 잡고 잠복하게 된다. 면역약화 및 스트레스에 의해 재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이 발생한다.
대상포진은 반드시 수두 병력이 있어야 하고, 주위에 붉게 달아오른 물집이 띠 모양으로 배열하며 대부분 좌우 한쪽의 1~3개의 연속적인 신경을 따라 나타난다. 이는 잠복해 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면역 기능의 저하로 인해 재활성화되어 신경괴사와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따라 내려가 피부에 특징적인 병변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에 따라 발병하는 대상포진은 세포성 면역 기능의 저하, VZV에 대한 면역 기능의 저하 등이 주요 발병 원인이 된다.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이 발생하게 된다.
2.3. 대상포진의 증상 및 합병증
대상포진은 피부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발진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피부신경분절을 따라 띠 모양으로 분포하며, 처음에는 붉은색 반점으로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수포로 진행한다. 수포는 처음에는 혈청을 함유하고 있으나 점차 농성으로 변화하며, 터지면서 가피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약 1-3주 정도 지속된다.
대상포진 환자의 약 90%에서 발진을 앞서는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작열감, 예리한 통증, 찌르는 통증 등 다양한 양상을 띠며, 피부 발진이 나타난 후 1주일 이내에 가장 심하고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피부 병변이 치유된 후에도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노년층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대상포진의 합병증으로는 심각한 피부 감염, 신경마비, 연수막염, 뇌수막염, 뇌염 등이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인 대상포진 후 신경통 외에도, 삼차신경을 침범하는 경우 각막염, 포도막염, 망막염 등의 안과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면신경을 침범하는 경우 안면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면역저하 환자의 경우 전신 파종이...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 2017, 정담미디어, 이영휘 저 1300p ~ 1390p
『최신 알기 쉬운 병리학』, 현문사, 신미자 등 저, 218p ~ 221p
『그림으로 보는 병리학』, 2005, 정담미디어, 김명애 외 저, 589p,688p
『필수 병태생리학』, 2005, 군자출판사, 강영숙 외 저, 218p
『신경외과학』, 2008, 대한신경외과학회, 편집부 저, 544p ~ 551p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3』, 2014, 이민자 옮김, 248p ~ 265p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성인간호학Ⅰ, 윤은자 외, 수문사(2019)
성인간호학Ⅱ, 윤은자 외, 수문사(2019)
윤경봉. (2009). 대상포진과 관련된 통증. J Korean Med Assoc 2008; 51(6): 536 - 542
박영민. (2018). 대상포진의 고찰 및 최신지견 이해.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1(2), 116-122.
대한전문건설신문, [건강] 대상포진,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 올 수도, 서울아산병원, 2021.03.12.,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167, (검색일: 2021.11.29.)
분당서울대병원, 헬스 포커스-대상포진이 무서운 이유, 대상포진 후 신경통, https://www.snubh.org/service/info/com/view.do?BNO=385&Board_ID=B004, (검색일: 2021.11.29.)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건강정보, https://www.paik.ac.kr/seoul/medicine/healthletter_view.asp?i_seq=440, (검색일: 2021.11.29.)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약 이야기]통증 악명 높은'대상포진' 3일 내 항바이러스제 치료 받아야, 김선영기자, 2020.08.28.,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2306, (검색일: 2021.11.29.)
서울대암병원, 통증관리, http://cancer.snuh.org/board/B028/view.do?bbs_no=3692&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검색일 2021.12.01.)
네이버 지식백과, 아디팜정 (약학정보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42682&cid=51000&categoryId=51000, (검색일 2021.12.01.)
네이버 지식백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541&cid=51007&categoryId=51007, (검색일 2021.12.01.)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왕명자 외 공저, 국내 노인간호 연구동향 분석, 2012
윤숙례 외 공저, 노인간호학 제 3판, 정담미디어, 2013
운숙례 저, 노인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2016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 6판 상권, 현문사, 2015
http://www.shanghaibang.net/shanghai/news.php?code=li0107&mode=view&num=40968&page=1&wr= (대상포진 수포 사진)
http://infobigsea.tistory.com/1 (대상포진 수포 사진)
http://www.cleansu.co.kr/Module/MBoard/MBoard.asp?Page=9&PageSize=10&Key=&Keyword=&Gubun=5&SearchCategory=&Divide=&Srno=29905&PState=View (대상포진 수포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