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입사원 인성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모집과 선발의 개요
1.2. 롯데건설의 모집과 선발 사례
1.3.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례 분석의 필요성
2. 롯데건설의 모집과 선발 사례
2.1. 채용 제도 개요
2.2. 모집 과정
2.3. 선발 프로세스
2.3.1. 서류전형
2.3.2. 인적성 전형
2.3.3. 면접 전형
3. 결론: 시사점
3.1. 시대 변화에 부합하는 모집과 선발 프로세스 개선의 필요성
3.2. 기업문화 및 직무와 부합하는 인재 선발의 중요성
3.3. 지원자와의 쌍방향 소통을 통한 효율적인 채용 과정 구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모집과 선발의 개요
모집과 선발의 개요는 조직 또는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모집에서 하여 선발하는 전 단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과 기능 간에 발생하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인적요건과 최적의 적성 및 기술을 소지한 사람에게 특정 조직구성원의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이다. 또한 채용을 응시한 지원자 가운데에서 조직이 필요로 하는 직무에 가장 적합한 자질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인력을 고용하는 것을 결정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볼 때, 채용은 조직에 적합하고 필요한 사람을 고용하는 의사결정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이러한 채용은 크게 모집과 선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신입과 경력 채용, 정시모집과 수시/상시모집, 공개채용과 인턴채용, 추천채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채용 과정 중 선발 프로세스는 서류전형-시험-인적성검사-면접 순으로 진행되며, 최근 면접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이처럼 채용은 조직에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는 과정이며, 기업의 성과와 직결되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1.2. 롯데건설의 모집과 선발 사례
롯데건설은 1959년 평화건업사로 시작하여 현재 약 3천 5백여 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와 함께 채용제도 또한 변화해왔다. 롯데그룹의 계열사인 롯데건설은 열린 채용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롯데그룹의 채용정책을 반영하여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1978년 롯데그룹은 사업 활장에 따라 그룹 단위의 공채제도를 도입하였고, 1990년대 후반에는 기존 연 3~4회 진행되던 공채를 연 2회 정기공채로 변경하며 전문성을 중시하는 인재확보 및 육성방안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경제사회 변화 가속화와 경영 불확실성 증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스페셜리스트형 적격인재의 상시확보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국내 대부분의 대기업이 공채를 폐지하였듯 롯데그룹 또한 2020년 이후 기존의 정기 그룹 공채를 중단하고 계열사 주도의 상시채용을 도입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의 등장과 함께 롯데그룹과 롯데건설의 채용방식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롯데건설은 건설업의 특성상 다양한 직무를 모집하는 까닭에 매년 수천, 수만 명의 지원자를 마주하게 되었는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기존의 오프라인 또는 대면 채용방식이 사실상 불가능해짐에 따라 상시채용 과정을 100% 언택트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롯데건설의 채용에 대해서 모집과 선발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집 과정에서는 계열사 주도의 상시채용이 진행됨에 따라 연 2회 일괄적으로 진행되던 신입사원 채용이 계열사마다 그 시기를 달리하여 최소 연 2~3번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 그룹 공채 시에는 포괄적인 큰 틀의 직무 중심으로 모집을 하였으나, 상시채용으로 변경된 이후에는 직무를 세분화하고 해당 팀이 참여하여 직무적합도를 평가하는 등 신...
참고 자료
김빛나(2022), 트렌드를 이끄는 롯데건설의 채용 패러다임,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HR연구(구 임금연구), 2022년 28권 1호
비즈월드(2022.01.18), 롯데건설, 다음달 2일까지 신입사원 채용
팍스경제TV(2020,07,14), 롯데건설, 상반기 채용면접 비대면 화상으로 진행… 응시자 84% 만족
직장인 절반 이상, 1년간 연차 6일도 못써, 허서우 기자, NEWSIS,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320_0002232741&cID=10201&pID=10200
기성세대, MZ세대 그리고 낀 세대, 박은지 기자, JBNEWS,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8092
중기 신입직, 조기 퇴사율 평균 17.1%..“실제 업무 달라”, 문홍철 기자, breaknews,https://www.breaknews.com/954327
남승규, 이재창 외 2명. (2018). 산업심리학.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