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행 형사소송법상 신체구속된 피의자 피고인의 권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형사절차상 신체구속의 의의
1.2. 헌법상 신체의 자유와 무죄추정의 원칙
2. 신체구속된 피의자의 권리
2.1. 체포와 피의사실 등의 고지
2.2. 변호사선임권
2.3. 진술거부권
2.4. 증거보전청구권
2.5.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이의제기권
2.6. 구속적부심사청구권
3. 신체구속된 피고인의 권리
3.1. 변호인 접견교통권
3.2. 진술거부권
3.3. 증거조사 청구권
4. 결론
4.1. 신체구속된 자의 권리 보장의 필요성
4.2.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형사절차상 신체구속의 의의
형사절차상 신체구속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형사소송절차에서 수사 기관은 범죄 혐의가 있는 자를 체포하거나 구속할 수 있다. 체포와 구속은 범죄 수사에 불가피한 조치로 간주된다. 혐의자를 자유로운 상태로 두면 도주하거나 증거를 은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범죄 혐의자가 자유로운 상태로 있다면 추가 범죄를 저지를 우려도 있다. 하지만 체포와 구속은 신체의 자유와 거주이전의 자유 등 기본권을 제한하는 조치이므로, 이러한 신체구속이 필요한지 여부와 그 적정성은 매우 엄격히 심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행 형사소송법은 체포 및 구속 절차와 그에 따른 피의자의 권리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1.2. 헌법상 신체의 자유와 무죄추정의 원칙
헌법상 신체의 자유와 무죄추정의 원칙이다. 헌법 제12조 제1항에서는 모든 국민이 신체의 자유를 가지며, 누구든지 법률에 의하지 않고는 체포나 구속, 압수, 수색을 당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 조 제4항에서는 누구든 체포나 구속을 당하면 즉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헌법 제27조 제4항에서는 형사피고인이 유죄판결이 확정되기 전에는 무죄로 추정된다고 규정하여 무죄추정의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이는 체포나 구속된 피의자 및 피고인에게 적용되는 기본적인 권리로서, 국가권력으로부터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헌법상 원칙이다.
2. 신체구속된 피의자의 권리
2.1. 체포와 피의사실 등의 고지
검사나 사법경찰관이 피의자를 체포할 때 피의사실의 요지, 체포를 하는 이유,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다는 점을 고지하고 피의자가 변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만약 피의자가 이러한 고지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신체가 구속되었다면 이는 형사소송법 제200조의5 위반이 된다.
2.2. 변호사선임권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피의자와 피고인은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된다.
헌법 제12조 제4항에서 체포나 구속을 당한 사람은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신체의 자유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피의자나 피고인이 보다 강력한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권리이다.
형사소송법 제30조에서도 피고인과 피의자는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 신체가 구속된 피의자나 피고인의 경우 실질적으로 행동의 자유가 제한되기 때문에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변호인 선임권은 단순한 법률상...
참고 자료
헌법
형사소송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법무법인 마당,2009.11.16. <법률플러스> 체포, 구속된 피의자의 권리, 경기일보
헌법
형사소송법
문형사, 신호진, 2021.4.1. 형사소송법 기본서
형사소송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경기일보, 법무법인 마당, 2009.11.16. <법률플러스> 체포,구속된 피의자의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