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특성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다의어의 정의와 형성 배경
2.1. 다의어의 정의
2.2. 다의어의 형성 배경
2.2.1. 적용의 전이
2.2.2. 사회 환경의 특수화
2.2.3. 비유적 표현
3. 동음이의어의 정의와 형성 배경
3.1. 동음이의어의 정의
3.2. 동음이의어의 형성 배경
3.2.1. 언어의 자의성
3.2.2. 음운 변화
3.2.3. 유사모음의 발음
3.2.4. 외래어의 영향
4.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4.1. 공통점
4.2. 차이점
4.2.1. 의미 관련성
4.2.2. 어원
4.2.3. 사전 표기 방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특성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특성이다.
다의어는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가지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심적 의미란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이고, 주변적 의미는 중심적 의미에서 확장된 의미이다. 다의어가 발생하는 이유는 제한된 언어 자원으로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다의어의 형성 배경에는 적용의 전이, 사회 환경의 특수화, 비유적 표현 등이 있다.
동음이의어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단어들을 의미한다. 동음이의어는 동철자 동음이의어(소리, 표기가 동일한 어휘)와 이철자 동음이의어(표기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어휘)로 구분된다. 동음이의어가 발생하는 배경에는 언어의 자의성, 음운 변화, 유사모음의 발음, 외래어의 영향 등이 있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는 공통적으로 하나의 음성 형식에 여러 의미가 대응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다의어는 의미들 간의 연관성이 있지만, 동음이의어는 의미들 간의 연관성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다의어는 중심적 의미와 그에 따른 주변적 의미로 구성되지만, 동음이의어는 별개의 단어로 구분된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는 같은 소리로 표현된 말이 각각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두 어휘 간에는 의미적 연관성과 문법적 특성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 사용과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정의, 형성 배경, 그리고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언어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이해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다의어의 정의와 형성 배경
2.1. 다의어의 정의
다의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다의어란 하나의 중심적 의미와 하나 이상의 주변적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중심적 의미란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로 감정 가치나 문맥적 쓰임이 배제된다. 그리고 중심적 의미에서 확장되어 사용된 의미가 주변적 의미이다. 이렇게 다의어가 발생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한정되고 제한된 단어들을 가지고 더 다양하고 풍부한 의미로 표현을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손'의 경우 중심적 의미는 아기의 귀여운 손, 손바닥, 손가락 등이며, 주변적 의미로는 손이 모자란다(노동력), 손이 크다(씀씀이, 아량), 손을 떼다(관계), 손에 넣다(소유), 손윗사람(기준) 등이 있다. 이처럼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다의어의 특징이다.
...
참고 자료
한국민족 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국어 문법)
다의어의 의미 확장 양상(중심의미 기준)』 (임지룡 외, 2010 :199) 의미론개설』(이용주, 서울대학교출판부, 1972)
국어의미론』(김민수, 일조각, 1981)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교재)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국립국어원 한국어 기초사전통계, https://krdict.korean.go.kr/statistic/dicStat(2024.2.13.검색)
김봉국(2013), 한국어의 동음이의어에 대하여, 『우리어문연구』, 45, 181-200.
김해연(2011), 텍스트 상에서의 동음이의어: 국어 말뭉치에서의 ‘다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6(4): 903-924.
정유진(2020), “다의어의 의미기술과 어휘표상 모형”, 『인문사회21』, 11(3): 667-682.
Cruse, D. A.(2000), “Lexical ‘facets’: Between Monosemy and Polysemy”, In Beckmann, S., P. König & T. Wolf (eds), 『Sprachspiel und Bedeutung』, 25- 36, Tübingen: Max NiemeyerVerlag.
Gibbs, R.(2006), 『Embodiment and cognitive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ustejovsky,J.(1995), 『The Generative Lexicon』, Cambridge:The MIT Press.
Taylor, J. R.(2006), “Polysemy and the Lexicon”, In Kristiansen, G. et al. (eds), 『Cognitive Linguistics: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51-80. Berlin: Mouton de Gruyter.
Ullmann, S.(1962),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Oxford: Black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