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장애 영유아의 교수 수정 전략
장애가 있는 유아들은 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속도와 감각 스타일을 통해 활동 참여와 기술을 습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육 전략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가 잘 적응할 수 있는 환경 및 기타 요인들을 수정하여 장애 영유아의 돌봄 및 수업 참여의 흥미를 유발하고,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교수 수정 전략의 유형으로는 교수 환경 수정, 교수 방법 수정, 교수 활동 수정, 교수 전략 수정, 교수 자료 수정, 집단화 형태 수정, 교수 내용 수정, 평가 방법 수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장애 영유아의 교육수요를 지원하고,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학생의 개별화된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교수 수정 전략은 학습을 촉진하는 데 이용되며, 수업을 통해 학습자에게 성취되고 보여질 것으로 기대되는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1.2.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수 전략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수 전략이다. 교수 전략은 학습을 촉진하는 데 이용되며, 수업을 통해 학습자에게 성취되고 보여질 것으로 기대되는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교재, 학습활동 등 제도적 요인과 변수의 처방조건이다. 즉, '특정 교수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어떤 교수내용과 과정을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의미한다. 장애가 있는 유아들은 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속도와 감각 스타일을 통해 활동 참여와 기술을 습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육 전략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가 잘 적응할 수 있는 환경 및 기타 요인들을 수정하여 장애 영유아의 돌봄 및 수업 참여의 흥미를 유발하고,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연구는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많았으나, 통합교육을 받는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학생의 교육수요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번 통합교육에서는 장애학생들이 일반수업 교육과정에 참여할 때 장애학생들의 개별화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수적 수정이 모색되고 있다. 'Instructional adaptation', 즉 지시적 수정은 한국에서 다양한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개념은 크게 다르지 않다. 대표적으로 교수 수정 또는 교수 적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렇게 모든 용어는 장애학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