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1.1. 태풍
태풍은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 저기압이다.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제23호 태풍 '피토'가 일본 오키나와 동쪽 해상으로 북상 중이다. 태풍 피토는 10월 4일 오전 9시 경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을 지나 한반도에 점차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월요일쯤 중국 후저우 부근에 상륙한 후 빠르게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태풍 피토는 필리핀 마닐라 동쪽 해안의 높은 해수면온도 지역을 지나면서 크기와 강도가 급격히 발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 분석 결과 동중국해로 진입한 이후 중심 기압 950~955hPa, 최대 풍속 90~100kt까지 발달할 수 있다. 4일 밤부터 제주 남쪽 바다에 태풍의 영향권이 미치기 시작해 5일부터는 제주와 전남, 경상도 지역이 태풍의 영향권 안에 들 것으로 보인다.
태풍 피토는 처음에는 중심 기압 996hPa, 최대 풍속 19m/s의 소형 태풍이었으나 이후 급격히 발달하여 중심 기압 988hPa, 최대 풍속 25m/s의 중형 태풍으로 그 세력이 커졌다. 현재 시속 12km의 속도로 북상 중이며, 제주 지역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힐 것으로 예상되어 기상청은 제주 바다를 시작으로 남부 지방에 태풍 주의보를 발효했다. 이들 지역에는 강한 바람과 집중호우가 예상되어 수확기 농작물 관리와 해안 저지대 침수 피해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화산 폭발
화산은 지구 내부에서 올라온 뜨거운 암석이나 가스가 지표면에 분출되는 현상이다. 화산폭발은 화산 내부에 축적된 가스와 열에너지가 폭발적으로 방출되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다량의 화산재, 용암, 화산가스 등이 분출된다. 화산폭발의 규모와 피해 정도는 화산 폭발 지수(VEI)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지수는 0에서 8까지 측정된다.
화산폭발은 주변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고온의 화산재류는 시속 50-200km의 속도로 화산의 사면을 달려 내려가면서 모든 것을 태워 버리며, 화산가스는 밀도가 공기보다 높아 낮은 곳으로 가라앉아 질식사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용암은 건물과 인프라를 파괴하고, 화산 분출물은 농작물과 가축에게 큰 피해를 준다. 화산 분출로 인한 지진과 화산 쓰나미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화산 폭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화산 활동 모니터링,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대피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하다. 또한 화산 인근 거주민들은 화산폭발 조짐을 인지하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어야 한다. 화산지역 여행 시에도 화산폭발에 대한 대처법을 숙지해야 한다.
1.3. 지진과 지진해일
지진은 지각의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다. 지각이 움직이면서 압축되거나 �Team에너지가 갑자기 방출되는데, 이 때 지표면이 진동하게 된다. 특히 판 경계에 위치한 환태평양 지진대와 중동-지중해 지진대가 지진 다발지역이다. 지진의 규모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척도로는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가 있다.
또한 지진 발생 시 해저 지각이나 단층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큰 규모의 해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지진해일 또는 쓰나미라고 한다. 지진해일은 파장이 매우 길고 전파 속도가 빨라 연안 지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해일과 2011년 일본 동북부 지진해일은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다.
지진과 지진해일은 자연재해 중에서도 특히 피해 규모가 크고 대비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지진의 발생 시기와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지진해일의 경우 수 분 내에 해안가에 도달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어렵다. 따라서 지진과 지진해일에 대한 사전 예방과 대응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 지진-지진해일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내진설계 강화, 지진해일 대피로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지진과 지진해일은 발생 원인과 피해 양상이 유사하지만, 실제 예방 및 대응 방안은 차이가 있다.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 방지와 지진해일에 대비한 연안 지역의 대피 체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4. 소행성 충돌
소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작은 천체이다. 이 소행성들 중 일부는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은 막대한 재해를 초래할 수 있다.
영화 '딥 임팩트'에서는 소행성 '비더만'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발생한 재난 상황을 다룬다. 소행성 충돌 시 폭발로 인해 대기 중 질소와 산소가 연소되어 강한 산성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충격으로 반경 수백 km 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