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면접법의 개념에 대해 설명 하고 유아교육에서 면접법이 적용된 사례를 검사목적 검사실시 과정과 절차 결과 검사 실시의 장점과 단점검사 실시의 시사점에 대해 설명 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면접법의 개념과 유아교육에서의 적용
1.1. 면접법의 개념
1.2. 유아교육에서 면접법이 적용된 사례
1.2.1. 검사목적
1.2.2. 검사 실시 과정과 절차
1.2.3. 결과
1.2.4. 검사실시의 장점과 단점
1.2.5. 검사실시의 시사점
2.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2.1. 규준참조평가의 개념
2.2. 준거참조평가의 개념
2.3. 각각의 평가가 교육에서 활용된 사례
2.3.1. 규준참조평가의 사례(수학능력시험)
2.3.2. 준거참조평가의 사례(국가기술자격증)
2.4. 평가방법의 실시 과정과 절차, 장단점
2.4.1. 규준참조평가의 사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면접법의 개념과 유아교육에서의 적용
1.1. 면접법의 개념
면접법의 개념은 조사자와 피조사자가 직접 대면하여 질문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면접법은 질문지법과 함께 연구의 자료수집에서 자주 활용되는 연구 방법이며, 조사자와 피조사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의 교류, 높은 융통성 등이 주요한 특징이다.
1.2. 유아교육에서 면접법이 적용된 사례
1.2.1. 검사목적
유아교육에서 면접법이 적용된 사례의 검사목적은 다음과 같다.
유아가 편식을 할 때, 왜 편식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본인에게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검사의 목적이다. 유아가 편식하는 음식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 유아가 해당 음식을 싫어하는 이유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1.2.2. 검사 실시 과정과 절차
검사 실시 과정과 절차이다. 먼저 유아가 편식을 할 때, 왜 편식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 본인에게 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해당 유아와 직접 대면한 뒤에 유아가 편식하는 음식의 사진(예: 당근)을 입에 넣으면 어떤 기분이 드는지 등을 묻고, 당근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기분이 드는지 등을 묻는 식으로 해당 유아의 반응을 살펴본다. 유아가 맛이 없다, 감촉이 싫다, 기분 나쁘다 등의 반응을 보였을 때 해당 반응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왜 유아가 해당 음식에 대해 편식하는 지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2.3. 결과
유아교육에서 면접법이 적용된 사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가 편식을 할 때 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유아 본인에게 이야기를 들은 결과, 유아가 편식하는 음식(예: 당근)을 입에 넣으면 맛이 없다, 감촉이 싫다, 기분이 나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유아가 해당 음식에 대해 편식하는 이유가 맛, 감촉, 기분 등의 요인 때문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면접법을 활용하여 유아의 반응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2.4. 검사실시의 장점과 단점
검사실시의 ...
참고 자료
김희태.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성태제 외.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25년. 1월 20일.
김희태,유진은(2021).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강승호(2012). 현대교육평가의 이해. 교육과학사.
박도순(2012). 교육평가(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서강식(2022). 교육평가와 도덕과 평가. 퍼플.
서의정(2008). 중등학교 음악교과의 수행평가 실태 조사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에노 지즈코(2020). 논문 쓰기의 기술 (정보생산자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동녘.
김희태. 유지은(2022). 교육평가. 방송대 출판문화원
정찬시오, 이광운, 정다운(2019). 교육가과정과 교육평가의 새로운 이해. 정민사
김대현(2020).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