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반월판염좌 케이스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반월상 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1.3. 반월상 연골 파열의 개요
2. 본론
2.1. 반월상 연골 파열의 종류
2.2. 반월상 연골 파열의 원인
2.3. 반월상 연골 파열의 증상
2.4.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
2.5.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
2.5.1. 비수술적 치료
2.5.2. 수술적 치료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특성
3.1.2. 입원 관련 정보
3.1.3. 간호력
3.2. 진단검사
3.3. 치료 경과
3.4.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간호중재의 의의
4.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관절 중 하나이며 항상 사용하기 때문에 손상이 많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중 반월상 연골 파열은 가장 흔한 무릎 손상이다. 특히 신체적 접촉이 많은 운동을 하는 선수들은 반월상 연골 파열의 위험이 높으며 어떤 연령의 어느 누구라도 반월상 연골이 파열 될 수 있다. 만약 이를 방치할 경우 반월상 연골 파열이 주변부로 진행되거나 2차적인 변성이 오기 때문에 추후에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또한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거나 기존에 퇴행성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병태생리 및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반월상 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이며 가장 복잡한 관절이다. 무릎 관절은 대퇴골, 경골, 그리고 슬개골 총 3가지 뼈로 구성되어 있다. 슬개골은 관절 정면에 위치해 있어 관절을 보호한다. 반월상 연골은 쐐기 모양의 연골로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서 완충장치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내측 구획에 있는 연골을 '내측 반월상 연골', 외측에 있는 것을 '외측 반월상 연골'이라고 한다. 내측 연골판은 외측보다 반경이 큰 C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외측에 비해 외력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외측 연골판은 내측보다 크기가 작고 그 모양이 원형에 가까우며, 내측에 비해 유동성이 있다. 반월상 연골은 질기고 고무 같아서 관절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반월상 연골의 기능은 체중부하, 충격흡수, 안정성, 형태 유지, 윤활 및 영양, 자기 수용 감각 등이다.
1.3. 반월상 연골 파열의 개요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이며 가장 복잡한 관절이다. 이 중 반월상 연골 파열은 가장 흔한 무릎 손상이며 어떤 연령의 누구라도 반월상 연골이 파열될 수 있다. 반월상 연골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의 무릎관절에 위치하는 연골 조직으로, 무릎의 원활한 움직임을 돕는 쿠션 역할을 한다. 반월상 연골 손상은 반월상 연골에 다양한 형태로 열상, 파열이 나타난 것을 의미하며 크게 외상성과 퇴행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상성 반월상 연골 손상은 20대 전후의 젊은 나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퇴행성 반월상 연골 손상은 40~50대 이후의 중년에서 주로 발생한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방치될 경우 반월상 연골 파열이 주변부로 진행되거나 2차적인 변성이 오기 때문에 추후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또한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거나 기존에 퇴행성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월상 연골 파열의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
2. 본론
2.1. 반월상 연골 파열의 종류
방사형 파열(Radial tear)은 중앙에서 시작하여 주변부로 파열되는 형태이다. 환상형 섬유의 손상이 일어나므로 교정 수술이 불가능하다.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Bucket handle tear)은 양쪽 경계 전체가 물통의 손잡이와 같이 완전히 떨어지면서 벌어지는 형태의 파열이다.
앵무새 주둥이형 파열(Parrot's beak tear)은 비스듬히 찢어지는 사파열을 말하며 어디에나 생길 수 있지만 후방과 중간부의 경계에서 가장 흔히 발생한다.
수평형 파열(Horizontal tear)은 노인에게서 흔하며 낭종이 동반될 수 있다.
후방 골기시부 파열(Root Tear)은 뒤쪽 뼈에 붙는 부위가 떨어지면서 반월상연골이 체중을 견디는 기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서구에서는 드물고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한다.
퇴행성 파열(Degenerative tear)은 특별한 외상의 병력은 없으나 쪼그린 자세에서 일어날 때와 같이 단순한 신체활동 중에 발생한다. 노인에게서 흔하다.
2.2. 반월상 연골 파열의 원인
반월상 연골 파열은 주로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나 무리한 동작으로 인해 발생한다. 격렬한 운동 중 무릎이 갑자기 비틀리거나 돌출된 경우 반월상 연골이 손상될 수 있다. 태클이나 낙상과 같은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해서도 반월상 연골이 파열될 수 있다.
고령의 환자의 경우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반월상 연골이 약해지고 얇아지면서 외상 없이도 반월상 연골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퇴행성 반월상 연골 파열이라 한다. 나이가 들면서 반월상 연골이 약해지면 의자에서 일어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반월상 연골이 파열될 수 있다.
또한...
참고 자료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고일선 외. (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메디컬
황옥남 외. (2019).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권소희 외. (2019). 『건강사정』. 수문사
허제은 외. (2017). 『기본간호학 이론』. 수문사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examination.do?action=view&testProcdrSurgrSeq=10288 한양대학교병원 - 무릎 반월연골판 파열(봉합술, 절제술, 이식술)
https://www.koa.or.kr/info/index_8_2.php 대한정형외과학회 – 반월상 연골 파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17 서울아산병원 – 반달연골이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587&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 염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28&cid=51007&categoryId=51007 아주대학교병원 병리과 – 조직병리
http://www.stwill.co.kr/disease/disease07.html?c_cate1=G&c_cate2=G-0 성모윌병원 – 무릎 염좌
https://www.yesonhospital.com/page.php?pageIndex=110102103103&device_view=pc 예손병원 – 무릎 인대손상
http://www.sunsoochon.com/?page_mode=sub&depth=2&sub_depth=3 선수촌 병원 – 반월상연골 파열
http://www.ppuricj.co.kr/department/department05_02.html 뿌리병원 - 반월상 연골파열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JRC&MENU_ID=002005008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관절센터 – 반월상연골 파열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 약물
[네이버 지식백과] 반월상연골파열 [半月像軟骨破裂, Meniscal Tear]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반월상 연골판이 무엇인가요?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네이버 지식백과] 반월상 연골판 손상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반월상 연골판 파열, 대한정형외과학회
윤은자 外 다수, 9판 개정 성인간호학Ⅰ, 2021, 수문사
윤은자 外 다수, 9판 개정 성인간호학Ⅱ, 2021, 수문사
이은희 外 다수,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2019, ㈜고문사
송경애 外 다수,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Ⅰ, 2021, 수문사
송경애 外 다수,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Ⅱ, 2021, 수문사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대한정형외과학회 ‘ 반월상 연골 파열’http://www.koa.or.kr/info/index_8_2.php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반월상 열골 파열’
국가건강정보포털 “ 반월상 연골 파열”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160&subIdx=2&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No=&category=&category_c
ode=&dept=&sortType=date&page=1&searchField=&searchWord=
박정태, 박윤기 공저(2011), 임상 정형외과학 개론, 현문사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