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통무용 승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승무의 유래
2.1. 불교의식 기원설
2.2. 민속무용 기원설
2.3. 기방무용 기원설
3. 호남류 승무의 계승자 이매방
3.1. 이매방의 생애와 예술세계
3.2. 이매방류 승무의 구성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의 전통 예술은 공통적으로 한(恨)에 대한 표현이 많다. 승무는 종교적 색채를 보여주면서도 한국 춤 특유의 정중동의 정치를 담은 한의 정서를 승화시킨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역사를 통해 전승되면서 그 정확한 기원을 언급하기는 어렵지만 승무는 불교의식과 민속무용, 기방예술에서 기원을 찾는다. 현재 승무는 경기 승무 한성준-한영준-정재만류로 이어지고 있으며, 호남승무는 이대조-이매방류로 전승되고 있다. 이중에서 본 보고서에서는 호남류 승무인 이매방류 승무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승무의 유래
2.1. 불교의식 기원설
승무는 승려들이 불교 의식을 위해 추었던 춤이다. 승(僧)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불가의 승려를 지칭하며, 이들이 의식을 행하며 추었던 춤이 승무(僧舞)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식무는 성문을 빌어 부처님의 공덕을 몸으로 표현하고 찬탄하는 신업공양(身業供養)이자 포교의 한 방법으로 여겨졌다. 고려시대 왕성했던 불교 문화가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민속춤의 하나로 전승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승무와 불교의식에서 추는 법고춤의 춤사위에는 많은 유사성이 나타난다. 반주음악이 염불로 시작되고, 장삼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의식적 요소들이 동일하게 발견된다. 이러한 유사성으로 인해 불교의식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승무는 단일한 창작자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예인들의 손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어 온 춤이기 때문에, 불교 의식과의 연관성이 더욱 강화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2.2. 민속무용 기원설
조선시대 지족선사를 파계시킨 황진이 무용에서 승무가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장삼과 고깔을 벗는 일이 없어 승무가 유혹적인 기생의 춤이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구운몽의 내용을 춤으로 표현하였다는 설이 있다. 성진이 팔선녀와 노니는 광경을 보고 인간으로서의 괴로운 심장을 불법에 귀의하여 법설을 느낀다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하였다는 것이다. 삼국시대부터 지속된 가면극은...
참고 자료
김정기, 『이매방(승무) 장삼자락에 담긴 예술혼』, 민속원, 2020.
사단법인 한국전통춤협회, 『전통춤 4대 명무 한영숙 강선영 김숙자 이매방』, 민속원, 2019
김천홍·홍윤식,⌜승무⌟,『무형문화재 보고 조사서 7편』제44호, 문화재관리국, 1968.
권영심, 「이매방 승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쑬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백현순, 「이매방 승무의 춤동작 분석을 통한 사상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홍은주, 「LMA를 통한 승무 분석 연구-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0.
김진구, 「이매방류 승무의 호흡분석에 의한 춤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김은희우리춤움직임원리연구회 유튜브채널, 「이매방 승무 1993년 연강홀 공연」, 2018. 12. 9.
광주MBC 유튜브 채널, 「명인 우봉 이매방」, 2019. 12. 4.
광주MBC 유튜브 채널, 「[왕종근의 초대] 평생 우리 춤에 빠져 살아온 하늘이 내린 춤꾼 이매방, 2019. 10. 18.
김정기, 『이매방(승무) 장삼자락에 담긴 예술혼』, 민속원, 2020.
사단법인 한국전통춤협회, 『전통춤 4대 명무 한영숙 강선영 김숙자 이매방』, 민속원, 2019
김천홍·홍윤식,⌜승무⌟,『무형문화재 보고 조사서 7편』제44호, 문화재관리국, 1968.
김진구, 「이매방류 승무의 호흡분석에 의한 춤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권영심, 「이매방 승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쑬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백현순, 「이매방 승무의 춤동작 분석을 통한 사상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손영미, 「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공간 구성미에 관한 연구 - 정재만류 승무를 중심으로-」 , 숙명여자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정아,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홍은주, 「LMA를 통한 승무 분석 연구-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0.
김은희우리춤움직임원리연구회 유튜브채널, 「이매방 승무 1993년 연강홀 공연」, 2018. 12. 9.
광주MBC 유튜브 채널, 「명인 우봉 이매방」, 2019. 12. 4.
광주MBC 유튜브 채널, 「[왕종근의 초대] 평생 우리 춤에 빠져 살아온 하늘이 내린 춤꾼 이매방, 2019. 10. 18.
국립무형유산원, 「승무 - 한영숙」, 1972.
국립민속박물관. “승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22년 4월 17일 접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431
김미란, 조남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무용의 장단에 관한 고찰-승무와 태평무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vol.34 no.3 (2016): 25-31, UCI:I410-ECN-0102-2017-680-000540771.
한국학중앙연구원. “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년 4월 17일 접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2%95%EA%B3%A0&ridx=0&tot=23
한국학중앙연구원, “승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년 4월 17일 접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A%B9%EB%AC%B4&ridx=0&tot=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