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복막염(Peritonitis)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한 염증 혹은 자극 증상이다. 복막염은 크게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급성 복막염은 중독 증세를 동반하며,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의 천공, 충수염·장티프스에 의한 장의 천공, 자궁외임신의 파열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천공 시 순간적으로 심한 복통과 쇼크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만성 복막염은 결핵과 암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경화의 말기에도 자주 발생한다. 복막염은 국소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복막 전체로 퍼지게 되어 수술이 어렵고,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막염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복막염의 증상, 진단, 치료 등 복막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2. 복막염의 정의
복막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이다. 복막에 발생한 염증 또는 자극 증상을 복막염이라고 한다. 복막염은 국소적 또는 복강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으며,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급성 복막염은 중독 증세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의 천공, 충수돌기염이나 장티푸스에 의한 장의 천공, 자궁외 임신의 파열 등이 원인이 된다. 천공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심한 복통과 쇼크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만성 복막염은 결핵이나 암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경화의 말기에도 자주 발생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결핵성 복막염과 암성 복막염을 들 수 있다.
3. 복막염의 원인
복막염의 원인은 크게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뉜다. 감염성 복막염은 무균 상태의 복막강 내로 세균이 침입하여 복막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장관의 천공이며, 급성 충수염의 천공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 밖에 위·십이지장 궤양, 위암, 담낭염의 천공, 폐렴구균성 복막염, 자궁내막염, 자궁부속기염 등이 있다. 비감염성 복막염은 혈액, 담즙, 소변 등의 무균성 체액이 복강 내로 유출되어 감염이 발생한 경우이다. 외상, 수술 후 이물반응이나 섬유성 유착, 포르피린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혈관염 등에 의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