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터스텔라 인물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인터스텔라'의 선정 배경
1.2. '인터스텔라' 영화 줄거리
2. 본론
2.1.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속 프로메테우스와 '인터스텔라' 속 쿠퍼의 상관관계
2.1.1. 프로메테우스와 쿠퍼의 행동에서의 공통점
2.1.2. 자신에게 닥친 고통을 대하는 태도에서의 공통점
2.2.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속 제우스와 '인터스텔라' 속 제우스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인터스텔라'의 선정 배경
영화 '인터스텔라'는 21세기 들어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발생하는 환경파괴, 자원고갈 등의 문제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을 다루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인류는 전례 없는 과학기술의 진보를 이루어 냈지만, 이와 함께 새로운 문제들도 대두되었다. 특히 기후변화와 자원 고갈로 인한 식량 부족 문제는 인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터스텔라'는 근미래 지구 환경 및 인류의 모습을 그려내며, 과학기술의 발달이 초래할 수 있는 부작용과 문제들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 영화는 현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환경과 자원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1.2. '인터스텔라' 영화 줄거리
영화 '인터스텔라' 줄거리
근 미래, 지구상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해 많은 식량작물이 멸종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식량 부족과 공기 오염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늘어나며, 인류는 생존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거 우주 비행사였던 쿠퍼는 우연히 NASA의 은밀한 프로젝트를 발견하게 되고, 새로운 행성을 찾아 인류를 구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쿠퍼는 자신의 딸 머피를 뒤로한 채 우주로 떠나게 된다. 상대성 이론에 기반한 우주여행으로 인해 지구와 달리 흐르는 시간으로 인해, 쿠퍼는 딸을 다시 만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하지만 인류의 마지막 희망이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쿠퍼...
참고 자료
위키백과, 울리히 베크
Academic Accelerator, 공포 관리 이론
아이스킬로스, 『결박 된 프로메테우스』 , 천병희, 숲, 2010. 02. 10
역(逆)유토피아라고도 한다. 가공의 이상향, 즉 현실에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나라’를
묘사하는 유토피아와는 반대로, 가장 부정적인 암흑세계의 픽션을 그려냄으로써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문학작품 및 사상을 가리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스토피아 [dystopia] (두산백과)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만든 이론으로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틀어 상대성이론 또는 상대론이라고 한다. 상대성이론은 자연법칙이 관성계에 대해 불변하고, 시간과 공간이 관측자에 따라 상대적이라는 이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대성이론 [theory of relativity, 相對性理論] (두산백과)
프로메테우스의이름뜻,두산백과
영원회귀 [永遠回歸, Ewige Wieder-Kunft]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인터스텔라] 최첨단 우주과학 가운데서 '나'를 돌아보다 , 브레인 미디어, 강만금. 2014.12.05 http://www.brainmedia.co.kr/brainWorldMedia/ContentView.aspx?contIdx=1488 9
영화 [인터스텔라] 의 물리학 , 네이버캐스트, 박석재,2014.11.26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75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