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육평가 B"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교육평가 B형
1.1. 공통형: 표준화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하여 그것의 특징, 검시실시 방법 등을 간단히 기술하시오(5점)
1.2. 지정형: 교육평가의 개념, 종류, 방법을 기술하고(10점)
1.3.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타당한 2가지 방법 선정과 그 이유(5점)
1.4. 그것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10점)
2. 표준화검사법 중 1가지 특징, 검사실시 방법
3. 교육평가의 개념, 종류, 방법
4. 유아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 2가지와 선정 이유
5. 유아교육 평가방법 2가지의 실시과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교육평가 B형
1.1. 공통형: 표준화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하여 그것의 특징, 검시실시 방법 등을 간단히 기술하시오(5점)
표준화검사법 중 하나인 웩슬러 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는 지능 측정 분야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는 유아용, 아동용, 성인용 등 연령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총 12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소검사들은 다시 언어성 소검사와 동작성 소검사로 분류할 수 있고, 소검사 점수의 합산으로 전체 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점수를 산출한다. 유아용 검사의 경우 총 15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웩슬러 지능검사는 1:1 개인 평가 방식으로 진행되어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나, 검사자에게 전문성과 경험이 요구된다. 검사 실시 지침이 엄격하게 마련되어 있어 검사자는 이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검사 환경 요건도 정해져 있어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요소가 없는 조용한 실내에서 실시해야 한다. 이처럼 웩슬러 지능검사는 표준화된 절차와 엄격한 검사 실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1.2. 지정형: 교육평가의 개념, 종류, 방법을 기술하고(10점)
교육평가란 학습자의 학습·행동 발달 정도를 교육목표에 비추어 측정하고 판단하는 과정이다. 교육의 목표 설정부터 계획과 과정 그리고 교육 목표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교육평가의 종류로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가 있다. 진단평가는 교육 시작 전 교육을 하기 위한 교육 대상자의 준비 정도를 진단하고, 형성평가는 교육 과정 중에 실시하여 대상자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교육 방법이나 난이도를 조정하는 데 활용한다. 총괄평가는 교육의 마무리 단계에서 교육 목표의 달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종합적인 평가이다.
교육평가 방법으로는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가 있다. 규준지향평가는 교육 대상자의 성취 정도를 비교 집단의 규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판단하는 평가 방법이고, 준거지향평가는 교육 대상자가 습득해야 할 내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성취 달성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로는 평가 목적 설정, 평가 상태 선정, 평가도구 제작, 평가 실시 및 처리, 평가 결과의 해석 및 활용 단계가 있다. 평가도구의 유형으로는 필답...
참고 자료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유아교육평가』, KNN(2019), 김희태, 백순근
『영유아행동관찰법』 창지사(2013), 황해익, 송연숙 외 2명 저
‘EBS 유아성격검사도구’, 프로이드심리검사연구소
<5세 누리과정지도서 및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수학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표준화검사 도구개발탐색>[2008],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전공 박수련
보건복지부 www.mohw.go.kr
유아교육개론, 허혜경, 가천대학교, 2014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오미희, 유원대학교, 2020
웩슬러(WISC) 지능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이고은, 연세인지학습연구소, 2018
심리검사백과, 썸랩
교육평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