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원더의 줄거리와 원더를 통해 본 장애와 편견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원더의 줄거리
2.1. 주인공 어기와 가족들의 이야기
2.2. 장애 청소년 어기의 학교 생활 적응
2.3. 주변 친구들의 변화
3.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편견
3.1.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3.2. 장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
3.3. 장애인의 인권과 평등
4. 현재 장애 청소년 복지정책과 실천서비스
4.1. 장애인복지법과 특수교육법
4.2. 장애 청소년 대상 복지서비스 및 지원
5. 개선되어야 할 복지정책과 실천서비스
5.1. 장애 청소년 가정의 경제적 지원 강화
5.2. 장애 청소년 가족에 대한 심리 상담 지원
5.3. 장애 청소년의 직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장애인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시대와 사회환경에 따라서 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시대를 거슬러 보면 장애인이 살아가기에는 혹독한 시련이 불가피했던 때도 있었지만, 현재 우리사회는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장애인복지를 위해서 애쓰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장애인을 분리시키거나 배제하려는 생각에서 장애인에 대한 권리와 평등이라는 원칙을 존중하는 생각으로 바뀌었지만, 아직까지도 우리사회에는 장애인에 대한 자선과 동정이라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앞으로 우리사회도 장애인의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로 변모해야 할 것이다.
2. 영화 원더의 줄거리
2.1. 주인공 어기와 가족들의 이야기
주인공 어기는 태어날 때부터 안면기형을 가지고 있었다. 부모의 유전 결합으로 인해 어기는 신생아 시절부터 27번의 수술을 받았지만, 여전히 얼굴에는 수술로 인한 흉터가 남아있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다. 어기의 부모인 엄마 이사벨과 아빠 네이트는 평범한 가정의 부모였지만, 어기의 장애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며 어기를 보살펴왔다.
어기는 홈스쿨링으로 엄마 이사벨에게 수업을 받으며 지내왔다. 하지만 엄마는 어기가 10살이 되자 일반 학교에 보내기로 결정한다. 이는 엄마가 어기가 세상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어기의 세상 적응을 돕고자 한 것이다. 엄마 이사벨은 어기가 학교에서 겪게 될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지만, 어기가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한편 어기의 누나 비아는 어기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족 안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었다. 비아는 자신을 "태양인 어기를 도는 행성"에 비유하며, 어기에게 집중된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받지 못하는 외로움을 토로한다. 하지만 비아는 할머니와 절친 미란다의 도움으로 점차 자신의 고민을 해결해나가고 성장하게 된다.
이처럼 영화 '원더'에서는 안면기형 장애를 가진 어기와 함께 어기의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과 고민, 그리고 성장의 과정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어기의 장애로 인해 가족 내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누나 비아의 모습은 장애 가정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보여준다.
2.2. 장애 청소년 어기의 학교 생활 적응
어기는 엄마가 홈스쿨링으로 10살까지 교육을 시켰지만 이에 한계를 느낀 부모님이 어기를 일반 학교에 보내기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어기는 첫 등교 날부터 다른 학생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을 받게 된다. 어기는 자신의 얼굴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등교 시 자신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종종 쓰던 우주비행사 헬멧을 쓰고 등교를 하게 된다.
실제로 학교에 와서 어기는 친구들로부터 따돌림과 괴롭힘을 겪게 된다. 점심시간에도 다른 친구들은 어기와 함께 식사를 하려 하지 않는다. 어기의 엄마 이자벨은 어기의 홈스쿨링 기간 중에 어기가 겪었을 시선과 편견에 대한 고민 때문에 일반 학교에 보내는 것을 망설였지만, 결국 어기를 학교에 보내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어기는 실제로 친구들의 놀림과 괴롭힘을 겪게 된다. 하지만 영화는 어기가 점차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친구들과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어기의 과학에 대한 재능과 유머러스한 성격으로 인해 점차 친구들에게 인정받게 되고, 특히 잭과의 우정이 돈독해진다. 하지만 어기는 여전히 자신의 외모로 인해 상처받는 모습을 보이며, 할로윈 날 가면을 쓰고 학교에 가는 등 자신을 보호하려 한다.
어기의 누나 비아 또한 어기 때문에 가족...
참고 자료
장수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12
김기태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06
엄명용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8
강동인, “재가장애인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모델의 연구”, 동아대, 2002
박영균외, “아동청소년 역량개발을 위한 능동적 복지정책 추진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원더 Wonder’ 영화, 2017년 작품
프랑스 복지정책의 사회연대개념과 실천적 합의, 이은주, 보건사회연구, 2014
장수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12
김기태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06
엄명용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8
강동인, “재가장애인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모델의 연구”, 동아대, 2002
박영균외, “아동청소년 역량개발을 위한 능동적 복지정책 추진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