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연 사업 운영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1. 사업 개요
1.2. 사업 목적
1.3. 기획 의도
2. 공연 프로그램
2.1. 주요 프로그램 구성
2.2. 작품 해설
2.3. 출연진 구성
3. 공연장 설계
3.1. 공연장 구조
3.2. 무대 및 음향 시스템
3.3. 관객 편의시설
4. 운영 계획
4.1. 조직 구성
4.2. 홍보 및 마케팅
4.3. 재정 운용
5. 기대 효과
5.1. 예술적 성과
5.2. 관객 확대
5.3. 지역사회 기여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1. 사업 개요
본 사업은 지역 출신 유명 예술가 김광석의 작품을 무용으로 재해석하여 감성적인 크로스오버 공연을 선보이는 것이다. 연간 120만 명이 방문하는 김광석 길 관광객과 대구시민들에게 문화향유권을 신장시키고 김광석을 중심으로 한 대구 인물 콘텐츠를 창출하고자 한다. 젊은 무용수들이 김광석의 노래 '거리에서', '사랑했지만' 등을 현대무용, 전통무용, 발레 등 다양한 장르로 재해석하여 공연 예술화한다. 이를 통해 청년층과 중장년층 모두에게 대중적으로 다가가며 급감하는 김광석 길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사업 목적
**의 젊은 무용수들이 김광석의 작품을 무용의 선으로 재해석한 감성적인 크로스 오버 공연이다. 이를 통해 연간 120만의 김광석 길 관광객 및 대구시민들의 문화향유권을 신장시키고 대구 인물 중심 콘텐츠를 창출하고자 한다. 지역 신진 예술가들이 "김광석"을 그려낸 무용을 통해 대중 곁으로 더 가깝게 다가가고자 하며, 이는 김광석의 노래가 젊은 무용인들에게 '기회'와 '실현'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프로젝트 공연에서는 김광석의 대표 노래를 신진 무용가들의 지금의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선보임으로써 청년들은 물론 중장년층까지 대중적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또한 급감하는 김광석길 관광객들에게 볼거리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기획 의도
**의 젊은 무용수들이 김광석의 작품을 무용의 선으로 재해석한 감성적인 크로스 오버 공연이다. 연간 120만의 김광석 길 관광객 및 대구시민들의 문화향유권 신장과 대구 인물 중심 콘텐츠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 출신 유명 예술가 "김광석"을 그려낸 무용을 통해 대중 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다. 젊은 무용인들에게 '무용'이란 개념은 '기회'와 '실현'의 의미를 갖는데, 이번 프로젝트 공연에서는 김광석의 대표 노래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무용, 전통무용, 발레 등 다양한 무용을 선보임으로써 젊은 몸짓을 매력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친숙한 김광석의 노래를 무용과 접목하여 공감할 수 있는 무대를 만들고, 젊은 층은 물론 중장년층까지 새로운 매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급감하는 김광석길 관광객 및 방문객들에게 볼거리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2. 공연 프로그램
2.1. 주요 프로그램 구성
빛나라! **쇼단의 가객에게 바치는 무용 <나의 노래 - 우리는 지금>은 젊은 무용수들이 김광석의 작품을 무용의 선으로 재해석한 감성적인 크로스 오버 공연이다. 본 공연을 통해 지역의 신진 예술가들이 김광석을 주제로 한 무용을 대중들에게 선보이고자 한다.
젊은 무용수들에게 '무용'이란 자신의 모든 것을 담아낼 수 있는 '기회'와 '실현'의 의미를 가진다. 이 프로젝트 공연에서는 김광석의 대표 노래들, 예를 들어 '이등병의 편지', '서른즈음에', '거리에서', '사랑했지만' 등을 중심으로 현대무용, 전통무용, 발레 등 다양한 무용 장르로 재해석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에게도 친숙...
참고 자료
김혜정 (2017년), 정부산하 공공기관의 기록몰 보존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명현(2017년), 국립국악원 서초 30년, 국악아카이브 10년 특별전:시간의 흔적, 미래로 펼치다, 국립국악원
김갑수(2020년), 국악박물관 역사와 향후 발전 방향,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국립국악원(https://www.gugak.go.kr/site/main/index001)
국회도서관(https://www.nanet.go.kr/main.do)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https://www.archive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