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천연항생물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천연항생물질의 개념과 연구 필요성
3. 합성 항생제의 부작용과 한계
4. 천연항생물질의 종류와 특징
4.1. 프로폴리스
4.2. 노니
4.3. 매스틱
4.4. 자일리톨
4.5. 생강
5. 천연항생물질 관련 연구 동향
5.1. 항생제 내성균 문제와 자연 유래 항생물질 탐색
5.2. 천연항생물질의 작용 기전과 이점
5.3. 천연항생물질의 실용화 및 상용화 사례
6. 천연항생물질의 한계와 주의사항
7. 결론
7.1. 천연항생물질의 기존 항생제 대체 가능성
7.2. 합성 항생제와 천연항생물질의 병용 필요성
7.3. 천연항생물질 연구의 향후 과제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항생물질은 세균성 질병 치료에 혁혁한 공헌을 해왔다. 1928년 페니실린이 발견된 이래, 항생물질 개발은 의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과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 항생물질에 주목하게 되었는데, 천연 항생물질은 합성 항생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내성 발생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합성 항생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차세대 항생제로 주목받고 있는 천연 항생물질의 종류와 특성,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천연 항생물질의 한계와 주의사항도 함께 검토하여 보다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천연항생물질의 개념과 연구 필요성
최근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효과가 점점 그 힘을 잃고 있으며 항생제 부작용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16년 국제연합(UN) 총회에서 항생제 남용을 반대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고, 각국 정상들은 슈퍼 박테리아가 인류를 심각한 위험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동의하였다. 현재 치명적인 슈퍼 박테리아 피해는 매년 7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수준이며 그 수는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항생제 남용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그에 따른 부작용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WHO 항생제 처방 권장치는 22.7%인데 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 비율은 58.9%이라는 사실만 봐도 우리나라의 항생제 오남용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3,600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영국 정부에서는 2050년에는 1,000만 명이 죽음에 이를 것이라 예측하였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OECD 가입 국가 중 우리나라의 항생제 의존도는 높은 편이라 심각하게 항생제 내성 문제와 직면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합성 항생제의 부작용과 한계
합성 항생제의 남용은 건강에 여러모로 해로운 영향을 초래한다. 항생제 내성균을 만들어내어 병원균을 치료하기 어려워지게 하며, 장내 세균총을 교란시켜 우리 몸의 자연적인 방어 효과를 상쇄해버린다.
항생제 내성은 항생제를 투여한 후 독립적으로 분리된 세균 100마리 당 살아남는 세균 수를 백분율로 표현한 것으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투여한 항생제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폐렴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률이 약 84%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는 항생제의 오남용과 관련이 있는데, 과거 항생제 처방전 없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었고, 병원에서의 항생제 처방률 또한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합성 항생제는 장내 세균총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따른다. 항생제 내성과 부작용 문제로 인해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천연 항생물질은 내성균을 만들어내지 않고, 대신 병원균의 증식을 방해하며 자연 방어 체계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4. 천연항생물질의 종류와 특징
4.1. 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는 꿀벌의 타액과 효소, 그리고 각종 식물에서 채취한 진액이 혼합되면서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프로폴리스는 인위적으로 만들 수 없고 극소량만 채취할 수 있는 아주 귀한 천연 항생물질이다. 프로폴리스 안에 함유된 성분은 체내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여 염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항암 효과로 인해 암세포를 억제하기도 한다. 또한 프로폴리스는 항염,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곰팡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질병 예방과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강 내 호흡기감염, 치은염과 곰팡이균 감염에도 효과적이다.
4.2. 노니
노니는 약 2,000년 전부터 남태평양 지역에서 상처 치료제로 이용되어 온 열매이다. 노니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노니 속 성분들은 염증으로 인해 손...
참고 자료
참고 논문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 차연경, 김영수, 최유성
참고 논문 [천연물을 활용한 신약 개발 동향] - 김종표, 정희진
참고 논문 [Duck’s Science – 친환경 시대의 대비 항생제에 대한 기본 지식과 적용 원칙] -황정현 (AT사료 기술연구소)
참고 논문 [새로운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 동향] - 김경록, 윤태미, 권형진, 서주원
[항생제 부작용에 대비한 천연항생물질] – 발효신문, 황세란 기자
[속수무책 ‘항생제 내성균’...자연에서 답 찾는다] - YTN사이언스, 이혜리 기자
[말 많은 항생제 대신 천연 항생제 어떨까?] - 건강다이제스트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에 관해 꼭 알아야 할 사실] - 국경없는 의사회
참고 논문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 차연경, 김영수, 최유성
참고 논문 [천연물을 활용한 신약 개발 동향] - 김종표, 정희진
참고 논문 [Duck’s Science – 친환경 시대의 대비 항생제에 대한 기본 지식과 적용 원칙] -황정현 (AT사료 기술연구소)
참고 논문 [새로운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 동향] - 김경록, 윤태미, 권형진, 서주원
[항생제 부작용에 대비한 천연항생물질] – 발효신문, 황세란 기자
[속수무책 ‘항생제 내성균’...자연에서 답 찾는다] - YTN사이언스, 이혜리 기자
[말 많은 항생제 대신 천연 항생제 어떨까?] - 건강다이제스트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에 관해 꼭 알아야 할 사실] - 국경없는 의사회
1. 이강만 2000 라이프사이언스 1~22, 87~223
2. 일간공업신문 : 2000년 05월 22일
3. Nature : 1997년 07월 03일
4. 생명과학 / 연합뉴스 : 2001년 07월 26일
5. http://www.uc.edu/www/info-services/antibiot.htm
6. http://shin-kwang.co.kr/mycin.htmlsGroup Study
7. http://www.nature.com/science update
8. http://bric.postech.ac.kr/bbs/daily/krnews/tin0024-6/143.html
9. http://bric.postech.ac.kr/bbs/trend/0005/000530-1.html
10.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477/pharmacy02.html
11. http://idt.kribb.re.kr/business/section/antibiotics.html
12.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494/pharmacy01.html
13. http://bric.postech.ac.kr/bbs/trend/0004/000408-5.html
14. http://bjlee.snu.ac.kr/antimicrobialk.html
15. http://www.pharmanet.co.kr/dir/index4/mke08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