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구조
기관은 직경 2~2.5cm, 길이 11cm의 관으로 기관분기부에서 오른쪽과 왼쪽 2개의 주기관지로 갈라진다. 기관의 내강은 섬모가 붙어있는 상피세포로 구성되고 술잔세포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기도근육은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이완되어 내강이 넓어지고 부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수축되어 좁아진다. 오른 주기관지는 왼 주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 경사가 급해 흡인이 용이하다. 오른 주기관지는 3개의 엽기관지(상,중,하)로, 왼 주기관지는 2개의 엽기관지(상,하)로 분지한다. 호흡세기관지는 호흡종말세기관지와 허파꽈리관, 허파꽈리주머니 및 허파꽈리로 구성된다. 허파꼭데기가 빗장뼈 바로 위에 위치하고 가로막 쪽 넓은 면에 허파바닥이 위치하며 신경과 폐혈관 및 기관지는 폐문을 통과한다. 오른 허파의 길이와 무게가 왼쪽 허파보다 넓고 짧으며 무겁다. 기관지순환은 기관기관지나무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흡입된 공기를 따뜻하게 하며 습기를 공급하지만 가스교환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허파순환은 우심실-폐동맥-소동맥-세동맥-허파꽈리 모세혈관(기체교환)-폐정맥-좌심방-대동맥-온몸으로 이루어진다. 허파꽈리는 표면활성제가 적절하게 분비되지 않으면 허탈된다. 가슴우리(흉곽)는 좌우 12개의 갈비뼈, 복장뼈, 어깨뼈 및 등골뼈로 구성되며 그 안에 허파와 심장, 큰혈관, 림프절, 가슴샘 및 식도가 위치한다. 갈비뼈 사이에는 갈비사이근이 있고 가슴우리의 바닥쪽은 가로막이 위치한다. 가슴막(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액성막이며 두 개의 가슴막 사이를 가슴막안이라고 하고 장액성 액체가 있어 윤활제 역할과 들숨 시기에 허파가 팽창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슴막 안은 항상 음압 상태를 유지한다.
1.2. 기능
환기는 기도를 따라 폐로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이다. 산소의 분압이 높은 신선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은 공기는 체외로 배출된다. 환기량-관류량 비율이 4/5 즉, 0.8:1일 때 폐의 가스교환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허파꽈리에서의 가스교환은 가스의 분압 차에 의해 확산이 일어나며, 가스분자는 분압이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확산된다.
허파는 확장되고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폐순응도와 탄성 반동 때문이다. 폐순응도는 압력을 가했을 때 허파가 팽창되는 정도이며, 탄성 반동은 확장된 허파를 팽창되기 이전으로 되돌리는 압력이다.
산소의 98.5%는 산소혈색소(산소헤모글로빈)가 운반하고, 1.5%는 혈장에 용해된 상태로 운반된다. 허파에서는 수소의 균형을 유지하며, 호흡질환이나 장애가 생기면 호흡성 산증 또는 호흡성 알칼리증이 발생한다.
호흡 조절은 신경성 조절, 중추화학수용체, 말초화학수용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허파에서는 수소의 균형을 유지하며, 호흡질환이나 장애가 생기면 호흡성 산증 또는 호흡성 알칼리증이 발생한다.
2. 호흡기계 건강사정
2.1. 건강력
과거 감기, 인후통, 부비동 문제, 알레르기, 천식, 폐렴, 결핵 등 호흡기 질환의 과거력이 있다. 항히스타민제,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기침 완화제, 항생제 및 산소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 경험이 있다.
가족력 중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가 있다. 환경 요인 및 직업으로 인한 호흡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흡연자이며, 유행성 감기와 폐렴구균성 폐렴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다.
호흡곤란, 기침과 가래 및 객혈, 쌕쌕거림, 가슴통증 등 호흡기계 질환 증상을 호소한다.
2.2. 신체검진
시진은 환자의 피부색, 손톱색, 손가락, 호흡 양상의...